search

ALL : 사랑

Contents List 3

  • I believe

    노랫말에 담긴 아름다운 희망이 감동을 주는 노래입니다.

    존 레논의 Imagine이 연상되는 노래이기도 합니다.

     

    One day I'll hear The laugh of children in a world where war has been banned.

    (언젠가 전쟁이 금지된 세상에서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듣게 될 거예요)

     

    One day I'll see Men of all colours sharing words of love and devotion.

    (언젠가 모든 인종과 민족이 사랑과 헌신으로 서로를 대하는 걸 보게 될 겁니다)

     

    Stand up and feel The Holy Spirit Find the power of your faith.

    (일어나서 신성한 영혼을 느껴봐요. 믿음이 지닌 힘을 찾아봐요.)

     

    Open your heart to those who need you in the name of love and devotion.

    (당신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사랑과 헌신으로 마음을 열어 보세요.)

     

    Yes, I believe.

    (그래요, 나는 믿어요)

     

    I believe in the people of all nations to join and to care for love.

    (모든 나라의 사람들이 사랑으로 하나되어 서로를 섬기게 될 것을요.)

     

    I believe in a world where light will guide us and giving our love we'll make heaven on earth.

    (또한 빛이 우리를 인도하는 세상이 올 것을 믿어요. 그리고 우리가 사랑을 나누게 되면 이 세상이 천국이 된다는 것도요)

  • 미 여자축구팀 주장의 멋진 우승 연설

    미국 여자 축구대표팀 주장 메건 라피노(34)가 프랑스 여자월드컵에서 우승한 뒤 열린 축하 행사에서 멋진 연설을 했습니다.

     

    메건은 주장으로서 미국팀이 사상 4번째 여자월드컵에서 우승하는데 가장 크게 활약한 인물입니다.

     

    8일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네덜란드와의 결승전에서 메건은 페널티킥 결승골을 넣어 팀의 우승을 이끌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 6골 3도움을 기록한 메건은 최우수 선수에게 주는 골든볼과 득점왕에게 주어지는 골든부트까지 차지했습니다.

     

    메건이 관심을 받는 것은 축구를 잘해서만이 아닙니다. 그는 세상을 더 좋게 만드는 일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뉴욕타임스>는 “라피노가 사회운동가, 남녀 동일임금 주창자, 국민의례에 대한 반발, 트럼프 대통령 비판자로 월드컵 무대를 통해 마음 속의 얘기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다음은 메건의 연설문 전문입니다. 짧지만 많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 팀은 강하고 포기를 모릅니다. 유머가 멈추지 않고 그냥 멋짐 그 자체인 것 같습니다.

    어떤 것도 우리를 멈출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여유도 있습니다. 차를 마실 줄도 알고요.

     

    우리 팀에는 분홍색 머리, 보라색 머리를 한 사람, 문신을 한 사람, 레게 머리인 드레드록을 한 사람도 있습니다..

    또 백인, 흑인 등 모든 인종이 있습니다. 이성애자도 있고 동성애자도 있지요. 저는 우리 팀이 더할 나위 없이 자랑스럽습니다.

     

    우리 모두는 지금보다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더 사랑하고 덜 증오해야 합니다. 우리는 더 많이 듣고 말은 적게 해야 합니다.

    우리 모두가, 여기에 있는 한 사람 한 사람이 책임을 지고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일이 바로 우리의 책임입니다.

     

    저는 우리 팀이 그런 책임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잘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행복해진다는 것

    

    우리는 자주 삶에 대해 고민합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내가 이 세상에 온 이유는 무엇일까? 

    헤르만 헤세가 그런 질문에 시로 답을 했습니다.

     

     

    행복해진다는 것

     

    헤르만 헤세

     

    인생에 주어진 의무는 다른 아무것도 없다네.

    단 한 가지 의무는 행복하라는 것

    우리가 이 세상에 온 유일한 이유라네.

     

    온갖 의무, 온갖 도덕률, 온갖 계명에도

    우리는 행복하지 못하다네.

    그런 것들이 우리를 행복하게 할 수 없기 때문이지.

     

    인간은 선을 행하는 한 반드시 행복해진다네

    우리가 행복하기만 하면

    마음속에서 조화를 찾는 한.

