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 발견

Contents List 3

  • 국내 연구팀, 치매 원인 되는 세포 찾다

    국내 연구팀이 뇌 속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가 치매의 원인임을 밝혔다. 좌측은 정상인 별세포이며, 우측은 치매의 원인인 '중증 반응성 별세포'이다. [이미지 :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치매는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으로, 그동안 한번 진행이 되면 늦추는 것만 가능할 뿐 근본적인 치료는 불가능했습니다. 그런데 국내 연구팀이 치매의 발병 원인을 찾아내, 치매의 치료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됐습니다.

     

    지난 17일,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의 이창준 단장, 전희정 선임연구원 연구팀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하 뇌과학연구소의 류훈 단장 연구팀은 "신경세포 사멸 및 치매병증에 '뇌 속의 비신경세포'가 관련됐다"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를 통해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세계 유수의 연구팀들이 치매 원인으로 수많은 가설이 제기했었고, 그 중 유력한 가설인 Apo E4 가설에 근거해 치료를 진행했었습니다. 이 Apo E4가설은 뇌 속에서 발견되는 노폐물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및 타우가 신경 독성이 있고, 이로 인해 신경염증 반응이 유발돼 중추신경계를 퇴행시켜 치매가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노폐물 단백질들을 제거해도 치매가 지속되거나, 노폐물 단백질이 많은데도 치매가 없는 경우도 있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주장이 점차 생기고 있었습니다.

     

    이에 국내 연구팀은 노폐물 단백질 대신 뇌 속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를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별세포'는 뇌의 독성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별세포가 변화한 '반응성 별세포'가 신경세포 사멸 및 치매병증을 유도한다는 것입니다.

     

    별세포는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크기 및 가지, 수가 증가하고 기능도 변화하는데, 이렇게 변한 별세포를 '반응성 별세포'라고 합니다. 연구팀은 '반응성 별세포'에 주목해, 독성의 농도와 횟수를 조절하여 별세포의 반응성을 확인하는 동물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가벼운 변화가 일어난 '경증 반응성 별세포'는 주변 신경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정상으로 돌아오지만, 변화의 정도가 심한 '중증 반응성 별세포'는 주변 신경세포를 죽이면서 치매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러한 '중증 반응성 별세포'를 유발하는 주요한 원인은 '모노아민 산화효소B 단백질'과 그로 인해 과량 생성된 과산화수소라고 합니다. 특히 과산화수소는 뇌염증, 질산화 스트레스 등을 유발해 신경세포를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희정 선임연구원은 뇌의 독성물질과 함께 스트레스, 뇌손상,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 증가로 중증 반응성 별세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막으면 치매의 진행을 차단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창준 단장은 반응성 별세포가 신경세포사멸으 주원인임을 밝혀서 기쁘고, 이 연구결과가 치매 환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모노아민 산화요소B 단백질과 과산화수소에 중점을 둔 치매 진단 및 치료 전략을 수립, 수행할 계획입니다.

  • 리바이스, 오래된 청바지로 환경문제 헤결에 나서다

    청바지로 인한 각종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바이스'가 중고 프로그램인 '리바이스 세컨핸드'를 시작했다.

    청바지는 시대를 뛰어넘어 모두에게 사랑받아온 패션 아이템입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디자인은 조금씩 달라졌지만, 180년이 지난 지금도 다들 옷장에 청바지 한 벌 씩은 갖추고 있을 정도죠.

     

    작업복부터 시작해서 패션아이템까지, 많은 이들에게 지금까지도 사랑을 받는 청바지이지만, 이 청바지로 인해 환경에 많은 부담이 가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청바지 한 벌을 만드는 데 약 32kg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청바지 특유의 색감을 위해 온갖 화학약품들이 쓰여, 상당한 양의 폐수도 배출된다고 합니다. 심지어 워싱 등 각종 가공을 거치면서 나오는 분진도 있습니다.

     

    이에 지난7일, 청바지의 대명사라 불리는 '리바이스'가 청바지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에서 중고 프로그램 '리바이스 세컨핸드'를 시작했습니다.

     

    '리바이스 세컨핸드'는 매장에 더이상 입지 않는 리바이스 의류를 가져오면,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각종 쿠폰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본래 텐트용의 질긴 천으로 만들어져 '노동자들의 옷'으로 불렸던 청바지는, 내구성이 뛰어나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옷입니다. 실제로 미국의 한 폐광산에서 140년 된 리바이스 청바지가 발견됐는데, 상태가 양호해서 지금 입어도 될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오래입는 옷 보다는 패션아이템으로서의 성격이 강해졌고, 유행에 따라 새로운 제품이 계속 출시되면서 환경에 악영향을 끼쳤습니다.

