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 사랑

Contents List 3

  • 카이스트 출신 건축학도 방앗간을 세우다

    연남방앗간. 이미지 출처 : 어반플레이 홈페이지

    올해 3월 초에 서울의 핫한 동네로 뜬 연남동에 방앗간이 생겼습니다. 상호는 동네 이름을 딴 ‘연남방앗간’입니다. 

     

    연남방앗간은 시골 마을의 방앗간과는 조금은 다릅니다. 주된 생산품은 쌀이나 보리가 아니라 참기름입니다. 

     

    옛날 동네 사람들의 사랑방으로 구실했던 방앗간의 특성은 살렸습니다. 동네 사람들이 함께 모여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고 음식도 나눕니다. 

     

    도심 속의 방앗간을 만든 이는 소셜 벤처 어반플레이의 홍주석 대표입니다. 

     

    [[IMAGE|248|center|caption]]

     

    홍 대표는 한양대 건축학과를 나온 건축학도입니다. 방학 때 유럽에 건축 답사 여행을 갔다가 조금 ‘특별한’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세계 유명 건축물과 건축 박람회를 가봤지만 감흥이 없었던 것이지요. 대신 인도 뒷골목의 오래된 시장, 태국의 낡은 골목 등 세월이 켜켜이 쌓여 만들어진 낡은 공간에 끌렸다고 합니다. 

     

    건축가보다 공간을 새롭게 만드는 데 관심이 많아서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에 들어갔지만 박사과정 첫해에 공부를 그만둡니다. 

     

    동네 가게들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대기업이 운영하는 프랜차이즈가 들어서는 것이 안타까워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어반플레이를 창업했습니다. 

     

    어반플레이는 동네를 매니지먼트하는 회사입니다. 콘텐츠 중심의 동네 라이프스타일 서비스를 만들어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게 이 회사의 목표입니다. 지역 내 유무형의 콘텐츠를 수집하고 가공해 공간, 멀티미디어, 출판물 등을 만듭니다. 수십 년 된, 대를 이어 운영되는 철물점, 정육점, 빵집 등이 모두 그런 콘텐츠입니다. 

     

    홍 대표는 그런 콘텐츠를 새로 디자인 해 가치를 부여하고 이야기를 만들어 더불어 행복하게 사는 공간을 만들어 갑니다. 

     

    작은 지역 축제도 만들었습니다. 홍 대표는 2014년 연희동에 ‘연희, 걷다’를 열었습니다. 연희동의 52개 가게들이 힘을 모아 찾아오는 이들에게 동네를 소개하는 도슨트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다양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해마다 수천 명이 이 작은 전시를 보러 연희동을 찾고 있습니다.  

     

    홍 대표의 ‘일터’는 연희동 만이 아닙니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성심당 60주년 프로젝트입니다. 이 빵집은 직원을 정규직으로 쓰고 다른 직원을 배려하는 것이 인사고과에 반영되는 특별한 곳입니다. 돈을 많이 벌기 위해 프랜차이즈를 내거나 백화점에 입점하지도 않습니다.  

     

    성심당이 60주년을 맞아 대전 시민들에게 보답하고 싶다며 공동 프로젝트를 제안했다고 합니다. 성심당 주인의 사연, 이곳을 찾은 사람들의 사연 등을 담아 성심당 본점에서 ‘나의 도시, 나의 성심당’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성심당 빵집 종이에는 지금도 이 글귀가 새겨져 있습니다.  

     

    강원도 삼척 장호해변 옆 갈남마을에서 진행되는 ‘빈집 프로젝트’도 흥미로운 일입니다. 빈집 주인들을 설득해 어반플레이가 빈집을 고쳐주는 대신 5년간 무상임대해서 특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회사가 지속 가능할까요? 넉넉하지는 않지만 30명 안팎의 직원들이 회사를 꾸려가는 데는 지장이 없을 정도로 돈을 번다고 합니다. 

     

    ‘도시에도 OS가 필요하다.’ 컴퓨터가 작동하기 위해 OS가 필요하듯 어반플레이라는 ‘OS’가 지역을 어떻게 변화시켜갈지 궁금합니다.

  • 올해 100세 된 철학자 김형석 교수가 말하는 삶의 지혜

    “나이가 드니까 나 자신과 내 소유를 위해 살았던 것은 다 없어집니다. 남을 위해 살았던 것만이 보람으로 남습니다.” 

