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생활·문화 : 건강

Contents List 3

  • 눈 건강을 지키는 20-20-20 운동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에게는 최소 4~5시간 이상 모니터를 보고 일을 합니다. 휴식을 취할 때나 지역을 이동할 때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을 보면서 시간을 때우죠.

     

    이렇듯 모니터와 우리의 삶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패턴으로 인해 우리의 건강에는 적신호가 켜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눈'은 모니터와 밀접하게 관련될 수 밖에 없는데다, 무리를 해도 별다른 통증이 느껴지지 않아,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혹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접한 요즘 아이들은 더더욱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초등학생의 26%, 중학생의 54%, 고등학생의 61%가 시력 이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이를 반증합니다.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이 '20-20-20운동'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미국 텍사스대 에드워드 멘델슨 박사가 권고한 운동으로, 근거리 및 원거리 초점을 조절하는 근육을 풀어주고, 안구 건조증을 예방해 근시를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20분 근거리 작업 후 20피트(6~7미터) 거리의 물체를 1분 이상 바라보고, 1분에 20회 이상, 즉 약 2~3초 간격으로 눈을 깜빡이는 것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먼 산, 지평선 등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 시계의 숫자, 포스터의 글씨 등 '집중해서 볼 수 있는 것'을 보는 것입니다. 크기 또한 '뚜렷하게 보이지는 않는 정도의 크기'가 좋다고 합니다. 이런 물체를 집중해서 1분 이상 바라봐야 조절근이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고 합니다.

     

    1분에 20회 이상 눈을 깜빡이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근거리 작업을 하다 보면 눈 깜빡임이 정상의 1/3 이하로 줄어드는데, 이로 인해 안구건조증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이 생깁니다. 특히 눈물은 눈에 영양을 공급하는 성분과, 세균을 막는 항체성분, 눈을 부드럽게 하는 윤활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안구 건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인공눈물을 자주 넣는 것보다 눈을 자주 깜빡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전문가들은 눈 또한 근육과 마찬가지로 쉬어줄 필요가 있다고 하면서, 안약을 넣거나 점심시간 등 쉬는 시간을 이용해 잠깐 눈을 붙이는 것 또한 눈 건강을 지키는데 좋다고 말합니다.

  • 불안감 클수록 호흡 변화 인지하는 능력 줄어

    이미지 : 픽사베이

    불안감이 클수록 호흡의 변화를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1일 메디칼익스프레스 보도에 따르면 영국 오타고 대학 올리비아 해리슨 박사팀이 관찰한 결과 불안감이 큰 사람들이 호흡의 변화를 제대로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해리슨 박사팀이 <뉴런>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연구자들은 불안감이 비 오듯 흘리는 땀, 땀에 젖는 손바닥, 가쁜 숨처럼 우리 몸에 어떤 결과를 낳는지를 관찰했습니다.

     

    해리슨 박사가 취리히 대학에 있을 때 진행한 이 연구에는 불안감이 낮은 건강한 30명과 어느 정도 불안감을 지닌 30명이 참여했습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설문지 작성과 함께 두 가지 종류의 호흡법을 실시하도록 했고 뇌에서 이미지를 상상할 때 혈액 내 산소농도의 변화와 혈류를 측정했습니다.

     

    연구 결과 불안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호흡의 변화에 덜 민감했습니다. 불안함이 클수록 호흡의 변화를 인지하는 능력이 감소한 것입니다.

     

    “우리는 호흡의 변화가 스트레스에 대응해 우리 몸이 조율하는 것일 수 있다고 봤습니다. 하지만 불안감이 호흡의 변화를 인지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우리가 걱정 때문에 호흡이 빨라지고 거칠어진다는 걸 알지 못한다면 우리는 어지럼증과 같은 증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걸 인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연구진은 불안감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해답을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불안감이 어떻게 신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시작점이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동양의학에서 호흡법을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도구로 사용해왔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요가, 명상, 운동과 같은 것들이 마음을 진정시키고 걱정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우리는 이러한 연습들이 왜 어떻게 작용하는지,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아직 모른다”라며 관련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했습니다.

     
  • 하루 5.5~7.5시간 자야 인지기능 지장 없어

    하루에 5.5시간에서 7.5시간은 자야 인지기능에 문제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의학전문지 메디신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대 의대 신경과 전문의 데이비드 홀츠먼 박사 연구팀은 노인 100명(평균연령 75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수면시간과 인지기능 사이 연관성에 관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 결과 수면시간이 5.5시간 미만인 노인은 인지기능 검사 점수가 떨어졌습니다.

     

    놀라운 일은 7.5시간 이상인 노인도 마찬가지로 인지기능 검사 점수가 낮아졌습니다.

     

    반면 수면시간이 5.5~7.5 시간인 노인은 인지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됐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는 수면시간과 인지기능 사이에 U자 모양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수면 중 뇌파 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100명의 노인에게 4~6일 동안 잠잘 때 미니 뇌파(EEG) 모니터를 이마에 착용하고 자도록 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노인들 가운데 88명은 인지기능이 정상이었고 11명은 아주 경미한 인지장애, 1명은 가벼운 인지장애가 있었습니다.

     

    그 결과 EEG 측정 수면시간이 4.5시간 이하와 6.5시간 이상인 사람이 인지기능 점수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EG 측정 수면시간은 연구 참가자가 밝힌 수면시간보다는 약 1시간 짧았기 때문에 이를 본인이 잤다고 생각하는 수면시간으로 환산하면 5.5시간 이하와 7.5시간 이상에 해당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발행하는 '뇌'(Brain) 최신 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