     

    이에 리바이스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더이상 입지 않는 중고 의류들을 수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수거된 중고 의류들은 세탁, 수선 등의 재가공 과정을 거칩니다. 이렇게 재가공된 중고 의류들은 리바이스에서 직접 운영하는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판매됩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청바지를 구입하면 새 제품보다 탄소 배출량이 80% 정도 감소하고, 폐기물도 700g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미국 리바이스는 말합니다.

  • 나뭇잎 효소로 페트병 하루만에 완전 분해

    지구촌을 오염시키는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생겼습니다.

    프랑스의 한 기업이 나뭇잎으로 만든 퇴비에서 발견한 효소를 개량해 플라스틱을 분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10일 해외 언론에 따르면 프랑스 친환경 화학회사 카르비오는 10시간 안에 페트병의 재료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90% 분해하는 세균성 변종 효소를 개발했습니다.

     

    자연에서 페트병이 완전히 분해되려면 500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회사의 나뭇잎 퇴비 큐틴분해효소(LLC)는 하루 안에 페트병을 대부분 분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효소를 활용하면 페트병의 재활용 범위도 크게 넓어지게 됩니다. 기존의 페트병 재활용 기술로는 의료나 카펫 제작에 쓰이는 플라스틱만 만들 수 있지만 LLC를 이용하면 식품류에 쓰이는 페트병을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카르비오는 이 효소를 5년 안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로레알, 펩시 등 페트병을 대량으로 사용하는 회사와 협력해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 효소의 발견 과정을 담은 논문은 7일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에 공개됐습니다.

  • 사망선고 뒤 10시간 만에 살아난 할머니가 본 사후세계

    우크라이나의 크세니아 디두트(82)가 사망선고 뒤 10시간 만에 살아나 화제가 되었다. 특히 그는 심정지 당시 사후세계를 체험했다고 해 사람들을 더욱 놀라게 했다. [이미지 : SIMULIZI NA MAAJABU 유튜브]

    80대 할머니가 사망 선고를 받은 뒤 10시간 만에 살아났습니다.

     

    그 할머니는 깨어나서 자신이 하늘나라에 있는 것처럼 느껴졌으며 돌아가신 아버지가 자신을 부르고 있었다고 말해 주위 사람들을 더욱 놀라게 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언론에 따르면 올해 83세인 크세니아 디두크 할머니는 지난주 자택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습니다. 가족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급 대원들이 응급조치를 했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결국 가족들은 경찰에 신고를 했고 경찰관이 의사와 함께 집을 찾아 사망진단서를 발급했습니다.

     

    스트리츠하프카에 살고 있는 가족들은 그날 저녁 장례식 만찬을 준비했고 묘지에 관을 안치할 무덤도 파 뒀습니다. 장례식을 집도할 신부님에게 연락도 했습니다.

     

    하지만 디두카 할머니가 세상을 떠난 지 10시간쯤 지났을 때 딸 테티야나 포톰첸코가 할머니에게서 생기를 느꼈습니다.

     

    “7시 30분쯤이었을 겁니다. 어머니 이마를 만졌는데 온기가 느껴지는 겁니다. 겨드랑이를 만져봤는데 마찬가지였어요.”

     

    가족들은 급히 구조를 요청했고 앰뷸런스가 다시 출동해 할머니를 병원 중환자실로 옮겼습니다.

     

    할머니는 얼마 지나지 않아 의식을 회복했고 의사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을 정도로 기력을 회복했습니다.

     

    의사들도 깜짝 놀랐습니다. 비니치아 지역 병원 의사인 테티야나 카틸로바 박사는 언론에 “20년 이상 의사로 일했지만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고 놀라워했습니다.

     

    할머니가 깨어나서 한 말은 가족은 물론 의료진들까지 더 놀라게 했습니다.

     

    “돌아가신 아버지가 저를 부르고 있었어요. 저는 하늘나라에 있다고 느꼈지요. 흰옷을 입은 사람들이 주위에 서 있었습니다. 눈을 떴을 때 여전히 흰옷을 입은 사람들이 보여 천사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의사들이었습니다. “

     

    장례식 집도를 준비했던 로만 페트릭 신부도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났다고 말했습니다.

     

    “부활의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하느님께서 할머니를 되살리셨습니다. 저도 처음 이런 일은 처음 봅니다.”

  • 생면부지 아이를 위해 간을 떼 준 간호사

    카미 로리츠(좌측)는 지난해 5월 브레이든 오텐(우측)의 사연을 듣고 흔쾌히 간 이식을 지원했다. [이미지 : INSIDE Edition 유튜브]

    한 간호사가 만난 적도 없는 아이를 위해 간을 기증했습니다.

     

    위스콘신주 밀워키의 한 병원에서 일하는 간호사 카미 로리츠의 이야기입니다. 

