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 기부

Contents List 3

  • 경찰관의 진심이 청년의 삶을 바꿨다

    지난 8월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던 청년이 한 경찰의 도움으로 새 삶을 찾고 감사의 인사를 하는 모습. [이미지 : 부산경찰청]

    한 경찰관의 진심이 극단적 선택을 하려던 한 청년을 구했습니다.

     

    추석 연휴를 앞둔 지난 10일 부산 부산진 경찰서 개금 파출소에 20대 청년이 양손에 치킨을 들고 방문했습니다.

     

    한 경찰관을 애타게 찾던 그는 파출소 문을 열고 들어서는 서병수 경위를 보자 다가가 뜨겁게 포옹을 나눴습니다.

     

    그 청년의 이름은 손경서(23)씨. 두 사람의 아름다운 인연은 한 달 전쯤에 시작됐습니다.

     

    8월 8일 저녁 112로 친구가 자살하려 한다는 신고가 112에 접수됐습니다. 경찰과 소방대원들은 부산진구의 한 원룸으로 긴급 출동했습니다. 손 씨는 경찰을 향해 당장 철수하지 않으면 목숨을 끊겠다고 소리쳤습니다.

     

    강력계 형사 출신인 서 경위는 상황을 곧바로 파악하고 현장에 있는 이들을 모두 물러나게 한 뒤 동료 경찰 한 명과 방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손 씨는 처음에 대화조차 거부했지만 진심을 담아 말을 건네는 서 경위에게 조금씩 자신의 마음을 열었습니다.

     

    서 경위는 1시간 30분가량 손 씨와 얘기를 나누며 “내가 도와줄 테니 제발 마지막으로 한 번만 믿어봐라. 직장도 알아봐 주고 끝까지 도와주겠다"라고 설득했습니다.

     

    보육원에서 자란 손 씨는 자신의 불우했던 삶을 조금씩 털어놓기 시작했습니다. 극단적 선택을 결심했던 손 씨는 몇 개월 동안 일을 하지 못했고 며칠 동안 굶은 상태였습니다.

     

    서 경위는 손 씨가 마음을 돌리자 우선 근처의 국밥집으로 데리고 가 요기부터 시켰습니다. 자주 연락하겠다는 말과 함께 손가락을 걸며 약속까지 했습니다. 헤어질 때는 끼니는 거르지 말라고 5만 원을 주머니에 넣어줬습니다. 

     

    손 씨는 서 경위와 헤어진 뒤 집에 돌아와 한참을 울었다고 합니다.

     

    약속대로 서 경위는 매일 전화를 걸어 손 씨를 격려했고 지인의 도움을 받아 서울에 있는 한 인테리어 회사에 손 씨를 소개했습니다. 면접을 보러 가는 날에는 기차표까지 끊어주면서 격려했습니다.

    

    

    정성이 통했던지 손 씨는 그 회사에 취직을 하게 됐습니다.

     

    손 씨는 부산에 있는 공사 현장에 출장 차 왔다가 서 경위의 도움에 감사한 마음을 전하기 위해 치킨과 양말을 사서 개금 파출소를 찾았습니다.

     

    서 경위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돈도 없는 데 통닭을 왜 사 왔냐고 했더니 해주신 것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는 말을 들었을 때 가슴이 뭉클했다"라며 “우리 사회가 손 씨와 같은 아이들을 외면하지 말고 끝까지 돌봐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습니다. 

  • 소방서에 익명의 기부 “소방관님들 회식 한 번 하세요”

    지난 9일 오후 6시경 순천소방서 서면센터 사무실에 익명의 기부자가 감사편지와 함께 현금 100만원을 기부해 화제가 되고 있다. [이미지 : 순천소방서]

    순천 소방서에 익명의 기부자가 감사편지와 현금 100만 원을 두고 갔습니다.

     

    순천 소방서가 언론에 알린 내용에 따르면 9일 오후 6시쯤 소방서 1층에 있는 서면 센터 사무실에 누군가가 두툼한 편지봉투를 두고 갔습니다. 