    다른 말로 사랑을 하는 한 말일세.

     

    사랑은 유일한 가르침

    세상이 우리에게 남긴 단 하나의 교훈이지.

    예수도, 부처도, 헤겔도 그렇게 가르쳤다네.

     

    모든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그의 가장 깊은 곳

    그의 영혼을 사랑하는 능력이라네.

     

    보리죽을 떠먹든 맛있는 빵을 먹든

    누더기를 걸치든 보석을 휘감든

    생명을 사랑하는 능력이 살아 있는 한

    세상은 순수한 영혼의 화음을 울렸고

    언제나 좋은 세상

    옳은 세상이었다네.

     

     

    Being happy

     

    Hermann Hesse

     

    There is no other mission in the life

    There is only one mission : to be happy.

    It is our only reason for being in this world.

    With all our mission, all our morals, all our commandments,

    we seldom make one another happy, because these do not make us happy.

     

    A person’ll surely be happy

    If he or she do a good

    As long as we are happy

    and find the balance in the hearts,

    in other words, as long as we love …

     

    It is the only lesson that the world has left,

    thus taught Jesus; thus taught Buddha; thus taught Hegel.

     

    The most important one thing for all human is the ability to love his or her deepest site,

    he or her soul,

    he or her capacity for love.

     

    Eat barley gruel or delicious bread,

    Put a tattered or jewels,

    As long as the ability to love lives,

    The world rang pure harmony of spirits

    It will be a good world, a world going on in proper order.

    

  • 선생님을 위해 200km를 오간 아이들

    

    선생님을 위해 200km를 달려간 아이들이 있습니다.

     

    29일 말레이시아 언론에 따르면 초등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 사무엘 이사야는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2년 전 결혼식 사진을 사연과 함께 올렸습니다.

     

    사무엘의 제자는 여느 학생들과 다른 아이들입니다. 말레이시아 원주민인 오랑아슬리이지요. 정글 안에서 유목생활을 하다 지금은 정착해 사는 이들이 대부분인데 벌목으로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고 합니다.

     

    사무엘은 오랑아슬리 아이들에게 영어를 헌신적으로 가르쳤습니다. 자신의 표현대로 그 아이들은 ‘학생 이상’인 존재들이었고 아내도 그 아이들이 남편의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걸 인정할 정도라고 합니다.

     

    2017년 자신이 결혼한다는 사실을 알려지자 제자들은 “노총각이 드디어 결혼을 하네요”라고 놀리며 무척 기뻐했다고 합니다.

     

    그 소식은 순식간에 전교생에 퍼져 모든 아이들이 결혼식을 손꼽아 기다렸다고 합니다. 질문도 이어졌습니다. 결혼식장은 어디며, 하객들은 얼마나 오고, 사모님 되실 분은 어떤 옷을 입는지 등등. 피로연에 제공되는 음식이 궁금한 아이들도 있었다고 하네요.

     

    마침내 전교생이 자발적으로 사무엘의 결혼식에 참석하기로 마음을 먹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무엘은 고민이 됐습니다. 자신이 가르치는 제자들이 특별한 행사에 참석하기를 바랐지만 불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이 결혼식장에 왔다 가려면 200km 이상 이동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부모들이 허락할 리가 없었습니다. 아이들을 모두 초청하려면 비용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처가의 동의도 필요했고요. 하지만 아이들은 청첩장을 받기를 고대하고 있었습니다.

     

    사무엘은 결국 교사들은 물론 학생들에게도 개별적으로 청첩장을 돌리고 참석 의사를 물었습니다. 놀랍게도 아이들 모두 결혼식에 오겠다는 것이었습니다. 놀랐습니다. 당초 50명 정도의 학생들이 참석할 것으로 생각해 버스 한 대를 빌리면 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버스 한 대를 더 빌릴 형편이 안 된다고 아이들의 참석을 막을 수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의 결혼식에 참석하려는 아이들의 간절한 마음을 막을 수는 없었습니다. 사무엘이 예약한 버스 회사에서 대절비를 30% 깎아줬을 뿐 아니라 더 큰 차를 보내줘서 60명의 아이들과 선생님들이 편안하게 결혼식장까지 갈 수 있었습니다. 나머지 아이들은 교사들과 몇 번이나 버스를 갈아타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고 결혼식장을 찾아왔습니다.