     

    밀워키에 사는 루스와 제임스 오텐 부부는 지난해 4월 8살 아들 브레이든이 복통과 설사 증세를 보이자 감기에 걸렸다고 생각해 동네 병원에 데리고 갔습니다 

     

    하지만 증세는 나아지지 않았고 브레이든의 피부가 노랗게 변하기 시작하자 밀워키의 어린이병원에 아들을 입원시켰습니다. 

     

    정밀검사 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 바이러스에 따른 간 손상으로 간 이식을 받지 않으면 생명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시간이 없었습니다. 부부는 사방팔방으로 간 이식자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가족과 친척은 물론 친구들에게까지 도움을 요청했지만 이식에 적합한 사람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희망의 불씨가 꺼져갈 무렵 기적 같은 일이 생겼습니다. 간 기증자가나타난 것입니다. 

     

    밀워키 프뢰테르트 병원의 이식환자 집중치료실에서 일하는 간호사 카미 로리츠는 브레이든의 얘기를 듣고 간이식 의사를 밝혔고 검사 결과 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은 것입니다. 

     

    수술은 지난해 5월14일 성공적으로 진행됐고 브레이든은 건강을 되찾았습니다. 

     

    브레이든의 부모는 수술 전 기증자를 만나 감사 인사를 전하고 싶었지만 로리츠가 수술이 성공하기 전까지 익명을 요구해 알 수가 없었다고 합니다.

     

    로리츠는 수술이 끝난 뒤 2주만에 병원을 찾아 브레이든을 꼭 안아주며 건강을 회복한 것을 축하해줬습니다. 

     

    생명의 은인을 만나면 “꼭 껴안아 주겠다”고 말한 브레이든은 로리츠를 만나 포옹한 뒤 감사의 눈물을 흘렸고 이를 지켜보던 로리츠도 함께 울었습니다. 

     

    로리츠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브레이든이 건강해지는 모습을 보는 것이 너무 기뻤다”고 말했습니다. 

  • 오랑우탄이 내민 도움의 손길

    동물이 위기에 처한 사람을 돕는 얘기가 자주 들려옵니다.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에 사는 한 오랑우탄이 물웅덩이에 빠진 사람을 구하기 위해 손을 내미는 사진이 SNS를 통해 공유되며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CNN 등 외국 언론은 인도 지질학자이자 아마추어 사진가 애닐 프라브하카르가 찍은 사진을 소개했습니다.

     

    프라브하카르는 보르네오 오랑우탄 생존 재단(BOSF: Borneo Orangutan Survival Foundation)이 운영하는 오랑우탄 보호 지역에서 친구들과 사파리를 하던 중이었습니다.

     

    그는 CNN에 “물웅덩이에 뱀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경비원이 뛰어들어 뱀을 잡았는데 그때 오랑우탄이 다가와 그에게 손을 내밀었다"라고 말했습니다.

     

    프라브하카르는 물웅덩이 바닥이 진흙이어서 경비원이 밖으로 나오기가 어려워 보이자 그 모습을 보고 오랑우탄이 도움을 주려고 한 것 같다고 합니다.

     

    경비원이 허리까지 빠지는 물속에 뛰어들어 뱀을 잡은 것은 독사들이 오랑우탄에게 큰 위협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경비원은 오랑우탄이 내민 도움의 손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야생 오랑우탄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알 수 없어서 그를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프라브하카르는 “그런 장면을 본 적이 없어서 눈조차 깜빡이지 않고 사진을 찍었다"라며 너무 감동적이었다고 언론에 밝혔습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오랑우탄의 90%는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서 발견된다고 합니다.

     

     
     
     
     
     
     
     
     
     
     
     
     
     
     
     

    A post shared by Reminiscence Photography (@anil_t_prabhakar) on

     

  • 휴가가 아이의 학습 두뇌 키운다

    서양 속담에 공부만 하고 놀지 않으면 바보가 된다(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 속담이 과학으로 입증되고 있습니다.

     

    영국 아동심리치료사 마고 선더랜드 박사는 영국 언론 텔레그라프에 쓴 기고문에서 휴가가 아이 두뇌 발달을 위한 투자라고 말했습니다.

     

    가족과 함께 보내는 휴가 기간 동안 대뇌변연계에 있는 두 가지 중요한 시스템을 훈련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시스템은 집에서는 쉽게 작동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선더랜드 박사가 든 두 가지 중요한 시스템은 바로 놀이 시스템(Play system)과 탐구 시스템(Seeking system)으로 미국 워싱턴주립대의 세계적 신경과학자인 자크 팽크셉 교수가 발견했습니다.

     

    선더랜드 박사는 뇌의 Play system은 아이들이 발을 모래에 묻고 놀거나, 수영장 라운지에서 간지러움을 태우며 놀거나, 부모의 등에 업혀 다닐 때 작동한다고 합니다.