     

    소방서 소장님 께라고 쓰인 봉투 안에는 편지와 함께 오만 원권 현금 100만 원이 들어 있었습니다.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은 기부자는 소방관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적은 돈이지만 회식 한 번 하시라는 글을 적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늘 어려운 이웃을 위해 늘 어려운 현장으로 달려가는 소방관님들 한 번은 꼭 해드리고 싶었는데 적지만 회식 한 번 해주세요.

     

    9.11 소방의 날을 맞으며 맛있는 식사 한 번 하세요.

     

    누가 보냈다 묻지도 말고, 대한민국 전 국민이 해드리고 싶은 마음이나 꼭 회식 한번 해주세요.

     

    항상 감사합니다.”

     

    순천 소방서는 봉투에 담긴 편지와 현금을 확인한 뒤 기부자를 찾고 싶었지만 불가능했습니다.

     

    서면 센터에는 CCTV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봉투를 두고 가는 모습도 찍히지 않았습니다.

     

    순천 소방서는 기부자의 따뜻한 마음을 감사히 받겠다고 밝히면서도 ‘회식비’는 불우이웃을 돕는 데 쓰기로 했습니다.

    

  • 남은 생명의 불꽃을 아이들을 위해

    대장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장민근 씨가 급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어린이들을 위한 기부 운동을 진행해서 화제가 되었다. [이미지 : KBS News 유튜브 캡처]

    얼마 남지 않은 생명의 불꽃을 다른 이들을 위해 태우는 사람이 있습니다.

     

    장민근 씨는 대장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았습니다. 수술과 함께 치료를 받았지만 올해 대장암이 재발해 4기까지 진행됐습니다.

     

    힘든 상황이지만 장 씨는 급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어린 환자를 돕기 위해 특별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기부 운동을 통해 한 사람당 만 원씩 모두 천 명으로부터 1000만 원을 모아 백혈병 환아들에게 전달하겠다는 겁니다.

     

    장 씨는 KBS와 한 인터뷰에서 자신 대신 한 명의 아이라도 살리고 죽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의 꿈은 이뤄졌습니다. 그는 천 명으로부터 모은 기부금을 급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11살 아이에게 전달했습니다.

     

    삶이 허락하는 날까지 사람들의 정성을 더 모아 소아암 환아들에게 전달하는 게 장 씨의 꿈이라고 합니다.

    

  • SK하이닉스, 발달장애청년 일자리 스마트팜에 25억 지원

    지난 14일, SK하이닉스가 푸르메재단의 '장애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스마트농장 구축'에 25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미지 :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장애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스마트농장 구축에 25억 원을 지원합니다.

     

    SK하이닉스는 14일 스마트농장 운영을 맡고 있는 푸르메재단과 농장 건설비에서 농장 생산물 구매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과정을 지원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스마트팜은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공장과 가까운 여주시 오학동 1만 3천㎡ 부지에 들어섭니다. 

     

    시가 30억 원 상당의 농장부지는 아들이 발달 장애인인 이상훈 장춘순 씨 부부가 푸르메재단에 기부했습니다.

     

    이상훈씨는 ““발달장애인을 자식으로 둔 부모 입장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항상 생각해왔다”라며 “SK하이닉스와 푸르메재단이 적극 동참해 감사하다”라고 말했습니다. 

     

    푸르메재단은 SK하이닉스의 지원금 25억 원을 포함 모두 50억 원을 들여 첨단 I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농장을 구축합니다. 

     

    스마트농장은 내년 4월에 착공할 예정입니다.  장애인 청년들은 첨단 IT 기술이 접목된 유리온실과 교육장 등에서 일하고 교육도 받을 수 있습니다. 

     

    푸르메재단이 스마트농장 구축을 추진하는 것은 일자리 사각지대에 놓인 발달장애인도 충분히 자립이 가능함을 보여주기 위해서입니다.

     

    국내에는 25만 명의 발달장애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찜통 경비실의 착한 에어컨

    대전의 한 아파트 주민들이 주민 투표를 통해 찜통 경비실에 에어컨을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지역 시민단체가 전기료 문제를 해결해주기 위해 태양광 설치를 지원하고 나섰습니다.

     

    무더위 속의 빗줄기 같은 시원한 소식이 싹튼 건 6월 말부터였습니다.