     

    김형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님이 하신 말입니다. 김 교수님이 올해 100세를 맞았습니다. 

     

    100년은 간단치 않은 세월입니다.  

     

    김 교수님은 1920년 평남에서 태어나 윤동주 시인과 함께 같은 반에서 공부를 하셨고 도산 안창호 선생님의 마지막 대중 강연을 들었다고 합니다. 

     

    일제강점기, 해방, 한국전쟁 등 파란만장한 한국 근현대를 살아오신 김 교수님이 세월을 통해 얻은 삶의 지혜를 소개합니다. 

     

    다음은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김 교수님을 인터뷰한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14살, 15살 때 건강이 너무 나빴어요. 건강 때문에 중학교도 못 가고 인생이 끝날 것 같은 데 하나님께 건강을 주시면 주시는 동안은 내 일보다는 하나님께서 시키신 일을 하겠다고 기도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건강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일하기 위한 건강이지 건강을 위한 건강은 별로 생각을 안 합니다. 

     

    일을 사랑하는 사람은 건강합니다. 돈을 사랑하는 것보다는 일을 사랑하는 것이 좋아요. 돈을 사랑하는 사람은 곧 끝나버리고 마는데 일을 사랑하는 사람한테는 언제나 돈이 따라와요. 

     

    경제는 일을 사랑하는 개인과 사회에 주어지는 것이지 돈을 벌기 위해서 일하는 개인이나 사회는 행복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그래서 수입보다는, 소유보다는 일을 사랑하는 것, 그다음에 또 하나는 일에는 반드시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돈 벌기 위해 출세하기 위해 명예를 위해서 일하는 사람들은 행복과 만족을 느끼지 못합니다. 

     

    내가 접촉하는 사람들이 나 때문에 조금 더 행복해지고 지금보다 좀 더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 그것에 제게는 일의 목적입니다.  

     

    내 이웃을 내 몸같이 사랑하라고 하는 예수님의 교훈이 바로 그거죠. 그러니까 일의 목적은 내 주변 사람들이 나 때문에 조금 더 행복해졌다, 좀 더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됐다. 그 이상의 목표를 나는 없다고 봐요. 

     

    젊었을 때는 누구나 즐겁게 사는 것이 목표입니다. 장년기에는 일을 성공하는 게 목표죠.  

     

    그런데 나무도 마지막에는 열매를 맺어야 되지 않아요? 그러니까 인생도 60이 넘으면 사회를 위해서 열매를 맺어줄 나이가 됐거든요.  

     

    내 인생에 목표가 있다 하면 아까 얘기한 그대로 내가 있기 때문에 주변의 여러분들이 좀 더 행복하고 인간답게 살아가는 데 내가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그 목표죠."

     

    김 교수님은 인생의 황금기를 65세에서 75세라고 말합니다. 인생을 되돌릴 수 있다면 그 나이로 돌아가고 싶다고 합니다.  

     

    그 나이가 되어서야 생각이 깊어지고 행복이 무엇인지, 세상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게 됐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 조지 클루니가 13년째 이 회사 광고를 하는 이유

    조지 클루니가 13년째 광고를 하는 회사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방송에도 자주 등장하는 광고입니다. 바로 커피 회사 네스프레소이지요. 

     

    조지 클루니가 이 회사 광고를 오랫동안 하는 이유는 돈 때문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주위에서는 네스프레소가 함께 진행 중인 남수단 프로젝트를 이유로 듭니다. 

     

    클루니는 수단 내전에서 자행된 민간인 학살을 세계에 알리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수단은 20년에 걸친 내전으로 200만 명 가까운 이들이 사망하고 400만 명이 넘는 난민이 생겨난 나라입니다. 클루니는 2000년대 초반부터 여러 차례 수단을 찾아 그곳의 참혹한 현실을 알리는 다큐를 만들었습니다. 2012년 3월에는 워싱턴 주재 수단 대사관 앞에서 수단 정부군의 민간인 학살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다 체포되기도 했습니다. 

     

    클루니는 수단인을 돕기 위해 자신이 광고모델로 있는 네스프레소에 도움을 청했습니다. 전쟁으로 초토화된 커피 농장을 되살려 농민들의 자립을 지원하자는 것이었습니다.  