     

    또 Seeking System은 부모나 친구들과 함께 숲이나 해변을 ‘탐험’하거나 시골 마을의 숨겨진 비밀 장소 등을 찾으러 다닐 때 활성화된다고 했습니다.

     

    이들 시스템의 활성화는 아이들의 두뇌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두 시스템이 아이들의 인지기능, 문제해결능력, 기억력, 판단력, 언어 능력 등과 관련된 전두엽의 발달과 연결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꼭 휴가가 아니더라도 아이들이 또래 친구들과 야외에서 뛰어다니며 노는 게 학습 능력을 키우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카이스트, 물 몇 방울로 전기 만드는 기술 개발

    물이나 공기를 연료로 쓰고자 하는 것은 인류의 오랜 꿈이었습니다.

     

    카이스트 연구팀이 그 꿈에 성큼 다가섰습니다. 물 몇 방울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기 때문입니다.

     

    카이스트가 최근 언론에 공개한 바에 따르면 김일두 신소재공학과 연구진은 전도성 탄소 나노입자를 입힌 면섬유의 한쪽에 물을 떨어뜨리면 전류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수소 이온을 잡아당기는 전도성 탄소 나노입자 때문에 면섬유의 젖은 부분과 마른 부분 사이에 전압 차가 발생하면서 소량의 전기가 생긴다는 것입니다.

     

    연구진은 이 개념을 적용한 발전기를 통해 0.15ml의 물로 20mW급 LED 전구를 켜는 데 성공했습니다.

     

    김 교수팀은 수분이 사라지면 발전이 중단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활용해 대기 중의 습도가 20~80%일 경우 물 공급 없이도 발전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12월 호에 실렸습니다.

  • 매일 사람과 포옹하는 캥거루

    호주의 앨리스 스프링스 캥거루 보호구역에 사는 퀸 애비(Queen Abi)라는 캥거루가 매일 아침 자원봉사자들을 찾아 포옹을 하며 인사를 하고 있다. [이미지 : The Kangaroo Sanctuary Alice Springs]

    

     

    호주의 앨리스 스프링스 캥거루 보호구역에는 포옹을 좋아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캥거루가 있습니다.

     

    퀸 애비(Queen Abi) 라는 이름의 캥거루는 매일 아침 이곳에서 일하는 자원봉사자를 찾아 포옹을 합니다.

     

    애비가 매일 사람들과 포옹을 하는 이유는 자신을 구해준 이들에게 애정을 표현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애비는 12년 전 생후 5개월이었을 때 발견됐습니다.

     

    당시 보호구역에서 일하던 한 종사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생후 5개월 된 고아였던 애비를 발견했을 때 무언가에 베이고 긁힌 상처 투성이었다"라고 적었습니다.

     

    보호구역 전문가들은 지극정성으로 애비를 돌봤고 애비는 마침내 건강을 회복했습니다. 그때부터 애비는 자신을 돌봐준 사람들과 매일 아침 포옹을 한다고 합니다.

     

    하루도 빼먹지 않는 애비의 아침 포옹 인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 ‘낙서쟁이’ 9살 소년, 레스토랑 인테리어 꾸미다

    조 웨일(9)과 그가 디자인한 슈루즈베리의 레스토랑 '넘버 4'의 벽면 인테리어 [이미지 : My Modern Met]

    학교에서 낙서만 한다고 혼나던 소년이 레스토랑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초청받았습니다.

     

    영국 언론에 따르면 올해 9살인 조 웨일은 지난 몇 년 동안 학교에서 수업 시간에 공책에 낙서만 한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모든 선생님들이 조의 낙서 습관을 나무라지는 않았습니다. 올해 담임을 맡은 선생님은 조가 그림에 뛰어난 재능이 있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그 선생님은 제자의 ‘낙서’를 SNS에 올렸습니다.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많은 이들이 조의 ‘작품’을 칭찬했습니다.

     

    초청도 받았습니다. 조가 사는 슈루즈베리의 레스토랑 넘버 4(Number 4)에서 레스토랑 벽면을 조의 그림으로 채우고 싶다고 연락한 것입니다.

     

    조는 뛸 듯이 기뻐했습니다. 매일 수업이 끝나면 아빠가 운전하는 차를 타고 그 레스토랑으로 가서 마커 펜을 들고 작업을 했습니다.

     

    지금 그 레스토랑 벽면에서 조가 그린 다양한 그림이 빼곡히 들어차 식당을 찾는 이들의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조의 아버지 그레그 웨일은 “조는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마다 적어 두는 공책이 있다"라며 “레스토랑에 구현된 그림의 80%는 그의 머리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조의 부모는 수업 시간에 낙서를 한다는 얘기를 듣고도 그를 나무라지 않고 재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격려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MAGE|645|center|레스토랑 '넘버 4'를 인테리어하고 있는 조 웨일(9). [이미지 : Caters Clip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