     

    대전시 서구 둔산동 녹원 아파트 주민들은 6월 26일과 27일 이틀 동안 경비실 에어컨 설치와 관련한 투표를 실시해 압도적 찬성으로 가결했습니다.

     

    12개 동 1200가구 가운데 628 가구가 투표해 참여했는데 유효표인 461 가구 중 98.9%인 456가구가 찬성 표를 던졌습니다.

     

    녹원 아파트 경비실에 에어컨을 설치하는 일은 주민들이 관리사무소에 건의하면서 시작됐습니다. 더울 때 찜통으로 변하는 1.5평 크기의 경비실에서 고생하는 경비원을 위해서였습니다.

     

    하지만 일이 처음부터 순탄하게 진행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경비실 에어컨 설치 안건은 입주자 대표회의에서 전기료 부담을 이유로 부결됐습니다.

     

    하지만 제안을 한 주민들은 경비실 전기료의 경우 공용전기라서 가정용보다 훨씬 싸다는 점을 들어 입주자 대표회의에 안건 재심의를 요청했습니다. 이를 위해 전체 가구 10% 이상 서명도 받았습니다. 하루 만에 10%가 넘는 127명이 동참했습니다.

     

    입주자 대표회의는 이를 주민 투표에 부쳤고 압도적 찬성으로 경비실에 에어컨을 설치하게 됐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지역 환경운동 단체가 지원에 나섰습니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8일 ‘착한 에어컨’을 돕기 위해 태양광 패널을 지원하기로 하고 네이버 기부 포털 해피빈에 ‘착한 에어컨을 지원해주세요’라는 기부 페이지를 만들고 모금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우선 경비실 2곳의 설치비를 대전충남녹색연합에서 모금한 기금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아파트 경비실에 300W 짜리 태양광 패널 2개를 설치하면 하루 4시간 정도 에어컨을 틀 수 있는 전기가 생산된다고 합니다. 경비실 한곳에 설치하는 비용은 100만 원. 대전충남녹색연합은 경비실 8곳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수 있는 비용과 인건비 등 990만 원을 목표액으로 정했습니다.

     

    [[IMAGE|485|center|caption]]

  • 워렌 버핏이 이어가는 놀라운 기부

    월가의 현인, 투자의 귀재 등으로 불리는 워렌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은 자신의 재산 가운데 99%를 기부하겠다는 다짐을 실천해가고 있는 사람입니다.

     

    미국 언론에 따르면 버핏 회장은 최근 자신이 보유한 36억 달러(약 4조 1600억 원)의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을 5개 재단에 기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버핏은 기부를 위해 버크셔 헤서웨이의 ‘클래스 A’ 주식 1만 1250주를 ‘클래스 B’ 주식 1690만 주로 전환해 이 가운데 1680만 주를 기부합니다.

     

    버핏 회장이 기부하기로 한 재단은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 수잔 톰슨 버핏 재단, 셔우드 재단, 하워드 G. 버핏 재단, 노보 재단 등 5곳입니다.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아내의 권유로 설립한 자선기부 및 연구 지원 재단입니다. 질병과 빈곤 퇴치를 위해 IT 기술을 접목한 사업을 주로 합니다.

     

    수잔 톰슨 버핏 재단은 워렌 버핏이 자신의 아내 이름을 따 만든 재단입니다. 장학사업을 주로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기부를 포함하면 버핏은 지금까지 자신의 보유지분 가운데 약 45%를 기부했고, 이는 340억 달러(약 39조 3000억 원)에 달합니다.

     

    하늘이 부자를 낸 이유는 가난한 이들을 돕기 위해서라는 말이 생각납니다.

  • 목소리를 기부할 수 있는 플랫폼, 헬렌(Helen)

    목소리를 기부할 수 있는 오픈더빙플랫폼 '헬렌(Helen)'이 화제가 되고 있다. (위 이미지는 기사와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 : 픽사베이)

    동영상의 시대입니다. 

     

    인터넷에 떠다니는 동영상 가운데는 좋은 정보나 감동을 주는 좋은 영상도 많습니다. 언어의 장벽을 넘어설 수 있도록 자막을 보여주는 동영상도 많습니다. 