     

    네스프레소는 클루니의 제안을 흔쾌히 받아들였습니다. 남수단 커피산업 재건을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입니다.  

     

    [[IMAGE|239|center|남수단 재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커피를 재배 중인 농부들. 이미지 출처 : 네스프레소 유튜브 캡쳐]]

     

    네스프레소는 2013년부터 비영리단체 테크노 서브와 함께 700여 명의 농부들에게 종자를 보급하고 재배기술을 가르쳤습니다. 커피 가공 공장도 세웠습니다. 또 시장가 보다 30~40% 비싼 가격으로 원두를 샀습니다. 네스프레소는 2020년까지 250만 달러를 투자해 커피를 재배하는 농부를 8000명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조지 클루니와 네스프레소의 ‘콜라보’는 광고주와 모델의 관계에서 시작된 것은 아닙니다.  

     

    클루니는 네스프레소 지속 가능성 경영 위원회의 위원이기도 합니다. 네스프레소는 2003년부터 열대우림 연맹과 함께 지속 가능한 커피 농사를 위한 지원을 해오고 있습니다.  

    클루니는 오래전부터 행동하는 ‘개념 배우’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는 환경, 인권 등의 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특히 행동을 무척 중요시하지요.  

     

    네스프레소 외에 클루니는 스위스 친환경 에너지 회사인 벨레노스 클린파워의 이사로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활동도 벌이고 있습니다. 그 자신 환경이나 인권 관련 재단에 기부를 이어가고 있고 전기차를 사서 몰고 다닙니다. 

     

    조지 클루니는 그런 행동을 통해 삶의 가치와 행복을 느낀다고 합니다.  

     

    “나는 해피엔딩을 믿지 않는다. 하지만 행복한 여정을 믿는다”

  • 기적같은 크리스마스 선물

    기적은 대단한 게 아닐지도 모릅니다.

     

    영국의 한 소녀는 애지중지하던 곰 인형을 여행 중에 잃어버렸지만 크리스마스 직전에 기적처럼 다시 찾았습니다.

     

    케스 맥케이의 5살 딸 에바는 크리스마스 직전에 자신이 분신처럼 아끼던 곰 인형 ‘프랑크푸루터’를 잃어버린 사실을 알고는 울음을 터트렸습니다.

     

    에바는 에든버러에서 글라스고우에 있는 집으로 기차를 타고 가던 중이었습니다. 에바의 엄마 캐스는 인형을 찾기 위해 10량이나 되는 기차 객실을 모두 뒤졌지만 ‘프랑크푸루터’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자신의 트위터에 ‘프랑크푸르터’의 최근 사진과 함께 도움을 요청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해시태그 #lostteddy와 #findfrankfurter도 함께요.

     

     

    그러자 깜짝 놀랄 일이 벌어졌습니다. 많은 이들이 캐스가 올린 트위터를 공유했고 몇 시간 뒤에 프랑크푸루터를 찾았다는 사람이 나타났습니다.

     

    레이나 루이스라고 자신을 밝힌 한 여성은 자신의 SNS에 에든버러 웨이벌리 기차역 9번 플랫폼에서 곰 인형을 발견했다고 사진을 찍어 올렸습니다.

     

     

    레이나는 생일을 맞아 딸 에밀리와 에든버러에서 이틀 동안 지낸 뒤 글라스고우로 돌아가던 길이었습니다. 타려 했던 기차를 놓치고 9번 플랫폼에서 다음 기차를 기다리다 벤치에 혼자 있는 곰 인형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레이나는 그 인형을 역무원에게 전한 뒤 글과 사진을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에든버러 웨이벌리 역 9번 플랫폼에서 이 곰 인형을 발견했습니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역무원에게 전달했고 곰 인형이 주인을 찾을 수 있도록 제 글을 리트윗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레이나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9번 플랫폼은 어두컴컴한 곳이었는데 딸 에밀리가 곰 인형을 발견했어요. 사랑을 많이 받은 곰 인형처럼 보여서 우리는 웨이벌리 역 직원에게 인형을 전하면서 크리스마스에는 주인을 찾도록 해달라고 부탁을 했다"라고 말했습니다.

