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숙인 도우려 컵케이크 가게 차린 꼬마
마이클 플랫은 어릴 때부터 두 가지를 좋아했습니다. 하나는 빵을 굽는 일이었고 다른 하나는 굶주리는 아이들을 돕는 일이었습니다.
11살 때 플랫은 두 가지 일을 함께 하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마이클즈 디저트(Michaels Desserts)’라는 회사를 만들어 매출과 기부를 연결한 겁니다. 플랫은 컵케이크, 케이크, 쿠키 등 하나를 팔 때마다 노숙인을 위해 기부를 합니다.
“저는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싶어요. 다른 이들을 돕는 일 말입니다. 저는 제가 하는 일이 제게 어떤 도움을 줄지가 아니라 어떻게 다른 일에 영향을 미칠까를 늘 생각합니다.”(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
플랫이 만든 가게 이름에서도 그런 그의 뜻이 담겨 있습니다. 미국에서 흔한 가게 이름은 주로 따옴표를 써서 누구의 가게로 짓습니다. 하지만 플랫은 자신의 가게 이름에 따옴표를 뺐습니다. 자신의 성공을 위한 자신의 가게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플랫은 15달러(1만 7천 원) 짜리 컵케이크를 한 달에 75개가량 판매합니다. 많지는 않지만 케이크와 쿠키도 팔고요.
그가 만든 제품이 팔릴 때마다 기부를 하겠다는 원칙에 따라 플랫은 한 달에 100여 차례 기부금을 모읍니다.
그리고 한 달에 두 번씩 노숙인 쉼터나 가정폭력 피난처 등에 전달합니다. 비영리단체인 노키드헝그리(No Kid Hungry)와 협업도 합니다.
“저는 사업을 하고 싶어요. 그러나 돈만이 목적이 아니에요. 저는 사업을 하면서 다른 사람들을 돕고 싶습니다.”
마이클 플랫은 인스타그램에 자신이 이 일을 하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어뒀습니다.
“'네 사업은 지속 가능하지 않아. 컵케이크로 뭘 할 수 있지?' 이런 말을 하는 어른들에게 저는 다음과 같이 답합니다.
컵케이크는 많은 일을 할 수 있어요! 저는 컵케이크가 미소, 눈물, 기쁨, 만족, 행복 등과 같은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봤어요.
쇼핑카트에 모든 짐을 싣고 다니는 사람에게 컵케이크를 건넸을 때 그 사람은 제가 자신에게 희망을 줬다고 말했습니다. 제가 컵케이크를 나눠주는 이유입니다.
사람들은 '네 사업은 지속 가능하지 않은 모델이며, 내가 팔고 있는 것과 똑같은 가치를 지닌 디저트를 공짜로 나눠주는 한, 사업을 키울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저는 컵케이크가 필요한 사람들과, 제가 나눠줄 다음 번 컵케이크 이 둘에 대해서만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