     

    하지만 시각 장애인에게는 자막이 무용지물입니다. 시작 장애인들이 들을 수 있는 음성 자막을 제공하면 어떨까? 유니크굿컴퍼니(Unique Good Company) 이은영, 송인혁 대표가 목소리 기부 솔루션 헬렌을 만든 이유입니다. 

     

    “세계적으로 1억 명의 맹인과 2억 명의 중증 시각 장애인, 그리고 10억 명이 난독증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자막이라는 사각지대를 헬렌이 걷어내고자 합니다..” 

     

    헬렌은 더빙을 통해 목소리를 기부하는 플랫폼입니다. 기부에 참여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헬렌 홈페이지(https://www.helen.live/Explore)에 들어가면 누구나 손쉽게 목소리 기부를 위한 더빙을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시간을 내기 어려우시다고요? 전혀 문제없습니다. 헬렌은 짧게는 3초 20~40자의 문장 단위로 쪼개져 있기 때문에 아무리 바쁜 사람들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IMAGE|451|center|헬렌은 오픈더빙플랫폼으로, 인터넷 브라우저 내에서 문장 단위로 녹음을 할 수 있어 많은 이들이 손쉽게 더빙에 참여할 수 있다. 위 이미지는 더빙 녹음 시의 화면. [이미지 : 헬렌 공식 홈페이지] ]]

     

    이 회사는 ‘세상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유니크굿솔루션(Unique Good Solution)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자신의 존재 이유를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은영 대표는 회사에 다닐 때부터 나눔을 실천하고 싶은 마음이 있어서 회사에서 진행하는 봉사활동에 적극 참여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회성 봉사가 지니는 한계도 느꼈습니다. 

     

    그는 회사를 그만둔 뒤 우연히 목소리 기부에 참여하게 됐는데 자신의 목소리가 시각장애인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걸 알고 진짜 만족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함께 회사를 만든 송인혁 대표는 자막 번역 작업을 하다 경험한 일을 계기로 유니크굿컴퍼니를 만드는 데 참여하게 됐습니다. 

     

    그가 번역한 영상은 인공장기 프린팅 기술을 소개하는 내용이었는데 영상이 공개된 지 몇 년 뒤에 한 사람이 자신을 찾아왔다고 합니다. 장기가 좋지 않아 수술을 받았고 자살시도도 여러 번 했지만 그 영상을 보고 삶의 희망을 얻었다는 얘기를 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송 대표는 자신의 번역이 한 사람에게 삶의 희망을 줬다는 걸 알고 깜짝 놀랐다고 합니다. 

     

    오픈 더빙 솔루션 ‘헬렌’은 두 사람의 이런 귀한 경험으로 탄생할 수 있었습니다.  

     

    뜻이 좋으면 길이 열리는 걸까요? 헬렌은 오픈한지 두 달 남짓한 기간에 5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목소리 기부자로 참여할 정도로 호응을 받았습니다. 서울시의 혁신 프로그램에 선정됐고 사회성과 인센티브 프로젝트 참여기업에도 선정됐습니다. 

     

    유니크굿컴퍼니는 헬렌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더빙 성우가 되어 일자리를 갖도록 하는 일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IMAGE|450|center|오픈더빙플랫폼을 운영하는 유니크굿컴퍼니의 이은영 대표가 서울시와 엠와이소셜컴퍼니(MYSC)가 선정한 Extra-mile Accelerator(EMA) 프로그램에 선정되었다. [이미지 : 유니크굿컴퍼니 공식 홈페이지] ]]

  • 류현진, 동료가 세운 희귀병 연구재단에 기부

    야구선수 류현진이 '5월의 투수상'으로 뽑혀 받은 상금을 기부해 화제가 되었다. [이미지 : 플리커(https://www.flickr.com/photos/27003603@N00/8667165230), CC BY-SA 2.0]

    류현진 선수가 ‘5월의 선수’로 뽑혀 받은 상금을 기부했습니다.

     

    류현진 선수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스폰서 업체인 바이오프리즈가 선정한 ‘5월의 선수’로 뽑히면서 상금 1000달러를 받았습니다.