     

    곰 인형을 넘겨받은 스콧레일 직원들은 에바에게 프랑크푸루터를 전달하기 위해 글라스고우까지 데려갔습니다. 스콧레일은 트위터 계정에 프랑크푸루터가 조종실 칸에 누워 편안히 여행하는 사진도 올렸습니다.

     

     

    에바는 프랑크푸루터를 잃어버린 지 하루도 되지 않아 다시 되찾게 됐습니다. 에바에게는 아마 평생 잊지 못할 크리스마스 선물일지도 모릅니다.

     

    캐스는 인형을 되찾은 뒤 자신의 트위터에 글과 사진을 올려 기적을 만든 이들에게 고마움을 표시했습니다.

     

    에바와 캐스, 그리고 곰 인형을 찾아준 에밀리와 엄마 레이나 네 사람은 조만간 만나서 인연을 이어간다고 합니다.

     

     

  • 아이들의 좋은 심성을 기르는 법

    미국의 작가이자 육아상담가로 활동했던 도로시 로 놀테는 시와 글, 강연 등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자녀를 기르는 데 영감을 줬습니다.

     

    다음에 소개하는 ‘아이들은 생활 속에서 배운다(Children learn what they live)’는 시는 특히 유명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criticism, they learn to condemn.

    야단맞으며 자라는 아이는 비난하는 것을 배웁니다.

     

    If children live with hostility, they learn to fight.

    적대적인 분위기에서 자라는 아이는 싸움을 배웁니다.

     

    If children live with fear, they learn to be apprehensive.

    두려움 속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불안감을 갖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pity, they learn to feel sorry for themselves.

    동정을 받으며 자라는 아이들은 자기 연민을 갖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ridicule, they learn to feel shy.

    놀림을 받으며 자라는 아이는 수치심을 갖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jealousy, they learn to feel envy.

    질투 속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시기심을 갖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shame, they learn to feel guilty.

    부끄러움을 느끼며 자라는 아이들은 죄책감을 갖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encouragement, they learn confidence.

    격려를 받으며 자라는 아이들은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tolerance, they learn patience.

    관대함 속에서 자라는 아이는 인내심을 갖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praise, they learn appreciation.

    칭찬을 받으며 자라는 아이는 다른 사람을 인정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acceptance, they learn to love.

    포용하는 분위기에서 자라는 아이는 사랑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approval, they learn to like themselves.

    무엇이든 허용되는 분위기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recognition, they learn it is good to have a goal.

    인정받으면서 자라는 아이들은 목표를 갖는 것이 좋다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sharing, they learn generosity.

    나눔을 보며 자라는 아이들은 관대함을 배우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honesty, they learn truthfulness.

    정직함을 보고 자라는 아이들은 진실을 배우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fairness, they learn justice.

    공정함을 보고 자라는 아이들은 정의를 배우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kindness and consideration, they learn respect.

    친절과 배려 속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다른 이를 존중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security, they learn to have faith in themselves and in those about them.

    안정감을 느끼며 자라는 아이들은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 대한 믿음을 배우게 됩니다.

     

    If children live with friendliness, they learn the world is a nice place in which to live.

    친밀한 분위기 속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이 세상이 살기 좋은 곳이라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 실리콘벨리의 컴퓨터 없는 학교

    미국 실리콘밸리에는 컴퓨터와 아이패드가 없는 학교가 있습니다. 그린우드 학교가 그곳입니다. 

     

    이 학교 학부모 가운데는 구글이나 애플과 같은 세계 최고의 IT 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그런 부모들이 컴퓨터와 IT 관련 도구가 차단된 학교에 자녀를 보내는 셈이지요. 

     

    그린우드의 교육 목표는 여느 학교와 조금 다릅니다. 

     

    “상상력, 자연에 대한 사랑, 탐구심을 길러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와 조화로운 태도로 세상에 기여하는 사람을 기르는 것”이 이 학교의 교육 목표입니다. 

     

    이 학교가 추구하는 가치도 다른 학교와 많이 다릅니다. 물론 배우는 즐거움과 성취는 당연히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학교의 특별함은 다양한 영적, 문화적 전통의 경험, 다른 이를 존중하고 공감, 자연과 지구에 대한 경외심, 한교 안팎의 공동체에 대한 봉사 등에 높은 가치를 두는 데 있습니다. 