     

    사무엘과 아내는 결혼식장에 도착했을 때 많은 아이들이 두 팔을 벌리고 환영하자 너무 감동해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게다가 아이들은 축하공연까지 준비해왔습니다.

     

    “아이들을 평생 잊지 못할 것 같아요. 결혼식 이후로 제 삶은 완전히 달라졌어요. 아이들에게 영원히 감사합니다. 고마워 얘들아, 사랑해”

    

  • 이집트의 은수자 마카리우스 (3)

    마카리우스 성인의 가르침은 영적인 삶의 체험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가 남긴 가르침 가운데 50가지가 <마카리우스의 신령한 설교>라는 책으로 출판되어 있습니다. 일부를 소개합니다.

     

    하느님께서는 타락한 인간으로 하여금 생명으로 돌아오기를 원하시며, 그로 하여금 울며 돌아와 회개하게 하려 하십니다. 만일 타락한 사람에게 은혜가 남아 있다면, 그것은 그로 하여금 보다 더 확실하게 이전의 잘못된 행실을 회개하게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기독교인의 표적은 사람들의 주목을 힘껏 피하면서 하느님께 인정을 받으려 하며, 비록 왕의 보물을 맡았을지라도 그것을 감추고, “그것은 나의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이 내게 맡긴 것입니다. 나는 가난한 사람입니다. 그분이 원하시면 언제라도 가져갈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영혼도 죄악의 깊은 바다와 정욕으로 어두워진 악한 세력들이 도사리고 있는 위험한 바다를 혼자서 무사히 지나갈 수 없습니다. 그는 가볍고 천상적인 날개가 달린 그리스도의 영을 받아야만 합니다. 그리스도의 영은 모든 악한 것을 지나고 통과하여 좁고 올바른 과정을 밟아 하늘의 안식의 항구, 즉 하나님의 나라에 도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성령만이 주님의 뜻을 알고 계시며, 우리가 성령 안에서 완전케 되고 성령 자신도 우리 안에서 완전케 되어 우리가 죄의 모든 더러움과 허물이 없이 깨끗해진 후, 성령께서는 우리의 영혼을 순결한 신부처럼 깨끗하고 허물이 없이 그리스도께 인도할 것이며 우리는 하나님 나라에서, 하나님 안에서 안식하며 하나님은 우리 안에서 영원히 안식하실 것입니다.

     

    기독교인은 항상 하나님을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성경에는 “마음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는 기도 처소로 들어갈 때만 아니라 길을 갈 때나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나 음식을 먹을 때에도 주님을 사랑하며, 하나님을 기억하고 사랑하고 하나님께 대해 성실한 애정을 품어야 합니다.

     

    우리는 세상에서 살고 있지만 마음과 속사람에 관한 한 “우리의 시민권은 하늘나라에 있으며” 그곳에서 활동하며 시간을 보냅니다. 육신의 눈이 맑으면 언제나 태양을 분명히 볼 수 있듯이, 완전히 정결케 된 마음의 눈은 항상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광채를 바라보며, 신성과 결합된 그리스도의 몸이 항상 성령과 함께 거하시듯 밤낮으로 주님과 함께 거합니다.

     

    (끝)

  • 빈민가 아이들을 성공으로 이끈 비결

    미국 어느 대학의 사회학과 교수가 학생들에게 과제를 줬습니다.

     

    볼티모어에 있는 빈민가 청소년 200명을 만나 생활환경을 조사하고 그들의 25년 뒤를 전망해보라는 것이었습니다.

     

    대학생들의 결론은 비슷했습니다.

     

    ‘이 아이들에게는 미래가 없다. 너무 가난해서 기회를 얻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25년이 지난 뒤 다른 교수가 이 연구 조사를 우연히 접하면서 학생들에게 그때 청소년들이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지 알아보라는 과제를 줬습니다.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세상을 떠났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사 간 사람들을 제외하고 180명 가운데 176명이 변호사, 의사, 사업가 등 성공한 삶을 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학생들이 그들에게 성공의 비결을 묻자 한결같이 “한 선생님 덕분”이라고 답했습니다.

