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권 운동의 상징으로 추앙받던 투투 대주교가 타계했습니다.
26일(현재시간), 데스몬드 투투 대주교 재단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의 철폐에 앞장섰던 데스몬드 투투 성공회 대주교가 케이프타운의 요양소에서 향년 90세를 일기로 선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분리, 격리'를 뜻하는 아파르트헤이트는 냉전시대부터 1990년대까지 있었던 백인과 유색인종에 대한 신분제도였습니다. 이 정책으로 인해 유색인종은 대도시 중심가에 사는 것 자체가 불법이었으며, 거주지를 옮기는 것도,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갖는 것도 어려웠습니다. 주권마저 박탈당한 것과 마찬가지였으며, 각종 공공시설도 제대로 이용할 수 없었고, 유색인종과 백인 간의 결혼 또한 금지되었습니다. 백인들 또한 언론, 문화 등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이유로 검열과 통제를 당하고 있었습니다.
투투 대주교는 이런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를 없애기 위해 일생을 바쳤습니다. 1958년 세인트피터스 신학대에 입학해 성직자의 길을 걷기 시작한 그는 1975년 44세의 나이로 요하네스버그 대성당의 주임 사제에 올랐습니다. 이는 당시에 유색인종으로써 가장 높은 성직에 오른 것이었습니다. 그럼에도 그는 흑인 빈민가에 살면서 흑인들을 위해 살았고, 그런 그의 모습을 본 백인들 중 일부가 그를 따르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운동은 단순히 유색인종 집회에 참석해 철폐운동을 독려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았습니다. 그는 백인들도 인종차별의 종식에 동참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는 인종차별정책이 흑인 뿐만 아니라 백인에게도 인간성에 큰 손상을 입히고, 각종 검열을 정당화하는 등 다양한 악영향을 준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당시 대통령이었던 존 보스터에게 <교인이 다른 교인에게>라는 공개서한을 보내, 아파르트헤이트의 문제점과 그로 인해 벌어질 유혈사태를 경고했으며, 일반 백인들에게 유색인종의 열악한 삶을 알리고 그들 또한 인간이라는 것을 깨닫게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을 비롯한 서방국가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를 방문해 남아공의 실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등, 전세계의 도움을 받기 위해 수없이 노력했습니다.
당시 백인 정권은 그의 활동을 보고 그를 요주의 인물 리스트에 올렸습니다. 1979년에는 그의 여권을 압수했으며, 다음 해에는 집회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그를 체포하고 벌금형을 선고하기도 했습니다. 1981년 그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를 방문해 인종차별 철폐에 대해 논의하자, 정부는 다시 그의 여권을 압수했습니다. 투투 대주교의 요청으로 서방국가가 약간의 경제제재를 취하자, 그에 대해 잘 모르던 백인들, 그리고 그를 따르던 흑인들도 그를 비판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기회로 삼아 정부는 그가 소속된 남아프리카 교회협의회를 표적조사해 투투 대주교를 압박했습니다.
그러던 1984년 투투 대주교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면서 투투 대주교의 노력은 빛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노벨 위원회는 투투 대주교를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하면서 "인간의 존엄과 우애,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남아프리카의 모든 개인과 단체에게 보내는 세계의 격려"라고 밝히면서 그의 운동을 지지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를 비롯해 수많은 유명인사들로부터 축하가 쇄도했습니다. 그의 노벨 평화상 수상은 남아공의 흑인들에게 힘을 실어줬으며, 나아가 아파르트헤이트가 세계적인 문제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1986년, 그가 케이프타운의 대주교로 선출되면서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운동은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되었습니다. 1988년 유엔(UN)에서 그는 "아파르트헤이트는 나치즘 만큼 부도덕하고 사악한 것"이라고 하면서 아파르트헤이트의 부당함을 세계에 더더욱 알리고자 했습니다. 1994년 넬슨 만델라가 첫 흑인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투투 대주교는 남아공 국가와 국민 통합을 위한 '무지개 국가(Rainbow Nation)' 운동을 제안했으며, 1995년에는 아파르트헤이트로 인해 벌어졌던 인권침해를 조사히기 위한 '진실화해위원회(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약칭 TRC)'의 위원장으로 임명됐습니다.
투투 대주교는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에도 다양한 차별을 언급하며 인권운동을 이어나갔습니다. 그는 새롭게 등장한 흑인 엘리트들에게 너무 큰 권력과 부가 집중됐다고 말하면서, 대다수 민중의 빈곤을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그는 교단의 동성애 차별에 강하게 반대했으며, 1996년 남아공 헌법의 성적 지향에 따른 차별 금지 명문화에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등 동성애와 관련된 차별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러던 그는 1997년 전립선암 등으로 투병생활을 이어갔고, 지난 2019년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한 자선재단 행사에 참석해 해리 영국 왕손 가족을 만난 후 공개 석상에서 모습을 감췄습니다.
투투 대주교의 선종 소식에 세계의 수많은 인사들이 애도를 표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대주교의 선종 소식을 듣고 가슴이 무너졌다면서, "그의 유산은 국경을 초월하고 시대를 초월해 울려퍼질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또한 "투투 대주교는 많은 이들에게 멘토이자 친구이자 도덕적 나침반이었다"라면서, 그에 대한 그리움과 애도를 표했습니다. 마틴 루터 킹의 딸 버나스 킹 또한 그의 선종 소식을 듣고 "전 지구적인 현자이자, 인권 지도자이자, 이 땅의 강력한 순례자였던 이의 죽음에 슬픔에 잠겼다"라며 애도를 표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또한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과거사의 진실을 통해 용서와 화해를 이루고자 했던 그의 삶은 인류 마음속에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고 하면서, 그가 하느님 품에서 영원한 안식을 얻길 기도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