     

    아이들을 지적, 감성적, 사회적, 육체적, 영적으로 성장시키는 데 모든 교과가 맞춰져 있습니다.  

     

    그린우드는 아이들에게 특히 부, 명성, 지위와 같은 가치가 아니라 연결, 공감, 정직, 봉사 등을 강조합니다.  

     

    그린우드 학교는 특히 아이들이 컴퓨터, 아이패드, 휴대폰 등에 접근하는 것을 매우 조심스럽게 생각합니다. 

     

    너무 일찍 컴퓨터 기기를 접하는 것이 아이들의 성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린우드 교사들은 태블릿이나 휴대폰을 갖고 노는 것보다 보디페인팅이나 그림 그리기, 무용 등과 같은 예술 활동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것을 배우는 게 아이들의 성장에 훨씬 많은 도움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그린우드 학교에 가보면 아이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그림을 그리며, 수공예품을 만들고, 시와 소설을 쓰는 등의 활동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IT 기기의 사용을 무조건 막는 것은 아닙니다. 적절한 나이에 맞게 아이들이 그런 도구를 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미국의 IT 산업을 이끌고 있는 많은 리더들의 생각과도 비슷합니다. 페이스북을 만든 마이크 저커버그도 자신의 딸에게는 13살까지 페이스북을 접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린우드 학교는 8학년제입니다. 우리로 치면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합쳐진 곳이지요. 

     

    이 학교는 발도르프 교육을 하는 학교입니다. 발도르프 교육이 어떤 것이냐고요? 

     

    청계자유발도르프학교의 홈페이지에는 발도르프 교육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1919년 오스트리아 철학자이자 교육자인 루돌프 슈타이너에 의해 시작된 발도르프 학교 혹은 슈타이너 학교는 어린이들의 몸과 마음과 영혼이 조화롭게 발달하도록 돕는 것을 교육 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교육 이념 위에 현재 전 세계 800여 개 학교가 설립 운영되고 있습니다. 

     

    발도르프 교육은 어린이들의 몸과 마음이 일정한 주기를 거쳐 성장함을 믿으며, 어린이들이 천성적으로 부여받은 모든 능력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도록 모든 감각들을 자극하는 총체적이고 예술적인 경험들을 어린이들에게 주려고 합니다.” 

     

    발도르프 교육은 성과도 좋습니다. 

     

    북미발도르프협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발도르프식 수업을 받은 학생의 대학 진학률은 94%나 됩니다. 북미지역 전체 평균(65%)에 비해 30% 가까이 높습니다.

  • 티베트의 탁월한 자녀 교육법 3가지

    나라마다 아이들을 올바로 키울 수 있는 훌륭한 교육 전통이 있습니다.

     

    그 전통은 출세를 목표로 하는 현대 교육과는 아주 다릅니다.

     

    티베트의 자녀교육법이 그렇다고 합니다. 대한 불교조계종 대원사 현장 스님이 말씀하신 내용을 전하고자 합니다. 

     

    티베트에서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시기를 세 단계로 나눈다고 합니다. 7세까지가 1단계, 14세까지가 2단계, 21세까지가 3단계입니다.

     

    처음 7세까지는 암탉이 알을 품듯이 키우라고 합니다. 그저 사랑하고 보살피기만 하라는 것이지요. 

     

    아이는 이때 부모로부터 받은 조건 없는 사랑을 통해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되고 자존감이 높아지는 게 아닐까 합니다. 

     

    다음으로 14세 까지는 원수처럼 키우라고 합니다. 선악을 구분할 줄 알고 다른 이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살아가도록 엄격히 교육한다는 것이지요. 

     

    마지막 단계인 21세까지는 친구처럼 키우라고 합니다. 

     

    부모와 자녀, 돌보고 의지하고, 주고받는 그런 사이가 아니라 동등한 인격체로서 서로를 존중하며 지낸다는 것이지요. 부모가 자녀를 독립적 인격체로 대하지 않는다면 세상 어느 누가 그렇게 하겠습니까.

  • 개운조사(2) - 나이 아홉에 4번의 죽음을 겪은 효자

    "개운조사(1) 보러가기(클릭)"

     

     

    우리나라 불교사에서 개운조사만큼 신비로운 일화를 많이 남기신 고승도 없을 것입니다.  