     

    그 교사가 생존해 있다는 얘기를 들은 교수는 수소문 끝에 할머니가 된 그 교사를 찾아가서 빈민가 아이들이 성공적 삶을 살도록 이끈 비결이 무엇인지 물었습니다. 그의 답변은 너무나 놀라웠습니다.

     

    “비결은 간단합니다. 저는 그 아이들을 사랑한 게 전부입니다. “

     

    이 내용은 <내 영혼을 위한 닭고기 수프>에 실려 있습니다.

    

  • 이해인 수녀의 '어떤 결심'

    어떤 결심

     

                               이해인 

     

    마음이 많이 아플 때

    꼭 하루씩만 살기로 했다

     

    몸이 많이 아플 때

    꼭 한순간씩만 살기로 했다

     

    고마운 것만 기억하고

    사랑한 일만 떠올리며

     

    어떤 경우에도

    남의 탓을 안 하기로 했다

     

    고요히 나 자신만

    들여다보기로 했다

     

    내게 주어진 하루만이

    전 생애라고 생각하니

    저만치서 행복이

    웃으며 걸어왔다

     

    -시집 <희망은 깨어 있네>(마음산책)에서

  • 관상기도, 하느님과의 만남

    기도는 하느님과 만나는 중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인데 가톨릭에서는 관상기도가 대표적입니다.

     

    관상기도는 종류도 많고 설명도 많습니다. 하지만 깊은 내면의 침묵 속에서 하느님을 만나는 일이라고 일반적으로 정의합니다.

     

    데레사 성녀는 “마음으로 하는 관상 기도란, 제 생각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그 하느님과 자주 단둘이 지냄으로써 친밀한 우정의 관계를 맺는 것”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관상을 뜻하는 Contemplation은 라틴어 contemplatio에서 온 말이라고 합니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에 테오리아(θεωρια)에서 온 말로 절대 세계인 이데아를 알기 위해 사물을 바라보는 행위를 뜻한다고 합니다.

     

    이를 우리 말로 관상(觀想)이라고 번역했습니다. 어떤 대상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는 뜻입니다.

     

    예수회원 월터 벌가르트는 관상을 ‘실재를 바라보는 길고 사랑스러운 시선(A long, loving look at the real)’이라고 정의하기도 했습니다.

     

    관상기도를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입니다. 여기서는 성 이냐시오가 알려주신 관상기도법을 소개합니다.

     

    성 이냐시오는 <영신수련>이라는 저서에서 상상으로 성경에 나와 있는 한 장면 속에 들어가 그 상황을 감각적으로 느끼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다음은 한국예수회 성소실에서 안내하는 성 이냐시오식 관상기도입니다.

     

     

     

    기도의 준비

    기도할 성경 구절을 정하고, 내용을 충분히 기억할 만큼 충분히 읽는다(적어도 세 번). 마음에 와닿는 장면이나 깊이 묵상하고 싶은 요점들을 세 가지 정도 정한다. 객관적인 핵심 주제나 가르침을 알려고 하기보다는 나 자신의 마음에 와닿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잘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도 장소나 기도 자세에 대해서도 생각해 놓는다.

     

    마음을 모으고 하느님의 현존을 의식하기

    기도를 시작할 때 우선 나의 마음과 영혼을 고요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천천히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면서 호흡에 집중하면서 마음을 비운다. 하느님이 지금 여기 함께하고 계심을 느껴본다.

     

    준비기도

    지금 하는 기도가 나의 만족이 아니라 하느님 보시기에 좋은 기도가 되기를 바라는 지향을 되새긴다. “하느님, 저의 의향과 노력과 행동이 당신을 섬기고 당신께 찬미와 영광을 드리는 데에만 쓰이는 은총을 청합니다.” 하고 기도한다.

     

    은총을 구함

    기도하고자 하는 성경 내용의 줄거리를 떠올리면서, 이 기도에서 얻고자 하는 은총을 구한다. 삶의 복을 빌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도를 더 잘할 수 있도록 은총 주시는 성령께 마음을 열고 관대히 응답하기 위한 것이다. “주님, 저를 도우시어 이 기도를 통해서 제가 당신께 용서받고 사랑받고 있음을 마음으로 깨닫게 하소서.” 하는 식으로 은총을 구할 수 있겠다.