     

    그가 기부한 재단은 같은 팀 동료이자 투수인 리치 힐과 부인 케이틀린 힐이 세운 자선재단 ‘필드 오브 진스’입니다.

     

    힐 부부는 5년 전 생후 2개월인 아들을 희귀병으로 잃은 뒤 관련 질병을 연구하기 위한 재단을 설립했습니다.

     

    힐 부부는 이 재단을 통해 모은 돈을 유전적 희귀질환을 연구하는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스위처 박사팀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부부는 57만 5천 달러를 내놓았고 100만 달러를 목표로 모금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아들을 잃는 뒤 몇 년 동안 치료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몇 가족이 여전히 치료법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연구의 진척이 빨라지고 있는 만큼 치료법이 나오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 경남 합천군의 우체통 기부 천사

    지난 2015년부터 경남 합천군 우체통에 익명으로 9차례에 걸쳐 약 530만 원을 기부한 이가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이미지 : 경남 합천군]

    경남 합천군에는 우체통 기부 천사가 있습니다.

     

    군민들은 어려운 이웃을 도와달라는 메모지와 함께 몇 년째 우체통에 현금이 든 봉투를 넣고 있는 사람을 그렇게 부릅니다.

     

    지난 5월 24일에도 합천군 합천읍의 한 우체통에서 수신자와 발신자의 주소가 없는 봉투가 발견됐습니다.

     

    이 봉투를 발견한 집배원은 5만 원 권 지폐 20장과 함께 다음과 같이 적힌 메모를 발견했습니다.

     

    “개인적인 이익보다 어려운 주위 분들을 한 번쯤 뒤돌아보는 여유를 가졌으면 합니다. 얼마 안 되는 금액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합천군에 따르면 필체와 기부 방식을 놓고 볼 때 이 봉투를 남긴 사람이 2015년부터 합천군 우체통을 통해 기부한 사람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합천군 관계자는 이 사람이 지금까지 관내 우체통 2곳을 통해 모두 9차례에 걸쳐 530만 5000원을 기부했다고 합니다.

  • 미국 갑부 깜짝 대학졸업 축사, “학자금 다 갚아주겠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19일, 사모펀드 최고경영자 로버트 스미스가 미국 모어하우스 대학 졸업식에서 학생들의 학자금 대출을 전부 대신 갚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 Glitter & Gumbo 유튜브 캡처]

    미국의 한 흑인 갑부가 대학 졸업생들의 학자금 대출을 모두 갚아주겠다고 밝혀 졸업식장을 열광의 도가니로 만들었습니다.

     

    미국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사모펀드 최고경영자인 로버트 스미스는 현지 시간으로 19일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모어하우스 대학에서 열린 졸업식 축하 연설에서 “우리 가족이 여러분의 학자금 대출을 갚기로 했다"라고 밝혔습니다.

     

    처음에 상당수 학생은 그 말 뜻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했습니다.

     

    단상에서 스미스의 말을 들은 교수들이 깜짝 놀라 자리에서 일어나 손뼉을 치기 시작하자 학생들도 그제서야 자신들이 들은 말이 진짜임을 알고 환호하기 시작했습니다. 

     

    스미스가 갚겠다고 약속한 학자금 대출금액의 규모는 약 4000만 달러(477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모어하우스 대학은 마틴 루터 킹 목사가 다닌 대학입니다. 영화감독 스파이크 리, 영화배우 사무엘 잭슨, 육상 스타 에드윈 모제스 등이 나온 미국의 대표적 흑인 대학입니다.

     

    스미스의 놀랄만한 ‘졸업 선물’에 졸업식장은 환호와 환성으로 뒤덮였습니다.

     

    스미스는 학생들이 받은 학위가 혼자만의 노력으로 이뤄진 게 아니라며 나중에 얻게 될 부, 성공, 재능 등을 주위에 나눌 것을 당부했습니다.

     

    그는 이어 “학위는 사회적 계약으로 여러분의 재능과 열정을 헌신할 것을 요구한다"라며 “우리는 우리 사회와 마을이 함께 만들어낸 존재”라고 강조했습니다.

     

    코넬 대학을 졸업한 스미스는 2000년 사모펀드 비스타 에쿼티 파트너스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