     

    조사는 1790년 경상북도 상주군 개운동에서 태어나셨습니다. 속성은 김 씨였고 모친의 성은 양 씨 셨는데, 조사께서 모친의 태에 들 때 부모님께서 ‘태양 같은 금성’이 품에 들어오는 꿈을 꾸셨다 합니다. 

     

    조사는 일찍이 조실부모하여 천애 고아가 됩니다. 3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5살 때 어머니마저 돌아가셨어요.  

     

    다행히도 조사는 외삼촌댁에 몸을 의탁하게 되는데, 자식이 없던 외삼촌 부부는 어린 조카를 친자식처럼 정성껏 기릅니다. 하지만, 외숙과 외숙모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속세의 행복을 맛보는 것도 잠시, 외삼촌께서 갑자가 돌아가시고 외삼촌의 3년 상이 끝나자마자 외숙모마저 세상을 뜨게 되니 그때 겨우 조사의 나이 아홉이었습니다. 그야말로 천지 아래 붉은 몸뚱이 하나, 혈혈단신이 되고 만 것이지요. 

     

    조사는 혼자서 외숙모의 3년 상을 치렀습니다. 산소 앞에 묘막을 짓고 시묘살이까지 했다고 해요. 이 모습을 본 이웃 사람들은 조사의 효심에 찬탄을 금치 못하며 조사를 ‘양효동(楊孝童)’이라 불렀습니다. 외삼촌의 성이 양 씨이니, 마을 사람들은 조사를 ‘양 씨의 효자 아들’로 여긴 것이지요. 

     

    채 열 살도 안 된 나이에 부모님과, 부모님과 진 배 없었던 외숙부모님을 차례로 여읜 조사의 외로움과 슬픔은 그야말로 뼈를 깎는 것이었습니다.  

     

    무어라 설명할 길은 없지만 삶은 참으로 무상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죽음을 이기는 길은 없을까요. 조사는 마을 곳곳을 돌아다니며 어른들을 만날 때마다 죽지 않고 영원히 살 수는 없느냐고 물어봅니다. 그러나 돌아오는 대답은 “에끼 이놈! 죽지 않는 사람이 어디 있어!”라는 호통뿐, 조사는 어느새 마을에서 놀림거리가 되고 말았습니다.  

     

    그래도 조사는 결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대답을 찾지 못한 의문을 가슴에 깊이 품곤 낯선 사람을 만날 때마다 같은 질문을 물었습니다. “죽지 않는 길은 없을까요?” 

     

    그러던 어느 날, 길에서 우연히 만난 스님 한 분이 대답을 해 주십니다. 먼 옛날 ‘싯다르타’라는 태자가 어느 날 왕궁의 동서남북 사대문 밖으로 유람 차 나갔다가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인간의 삶을 직시하고는 왕의 자리도 버리고 출가하여 큰 깨달음을 이루셨다는 것입니다. 

     

    “출가가 뭐예요?” 

     

    “머리 깎고 절로 들어가 중이 되는 것을 말한다.” 

     

    스님의 대답에 조사의 마음은 두둥실 부풀어 올랐습니다. 비로소 앞길에 광명이 비치는 기분이었을까요? 얼마나 기뻤던지 마치 ‘새 장에서 벗어난 새’와 같았다 합니다.  

     

    외숙모의 제사를 마치지 마자 조사는 바로 문경 희양산(曦陽山) 봉암사(鳳巖寺) 찾아갑니다. 혜암 선사(慧庵禪師)를 은사로 모시고 머리를 깎으니, 그때 조사의 나이 열세 살이었습니다. 

     

    봉암사는 신라시대 구산선문의 하나로, 보우국사를 비롯한 수많은 고승 대덕을 배출한 수행도량입니다. 오늘날에도 부처님 오신 날이 아니면 일반인에게 산문을 열지 않고 철저하게 청정한 수행 기풍을 이어오고 있지요. 

     

    조사는 바쁜 행자 시절, 짬만 나면 봉암사 마애불을 찾았습니다. 오른손은 위로 들어 연꽃 가지를 들고 왼손은 가슴에 얹어 연꽃 가지를 받치신 마애불의 묵묵히 내려앉은 눈동자를 따라가노라면 유리알처럼 맑고 찬 계곡물이 햇빛에 찬란하게 부서졌습니다. 그 빛을 받아 환하게 밝으신 마애 부처님 앞에서 조사는 오랜만에 어버이의 품에 안긴 듯 다사로움을 느꼈습니다. 밝고 환한 마애 부처님 앞에서 부처님 마냥 가부좌를 틀고 앉으면 연달아 어버이를 여읜 슬픔도 씻겨 가고, 그 물을 따라 흐르면 영원히 생사의 고락을 벗어나는 길이 보일 듯싶었습니다.