     

    장소 구성

    상상을 통하여, 기도하고자 하는 성경 속 장면을 구성해 본다.

  • 성 프란치스코의 평화의 기도 (찬송가)

    이보다 더 아름다운 소원이 있을까요?

    성 프란치스코께서 남긴 기도문 '평화의 기도'를 읽을 때마다 가슴 벅참과 간절함이 교차합니다.

    위로받기보다는 위로하며

    이해받기보다는 이해하며

    사랑받기보다는 사랑하며...

     

  • 말기암 40살 백만장자 의사의 마지막 강의

    싱가포르의 의사 리차드 테오 컹 시앙씨가 세상을 떠나기 전 후배 의학도를 대상으로 한 강의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다. [이미지 : 리차드 테오 페이스북]

    부와 성공을 위해 앞만 보고 달렸던 의사가 암으로 죽음을 앞두고 젊은 의학도들 앞에서 자신의 ‘잘못된’ 삶을 돌아보는 강의를 했습니다.

     

    싱가포르의 의사 리차드 테오 컹 시앙씨는 성형외과 의사로 30대에 부와 명예를 함께 얻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2011년 폐암 말기 선고를 받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게 됐습니다.

     

    그가 했던 강의가 유튜브에 올라온 뒤 많은 사람들이 보고 “내 인생 최고의 강의” “당신은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습니다” “놀라운 강의”라는 댓글이 달렸습니다.

     

    다음은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강의를 요약한 것입니다.

     

    오늘 인생에 대한 저의 생각을 나누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저를 초대해 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오늘 제가 드리는 말씀이 치과의사가 되기 위해 공부를 시작하는 여러분들에게 생각거리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젊은 시절부터 지금까지 저는 현대 사회가 만든 전형적인 상품이었습니다. 사회가 요구하는 꽤 성공적인 상품이었지요.

     

    어려운 가정에서 자라면서 저는 미디어와 주위 사람들로부터 행복은 성공에서 오는 것이고 그 성공은 부자가 되는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이 생각을 갖게 되면서 저는 어려서부터 남들과 치열하게 경쟁을 하게 됐습니다. 학교에서 1등을 하려는 것뿐만 아니라 운동경기나 달리기 등 모든 분야에서 최고가 되려고 했습니다.

     

    저는 의대에 진학해 안과 의사가 됐고 의료기기와 레이저 관련 특허를 두 개나 보유했지만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안과 의사는 돈을 많이 벌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성형외과에 눈을 돌리게 됐습니다. 아파서 병원에 갈 때는 20 싱가포르 달러(1만 7100원)도 아까워하던 사람들이 성형수술에는 1만 싱가포르 달러(855만 원)도 아까워하지 않았습니다.

     

    성형외과는 아주 잘 됐습니다. 환자들이 계속 늘어 처음에 1주일씩 기다리던 환자들이 3개월까지 줄을 서서 기다릴 정도였습니다. 환자가 밀려들자 의사도 4명이나 고용했습니다.

     

    1년도 지나지 않아 우리는 수백만 싱가포르 달러(수십억 원)를 벌 수 있었습니다. 단 1년 만에 말입니다.

     

    저는 거기에도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인도네시아 부유층을 고객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망설임 없이 인도네시아로 병원을 확장했습니다.

     

    행복했습니다. 차고 넘치는 이 돈으로 무엇을 할까, 주말을 어떻게 보낼까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여러 경주용 자동차 동호회에 가입했습니다. 주말이면 레이싱을 하러 말레이시아에 갔고 경주용 차량을 사 모으기도 했습니다. 페라리도 샀습니다.

     

    차를 산 다음에는 저택을 마련했습니다. 각계각층의 유명인들, 부자들, 그리고 미인들과 파티를 즐겼습니다.

     

    저는 모든 것을 가졌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실 그때가 제 삶의 정점이었습니다. 나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습니다. 지난해 3월 등이 아프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운동을 너무 많이 해서 그렇다고 생각했지요. 의대를 같이 다닌 친구에게 찾아가 디스크가 아닌지 MRI를 찍어보자고 했습니다.

