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 아름다운_이야기

Contents List 3

  • 친구들 급식비 마련을 위한 8살 꼬마의 프로젝트

    키오니 칭(8)과 그가 급식비를 못 낸 친구들을 위해 만든 열쇠고리들 [이미지 : KGW News 유튜브]

    초등학교 2학년 꼬마가 수제 열쇠고리를 만들어 판 돈으로 친구들의 밀린 급식비를 갚았습니다.

     

    CNN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워싱턴주 밴쿠버에 사는 키오니 칭은 친구들이 급식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친절 주간(Kindness Week)’에 그들을 돕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무엇을 할지 고민하던 그에게 영감을 준 것은 미국 프로 풋볼팀인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의 리처드 셔먼 선수였습니다. 그는 학생들의 밀린 급식비를 갚기 위해 2만 7천여 달러를 기부했습니다.

     

    칭도 돈을 모아 셔먼처럼 기부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를 위해 수제 열쇠고리를 만들어 팔기로 했습니다. 칭의 부모도 동참했습니다.

     

    그가 열쇠고리를 만들어 팔게 된 사연이 알려지자 미국 전역에서 주문이 밀려드는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났습니다.

     

    키오니의 어머니 에이프릴 칭은 “수제 열쇠고리를 애리조나, 아일랜드, 알래스카 등 미국 각지에 배송했습니다. 열쇠고리 100달러어치를 구매한 사람도 있었어요”라고 말했습니다. 심지어 5달러에 판매되는 열쇠고리 하나를 100달러를 주고 산 사람도 있었다고 합니다.

     

    칭은 300개가 넘는 열쇠고리를 만들어 팔아 4015달러를 모았습니다. 이 가운데 1000달러는 같은 학교 친구들의 밀린 급식비를 갚는데 썼고 나머지는 근처의 다른 6학교에 전해졌습니다.

     

    칭은 CNN 과의 인터뷰에서 “다른 사람들을 돕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세상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니까요”라고 말했습니다.

     

    미국에는 학교 급식비를 내지 못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전교생의 75%가 급식비를 못 낸 학교도 있습니다.

    

  • 오랑우탄이 내민 도움의 손길

    동물이 위기에 처한 사람을 돕는 얘기가 자주 들려옵니다.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에 사는 한 오랑우탄이 물웅덩이에 빠진 사람을 구하기 위해 손을 내미는 사진이 SNS를 통해 공유되며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CNN 등 외국 언론은 인도 지질학자이자 아마추어 사진가 애닐 프라브하카르가 찍은 사진을 소개했습니다.

     

    프라브하카르는 보르네오 오랑우탄 생존 재단(BOSF: Borneo Orangutan Survival Foundation)이 운영하는 오랑우탄 보호 지역에서 친구들과 사파리를 하던 중이었습니다.

     

    그는 CNN에 “물웅덩이에 뱀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경비원이 뛰어들어 뱀을 잡았는데 그때 오랑우탄이 다가와 그에게 손을 내밀었다"라고 말했습니다.

     

    프라브하카르는 물웅덩이 바닥이 진흙이어서 경비원이 밖으로 나오기가 어려워 보이자 그 모습을 보고 오랑우탄이 도움을 주려고 한 것 같다고 합니다.

     

    경비원이 허리까지 빠지는 물속에 뛰어들어 뱀을 잡은 것은 독사들이 오랑우탄에게 큰 위협이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경비원은 오랑우탄이 내민 도움의 손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야생 오랑우탄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알 수 없어서 그를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프라브하카르는 “그런 장면을 본 적이 없어서 눈조차 깜빡이지 않고 사진을 찍었다"라며 너무 감동적이었다고 언론에 밝혔습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오랑우탄의 90%는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섬과 수마트라섬에서 발견된다고 합니다.

     

     
     
     
     
     
     
     
     
     
     
     
     
     
     
     

    A post shared by Reminiscence Photography (@anil_t_prabhakar) on

     

  • 택배기사용 간식함 만든 아파트

    경기도 수원시의 한 아파트의 각 동에는 택배기사들을 위한 간식함이 비치되어 있다. [이미지 : KBS News 유튜브]

    택배기사들을 위해 간식함을 만든 아파트가 있습니다.

     

    경기도 수원시 한 아파트의 각 동 경비실 입구에는 두유, 건빵 등이 든 수납장이 있습니다. 택배기사들을 위한 ‘간식 창고’이지요.

     

    입주자 대표회의가 마련한 수납장 앞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쓰여 있습니다.