     

     

    "개운조사(3)"으로 이어집니다. 보러가기(클릭)

  • 응급실 앞을 지키는 네 마리의 개

    어느 일요일, 브라질의 한 병원에서 야간근무를 하던 간호사 크리스 맘프림은 세자르라고 불리는 노숙인이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걸 봤습니다. 

     

    크리스는 그가 치료를 받는 동안 네 마리의 개가 응급실 밖에서 꼼짝 않고 서 있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드나드는 사람이 오갈 때면 옆으로 비켜서기도 했지만 개들은 꼼짝하지 않고 자리를 지키며 응급실 안쪽을 바라봤습니다.  

     

    그렇다고 응급실 문을 넘지도 않았습니다. 마치 자신들이 들어가서는 안 되는 곳이라는 걸 알고 있기라도 하듯이 말입니다.  

     

    이 개들은 응급실에 실려간 한 청년 노숙인의 반려견들이었습니다. 크리스는 이 개들이 보살핌을 잘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크리스는 응급실에서 치료받고 있던 노숙인 청년과 개들에 대해 얘기도 나눴습니다.  

     

    그 청년은 반려견을 가족처럼 대한다고 했습니다. 음식이 모자라면 개들을 먹이기 위해 자신이 굶을 때도 있다고 했습니다. 개들이 가정에서 키우는 것처럼 상태가 좋은 것은 세자르의 그런 배려 때문이었습니다. 

     

    크리스는 10일 세자르와 네 마리의 반려견 이야기를 사진과 함께 SNS에 올렸습니다.  

     

    이들의 가슴 따뜻한 이야기가 페이스북에 올라오자 순식간에 13만 명이 좋아요를 눌렀고, 댓글 2만 2천 개가 달렸으며 8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 사진과 사연을 공유했습니다. 

  • 떼제, 청년들의 영혼의 쉼터

    떼제공동체에서 기도 중인 청년들. 이미지 출처 : 플리커 (TaizéBirmingham), 퍼블릭 도메인

    “우리가 지금 온 대륙의 젊은이들과 함께 신뢰의 순례를 해 나가는 것은 평화가 얼마나 시급히 필요한지를 자각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다음의 물음에 답하려고 노력할 때 평화를 이룩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내가 사는 곳에서 신뢰를 간직하고 전하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나는 다른 사람들을 더 많이 이해하려는 준비가 되어 있는가?”(떼제공동체 창설자 로제 수사) 

     

    교회나 성당에 다니는 분들은 보기만 해도 마음이 푸근해지는 하늘색 십자가를 본 적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비둘기가 날개를 펴고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습을 상징한 이 십자가가 공동체의 상징 떼제 십자가입니다. 

     

    [[IMAGE|198|center|떼제공동체를 상징하는 푸른 십자가. 출처 : 위키미디어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roix_de_Taiz%C3%A9.jpg), CC BY-SA 라이센스]]

     

    1940년 8월 한 청년이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동부 프랑스 부르고뉴 남부 지방의 작은 마을 떼제(Taize)를 찾았습니다. 그 해 6월 14일 프랑스 파리가 함락된 지 두 달쯤 되는 때였습니다.  

     

    스물다섯 살의 청년 로제는 전쟁이라는, 사람이 벌인 가장 잔인한 행위를 보면서 하루하루를 화해와 일치로 살아가는 공동체를 만들고 싶다는 꿈을 꿨습니다. 분열과 갈등을 치유해 전쟁을 막고 인류가 한 가족처럼 지내는 세상을 만들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그가 떼제를 찾은 이유는 그런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서였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고통받는 바로 그곳에 그런 공동체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전쟁의 틈바구니 속에서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다지 많지 않았습니다. 그가 한 일은 도망자를 숨겨주는 일이었습니다.  