     

    그날 밤 친구가 전화를 걸어와 등뼈에서 다발성 골수종이 발견됐다고 했습니다. 친구에게 무슨 말이냐고 물었지요. 그의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았지만 그 사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겁니다.

     

    다음날 PET를 했습니다. 의사들은 제가 폐암 4기라고 진단했습니다. 암세포는 척추는 물론 뇌와 간 등 여러 장기에 전이되어 있었습니다. 의사들은 항암치료를 해도 3~4개월밖에 살지 못한다고 했습니다.

     

    그렇게 제 삶은 박살이 났습니다. 저는 심한 우울증에 빠졌습니다. 모든 것을 다 가졌다고 생각했었는데. 성공, 트로피, 차, 집 이 모든 것이 내게 행복을 준다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내가 가진 어떤 것도 나를 기쁘게 하지 못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제가 소유한 어떤 것도 단 한순간 위로를 주지 못했습니다.

    지난 10개월 동안 저를 기쁘게 한 것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 친구들, 진심으로 나를 걱정하는 사람들과의 만남이었습니다. 그들은 나와 함께 웃고 울었습니다.

     

    저는 설날에 고급차를 몰고 가 친구나 친척들을 태우고 돌아다녔습니다. 그들과 기쁨을 나눌 수 있었을까요? 아닙니다. 그들이 부러워하고 질투하게 만들었을 뿐입니다. 저를 증오하는 사람이 있었을지도 모르죠.

     

    지난 얘기를 하나 해드리려고 합니다. 학창시절에 제니퍼라는 친구가 있었습니다. 지금도 좋은 친구로 지내고 있지요.

     

    제니퍼와 함께 걸을 때 땅바닥에 달팽이가 있으면 제니퍼는 달팽이를 집어서 풀밭에 내려줬습니다. 저는 “왜 그러는 거야? 손이 더러워지잖아. 달팽이일 뿐인데”라고 핀잔을 주곤 했습니다.

     

    제니퍼는 달팽이에 공감하고 있었던 겁니다. 그에게는 달팽이가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고 저는 그냥 달팽이일 뿐이라고 생각했지요. 그때 저는 자비심과 공감능력을 가진 의사가 될 수도 있었지만 그렇지 못했습니다.

     

    의대를 졸업하고 종양학과를 거칠 때 거의 하루 건너 한 번씩은 죽음을 목격했습니다. 환자들이 겪는 고통도 다 봤지요.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몇 분마다 모르핀을 맞는 것도 지켜봤습니다.

     

    하지만 제게 그건 그저 일이었습니다. 매일 출근해 병동에 갔지만 그건 제게 와닿는 현실이 아니라 그저 일일뿐이었습니다. 의사로서 처치를 하고 병동에서 나와 곧바로 집으로 갔지요.

     

    물론 환자들이 느끼고 겪는 상황을 묘사하는 의학 용어는 모두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환자가 되기까지 저는 그들이 무엇을 느끼는지 알지 못했습니다.

     

    누가 제가 오래 살 수 있게 된다면 이전과 다른 의사가 될 수 있게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지금은 환자들이 겪는 것을 진짜 느낄 수 있게 됐으니까요.

     

    여러분들도 의사가 되기 위해 힘들게 공부해야 할 겁니다. 치과의사가 되기 위한 첫해를 시작하면서 두 가지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여기 계신 분들 모두는 개업을 하게 될 겁니다. 저는 여러분들이 부를 쌓을 수 있을 거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시술로 많은 돈을 벌 수 있을 겁니다.

     

    여러분은 놀랄만한 돈을 벌 것이고 부자가 되고 성공하실 겁니다. 그것이 잘못된 것은 결코 아닙니다. 단 하나 문제가 있다면 많은 사람들이 저처럼 우리가 얻는 부를 다룰 능력이 없다는 겁니다.

     

    왜 이런 말씀을 드리느냐 하면 제가 부를 축적하기 시작하자 더 많이 가질수록 더 많은 것을 원하게 되고 더 탐욕스럽게 되더라는 겁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제가 지금까지 한 일이라고는 더 많이 소유하는 방식으로 성공의 정점에 오르기 위해 노력한 것뿐이었습니다.