     

    “입주민을 위해 애써주심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잠시라도 피곤함을 잊으라고 간식을 준비했으니 드시고 힘내시고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단지 내 안전운행과 안전사고에 유의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택배기사를 위한 간식 비용은 아파트 주민들이 운영하는 자선 모임에서 기부를 받아 마련한다고 합니다.

     

    입주자 대표회의에서는 새벽 배송을 하는 기사들이 끼니를 거르고 일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얘기를 듣고 간식함 설치를 논의했습니다. 이곳 주민들은 이전부터 택배기사에게 음료수나 건강음료를 주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 사연은 이전에 여기에 살던 주민이 약속 때문에 방문했다 단지 입구에 설치된 간식함을 보고 “더불어 살아갈 줄 아는 품격 높은 아파트”라고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면서 알려졌습니다.

     

    [[IMAGE|699|center|택배기사를 위한 간식함 위에 붙어있는 메시지 [이미지 : KBS News 유튜브] ]]

  • 설날에 찾아오는 부산 남구의 기부천사

    부산시 남구 용호동에는 설날이면 찾아오는 손님이 있습니다.

     

    신분도 밝히지 않는 그 손님은 올해도 어김없이 이곳을 찾아 어려운 이웃을 위해 써달라며 거금을 두고 갔습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일 부산시 남구 용호4동 행정복지센터에 50대로 보이는 한 남성이 찾아와 1천만 원이 든 봉투를 민원대에 올려놓았습니다.

     

    올해 봉투 위에는 "2019년 정년퇴직을 해서 2020년도에는 지원이 어렵겠네요. 이해 바라며 형편이 되면 내년에 뵙지요"라는 글귀를 남겼다고 합니다.

     

    그 남성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어려운 이웃에 써달라는 말만 남기고 사라졌습니다.

     

    그는 2015년부터 매년 설 연휴를 앞두고 이곳을 찾아 익명의 기부를 이어나가고 있는데 올해까지 6년 동안 4800만 원을 기부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남구는 기부자의 뜻에 따라 용호동 1~4개동에 각 250만 원씩 기부금을 나눠줘 어려운 이웃 돕기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 폐지 판 돈 기부 27년째 이어가는 할아버지

    지난 5일 장광래(75) 할아버지가 천안시 중앙동 행정복지센터에 100만 원 상당의 상품권을 기부해 화제가 되었다. [이미지 : MBCNEWS 유튜브]

    폐지를 팔아 생활하는 70대 할아버지가 27년째 기부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천안시에 따르면 지난 5일 중앙동에 사는 장광래(75) 할아버지가 행정복지센터를 찾아 100만 원 상당의 온누리상품권을 기탁했습니다. 어려운 이웃에 전달해달라는 부탁과 함께요.

     

    온누리상품권은 할아버지가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동네의 폐지를 수거해 판 돈 가운데 일부를 모은 돈으로 구매한 것입니다.

     

    할아버지는 매일 폐지를 팔아서 받은 돈을 들고 은행을 찾는다고 합니다. 적은 돈이지만 할아버지가 통장에 꼬박꼬박 입금하는 이유는 갖고 있다가 써버릴까 걱정해서라고 합니다.

     

    그렇게 모은 돈으로 연말이면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에게 장학금을 줬고, 생활비가 부족한 이웃에게는 생필품을 사서 보내기도 했습니다. 올해로 27년째입니다.

     

    할아버지는 아침이면 초등학교 앞에서 학생들의 안전한 등교를 돕는 봉사활동도 한다고 합니다.

     

    할아버지는 MBC와의 인터뷰에서 “천진난만한 애들이 고맙다고 인사하고, 또 어떤 때는 사탕도 하나씩 줄 때도 있어요. 그게 얼마나 고마운지…”라며 자신이 오히려 얻는 게 많아 기부를 멈출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 93세 산타의 크리스마스 선물은 수제 장난감 300개

    펜실베니아주에 거주하는 에드 하긴보탐 할아버지가 손수 만든 나무 자동차 장난감 300개를 펜실베니아 주경찰에 기부했다. [이미지 : 펜실베니아 주경찰]

    할아버지는 올해도 나무 장난감을 만들었습니다.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아이들에게 선물로 주기 위해서 손수 나무를 깎아 만든 자동차 장난감입니다. 무려 300개나 됩니다. 
     
    폭스뉴스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미국 펜실베니아주 페이에트 카운티에 사는 에드 히긴보탐 할아버지는지난 12일 미국 펜실베니아주 경찰서에 나무로 만든 트럭 장난감 300개를 기부했습니다.
     