     

    로제에게 가장 먼저 눈에 뜨인 사람들은 나치 독일의 점령지에서 목숨의 위협을 느껴 도망 나온 유대인들이었습니다. 전쟁이 끝난 뒤에는 반대의 처지에 놓인 독일군 포로들을 맞았습니다. 젊은이들의 영성 공동체 떼제는 그렇게 시작됐습니다. 

     

    떼제가 공동체의 틀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1949년입니다. 로제와 뜻을 함께 하는 일곱 명의 청년들이 찾아와 독신 생활과 물질적 영적 재산의 공유 등을 지킬 것을 약속하는 종신서원을 하면서 공동체 식구들이 생겼고 1952년에는 떼제의 규칙이 만들어집니다. 어떤 기부나 헌금도 받지 않고, 가족의 상속도 받지 않으며, 스스로 일해서 번 돈으로 생활하고 나눔을 실천한다는 등의 내용입니다.  

     

    평생 단순 소박한 삶을 살고 있는 이들의 모습을 보고 차츰 그들의 뜻에 공감하는 이들이 모여들었습니다. 그 결과 지금 공동체에는 지금 공동체에는 20여 개 나라에서 온 1백 명가량의 수사들이 살고 있습니다. 가톨릭교회 출신도 있고, 개신교회 출신도 있습니다. 

     

    떼제에는 1950년대 말부터 젊은이들이 모여들기 시작했습니다. 로제 수사를 비롯한 공동체 식구들은 이곳을 찾는 젊은이들이 머물면서 화해와 일치의 공동체 정신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그때부터 손님맞이는 떼제의 주요한 부분이 됐습니다.  

     

    지금은 1년 내내 유럽은 물론 다른 대륙에서 찾아온 젊은이들이 떼제를 찾습니다. 한 주에 수천 명의 젊은이들이 이곳을 찾는다고 합니다. 그들은 일요일에서 다음 일요일까지 1주일 동안 함께 생활하면서 떼제의 정신을 경험합니다.  

     

    이들은 1962년 세워진 ‘화해의 교회’에서 하루 세 차례 공동체 식구들과 함께 기도를 하고 소그룹으로 나눠 대화하는 시간도 갖습니다. 젊은이들이 많아지자 몇 해 전부터 가톨릭 국제공동체인 성 안드레아 수녀회와 폴란드의 우술라 수녀회에서 ‘젊은 순례자’들을 맞는 일을 도와주고 있습니다. 

     

    젊은이들과의 모임은 떼제공동체 안에서만 이뤄지는 것은 아닙니다. 수사들은 유럽은 물론 다른 대륙을 찾아다니며 크고 작은 모임을 이끕니다. 이는 지구촌에 믿음에 바탕한 화해와 일치의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신뢰의 순례’입니다. 이들 모임에서 떼제공동체 수사들은 젊은이들이 자기가 사는 바로 그곳에서 인류의 화해와 일치를 위해 열심히 활동하도록 돕고 격려합니다. 

     

    가장 큰 모임은 떼제공동체가 매년 말 유럽에서 여는 ‘테제 유럽 젊은이 모임’(Taize European Youth Meeting)입니다. 하지만 이 행사에는 유럽은 물론 세계 각지에서 온 수만 명의 젊은이들 참여합니다. 2004년 말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행사에는 8만 명의 젊은이들이 참가했다고 합니다. 올해 행사는 12월 28일부터 2006년 1월 1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립니다. 

     

    수많은 젊은이들이 찾아오지만 떼제는 자신을 중심에 두는 법이 없습니다. 떼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조직은 하나도 없습니다. 대신 동네, 마을, 도시, 교회, 성당 등 젊은이들에게 자신이 속한 곳에서 다양한 세대의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도록 이끌어 줍니다. 떼제공동체가 세계 곳곳을 찾아가며 벌이고 있는 ‘신뢰의 순례’는 그런 젊은이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기 위해서 기획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는 김수환 추기경의 요청으로 1979년 다섯 분의 수사들이 파견되어 서울 화곡동에서 살고 있습니다. 이분들은 26년째 한국에서 살고 있지만 자신들을 드러내지 않고 조용히 한국의 교회와 젊은이들을 돕고 있습니다. 화해와 일치의 지구촌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젊은이들이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떼제공동체. 이들의 꿈이 자랄수록 지구촌에는 사랑과 평화의 기운이 더욱 커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