     

    오로지 성공에만 매달렸고 다른 것은 아무것도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환자는 돈벌이의 수단일 뿐이었고, 환자들로부터 1원이라도 더 쥐어짜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주위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잊고 삽니다. 그로 인해서 우리는 자신밖에 모르고 다른 사람을 돌보는데 관심이 없습니다. 제가 바로 그랬습니다.

     

    개인병원을 운영하는 의료인 동료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건 우리는 지금이라도 환자들에게 굳이 치료받지 않아도 되는 영역이 있다고 조언해야 한다는 겁니다. 불필요해 보일지라도 우리는 의료인들이 그렇게 하는 것을 옹호하고 지지해야 합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자신만을 섬기다 도덕이라는 나침반을 잃어버렸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여러분들은 그 나침반을 잃지 마시라는 겁니다.

     

    저는 (암이라는) 힘든 과정을 통해 그를 깨달았지만 여러분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기를 바랍니다.

     

    다음으로 드리고 싶은 말씀은 대부분의 의사들이 진료를 할 때 환자들에게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공립병원이나 민간병원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병원에 있을 때 환자의 진료기록을 수많은 폴더에 담았습니다. 하지만 가능하면 빨리 삭제하려고 했습니다. 환자들에 대한 상담을 가능하면 빨리 종결짓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환자들과의 상담은 그저 늘상 반복되는 일에 불과했습니다. 제가 그렇게 대할 때 환자들이 어떻게 느끼는지 제대로 알 수 있었을까요? 그들이 겪을 고통과 걱정을 제가 진정으로 이해했을까요? 제가 암에 걸릴 때까지는 몰랐습니다.

     

    저는 의료인 교육 시스템에 큰 결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의료인들이 전문가로만 길러지기 때문에 환자들과 공감하지 못합니다. 여러분들에게 감성적으로 접근하라는 게 아닙니다. 전문가로서뿐만 아니라 환자들의 고통을 이해하는 게 필요합니다. 잊지 마십시오.

     

    다음으로 부탁드리는 것은 여러분들이 언제나 환자들의 입장을 생각하시라는 겁니다. 여러분이 실감하지 못하지만 환자들이 느끼는 고통, 걱정, 두려움은 현실입니다.

    저는 지금 5회차 항암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치료를 받을 때마다 두렵습니다. 고통스럽습니다. 여러분들은 심지어 원수라도 그런 일을 겪기를 바라서는 안됩니다.

     

    저는 여력이 없지만 다른 암 환자들에게 다가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고통을 진정으로 이해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저는 조금 늦었습니다.

     

    여러분은 밝은 미래가 앞에 있습니다. 자원도 에너지도 갖고 있습니다. 눈앞의 환자를 넘어 참으로 어려운 처지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보시기 바랍니다.

     

    가난한 사람들만 힘들어한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그건 사실이 아닙니다. 가난한 이들은 처음부터 가진 게 많지 않았기 때문에 쉽게 만족합니다. 그분들이 여러분이나 저보다 더 행복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세상에는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감정적으로, 재정적으로 그리고 여러 이유로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을 외면할 수 있고 그런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굳이 알아야 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그런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그들의 삶에 큰 변화를 줄 수는 없을지 모르지만 말입니다.

     

    저는 지금 그런 사람들의 도움을 받고 있고 그때 어떤 느낌이 드는지 알고 있습니다. 당신을 진정으로 돌보고 힘을 주는 사람들이 저를 많이 바꾸고 있습니다.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이라는 책에 있는 글로 오늘 강의를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사람은 죽는다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지만 아무도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믿지 않습니다.

    만약 죽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전혀 다른 사람이 될 겁니다.”

     

    아이러니한 것은 우리가 어떻게 죽을지를 알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알게 된다는 겁니다.

     

    사회가 원하는 삶을 살지 마십시오. 미디어가 하는 말대로 살지 마십시오. 자신이 어떻게 살 것인지 스스로 결정하시길 빕니다.

     

    진정한 행복은 자신을 섬기는 데서 오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