    경찰은 이들 장난감을 피츠버그 지역의 유치원이나 다른 유아 관련 기관에 나눠주기로 했습니다.

    순찰 대원인 로버트 브로드워터에 따르면 에드 할아버지는 이런 놀라운 선물을 준비하기 위해 올해 나무 장난감 트럭을 만드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에드 할아버지는 1990년대 초반 은퇴한 뒤부터 나무 장난감을 만들어 어린이들에게 선물로 주는 일을 해왔습니다. 20년 넘게 이 일을 해온 것이지요.
      
    그는 언론에서 자신을 산타클로스라고 부르는 것을 무척 부담스러워했습니다. 지난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좋아서 하는 일일뿐 산타클로스 놀이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에드 할아버지는 주위의 거듭된 ‘과찬’조차도 삶의 자연스러운 부분으로 받아들이기로 한 것 같습니다.
     
    그는 한 지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나무 장난감을 만들어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것은 매우 즐거운 일”이라며 “그런 일을 하는 게 산타클로스라면 나는 지금 산타클로스가 분명하다"라고 말했습니다.

  • 매일 사람과 포옹하는 캥거루

    호주의 앨리스 스프링스 캥거루 보호구역에 사는 퀸 애비(Queen Abi)라는 캥거루가 매일 아침 자원봉사자들을 찾아 포옹을 하며 인사를 하고 있다. [이미지 : The Kangaroo Sanctuary Alice Springs]

    

     

    호주의 앨리스 스프링스 캥거루 보호구역에는 포옹을 좋아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캥거루가 있습니다.

     

    퀸 애비(Queen Abi) 라는 이름의 캥거루는 매일 아침 이곳에서 일하는 자원봉사자를 찾아 포옹을 합니다.

     

    애비가 매일 사람들과 포옹을 하는 이유는 자신을 구해준 이들에게 애정을 표현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애비는 12년 전 생후 5개월이었을 때 발견됐습니다.

     

    당시 보호구역에서 일하던 한 종사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생후 5개월 된 고아였던 애비를 발견했을 때 무언가에 베이고 긁힌 상처 투성이었다"라고 적었습니다.

     

    보호구역 전문가들은 지극정성으로 애비를 돌봤고 애비는 마침내 건강을 회복했습니다. 그때부터 애비는 자신을 돌봐준 사람들과 매일 아침 포옹을 한다고 합니다.

     

    하루도 빼먹지 않는 애비의 아침 포옹 인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 하루 100원으로 묵을 수 있는 호텔

    베트남에서 하루 100원으로 묵을 수 있는 끼엔 안 레지던트 [이미지 : THANHNIEN]

    베트남 호찌민에서 사업을 하는 응웬 탄 응웬 씨는 남부 껀토시의 한 병원을 찾았다가 가슴이 아픈 광경을 목격합니다.

     

    장기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은 가난한 사람들이 머물 곳이 없어 병원 복도와 벤치에서 지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이 하루 8만 동(4천 원)~15만 동(7500원) 하는 숙박비를 장기간 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응웬 씨는 가난한 이들이 비용 부담 없이 오래 머물면서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숙박시설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가난한 이들의 천국’으로 불리는 끼엔 안 레지던트(Kien An Residence)는 그렇게 탄생했습니다.

     

    응웬 씨는 지금 레지던트로 운영되고 있는 건물을 월 700만 동(한화 약 35만 원)에 임대한 뒤 4천만 원 가까운 돈을 들여 리모델링을 했습니다.

     

    지난 7월 끼엔 안 레지던트는 15개의 객실과 객실별로 이층 침대 2개씩을 갖춘 어엿한 숙박시설로 ‘영업’을 시작했습니다. 객실에는 에어컨과 선풍기도 달았습니다. 와이파이도 됩니다.

     

    베트남 기준으로 중급 호텔 수준의 시설로 숙박료는 하루에 1500동(한화 약 75원)~2만 2000동(1600원)입니다. 숙박료는 숙박객의 처지에 따라 값이 달라집니다. 장애, 노인, 어린이는 1500동, 학생은 6000동, 보통 사람은 2만 2000동 등입니다.

     

    탄 린 매니저는 베트남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무료로 숙박할 수 있는 공동주택 개념이지만 전기와 수도료를 내도록 했습니다. 숙소 유지비로 쓰기 위해서입니다.”

     

    끼엔 안 레지던트에는 현재 2명의 직원이 청소, 빨래, 숙소 관리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봉사자들입니다.

     

    ‘고객'들은 자신의 가난한 처지를 굳이 증명하지 않아도 됩니다.

     

    응웬 씨와 직원들은 이곳을 찾는 이들이 정직하고 선하다고 믿습니다.

     

    “정직한 사람을 믿어줌으로써 그들이 가진 선의의 아름다움을 잃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 로저 페더러, 말라위, 그리고 100만 명의 아이들

    로저 페더리가 자신이 도운 아프리카 말라위의 어린이들과 함께 놀이를 하고 있다. [이미지 : BBC News 유튜브 캡처]

    로저 페더러는 역사상 최고의 테니스 선수라는 평을 듣고 있습니다.

     

    2019년 3월 남자 프로 테니스(ATP) 투어 단식에서 미국의 지미 코너스에 이어 두 번째로 통산 100번째 우승을 달성한 선수입니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237주 동안 세계 랭킹 1위에 올라 역대 최장 연속 랭킹 1위를 기록했고 302주 동안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한 유일한 선수이기도 합니다.

     

    많은 이들이 페더러가 써나가는 위대한 테니스 역사를 알고 있지만 아프리카 말라위의 가난한 아이들을 돕는 그의 담대한 프로젝트를 아는 이들은 적습니다.

     

    페더러의 어머니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입니다. 페더러는 어린 시절 어머니와 함께 아프리카를 자주 찾았는데 그 과정에서 아프리카 어린이들이 처한 어려운 현실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됐다고 합니다.

     

    페더러는 2004년 아프리카 말라위에 로저 페더러 재단을 만들어 아이들의 교육과 급식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 재단은 2018년까지 100만 명의 아이들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고, 이를 달성했습니다.

     

    로저 페더러 재단을 이끌고 있는 제니 핸델 CEO는 목표를 달성한 뒤 다음과 같은 소회를 밝혔습니다.

     

    “이처럼 놀라운 결과를 달성하기까지 어려움이 많았지만 로저 페더러가 늘 자신의 목표를 달성했듯이 우리도 그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100만 명의 아이들이 학교, 유치원 등에서 양질의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그 아이들은 일자리를 찾아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는 보다 나은 기회를 갖게 될 것입니다.”

     

    로저 페더러는 BBC와 인터뷰에서 “아이들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은 너무 환상적인 일”이라며 “테니스 선수가 된 뒤에 늘 이곳이 내가 돌아와서 도와야 할 곳이라고 늘 생각했고 그럴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하다"라고 말했습니다.

  • 지갑을 잃어버린 뒤 계좌에 입금된 돈

    잃어버린 지갑을 들고 있는 팀 캐머런(좌)과 그의 지갑을 찾아준 사이먼 바이포드(우) [이미지 : 팀 캐머런 트위터]

    영국 런던에 사는 팀 캐머런(30)이 지갑을 잃어버렸다 찾은 재미있는 사연을 자신의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캐머런은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는데 퇴근길에 청바지 뒷주머니에 넣어둔 지갑이 땅에 떨어졌지만 집에 도착해서야 지갑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지갑 안에는 운전면허증, 신용카드 등이 들어있어서 도용됐을 가능성도 있어서 걱정이 됐습니다.

     

    캐머런은 곧바로 자신의 은행 계좌부터 조회를 했습니다. 그리고 깜짝 놀랐습니다. 자신의 계좌에 세 차례에 걸쳐 돈이 입금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돈을 입금한 사람은 지갑을 주운 사이먼 바이 포드(30)였습니다. 그는 자전거를 타고 가다 길에서 떨어진 지갑을 발견했는데 지갑 안에는 주인을 확인할 단서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팀 캐머런이라는 이름도 흔해서 페이스북을 통해 확인하기도 어려웠습니다. 지갑을 뒤지던 바이 포드는 은행 카드에 적힌 계좌번호를 발견하고 지갑 주인에게 연락할 수 있는 지혜를 떠올렸습니다. 지갑 주인이 명의 도용을 우려해 맨 먼저 자신의 계좌를 열어볼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계좌로 1센트씩 3차례에 걸쳐 3센트를 입금했습니다. 그가 3차례 입금한 이유는 한 번 입금할 때마다 쓸 수 있는 영문 단어가 18개에 불과했기 때문입니다.

     

    바이포드는 세 차례 입금을 하면서 캐머런에게 “Hi, I found your” “wallet in the road” “Call 000-0000”이라는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캐머런은 곧바로 전화를 해 바이포드를 만나 지갑을 돌려받았고 고맙다는 뜻으로 레드와인 한 병을 선물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