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 재활용

Contents List 3

  • 스타벅스, 제주 한라봉 생산농가에 친환경 커피 퇴비 기부

    스타벅스코리아가 한라봉 생산 농가에 친환경 커피 퇴비를 기부했습니다.

    이 퇴비를 써서 재배한 제주 한라봉은 내년 상반기 전국 스타벅스 매장에서 판매됩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11월 26일 제주도 서귀포시에 있는 한라봉 농가에서 제주 지역 농가에 커피 퇴비를 전달하는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 행사에서 스타벅스 친환경 커피박 퇴비 1만1650포대(약 233t)가 전달됐습니다. 퇴비는 제주도 위미 농협을 통해 서귀포시 한라봉 농가에 배포됩니다.

     

    스타벅스코리아가 기증한 커피박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질소, 인산, 칼륨 등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중금속 성분이 없다는 점에서 훌륭한 친환경 비료의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친환경 퇴비로 재배한 한라봉은 다시 스타벅스 매장에서 판매해 농민들의 친환경 농업을 지원하게 됩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이미 우리 농산물을 활용한 '라이스 칩', '우리 미 카스텔라', '우리 흑미 카스텔라' 등을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산 친환경 인증 쌀과 동물복지 유정란으로 만든 '우리 미 카스텔라'는 판매량이 크게 늘어 커피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타벅스 대표 푸드로 자리 잡았다고 합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2015년부 경기도와 농산물 소비촉진 및 자원 재활용을 위한 협력을 맺은 것을 시작으로 농가에 꾸준히 커피 퇴비를 기부하는 방식으로 자원 선순환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년 업계 최초로 환경부, 자원순환사회연대와 커피 찌꺼기 재활용 활성화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스타벅스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경기도와 보성, 하동, 제주도 농가에 총 20만 8500포대, 약 4160t의 커피박 퇴비를 기부했습니다. 금액으로 치면 8억 6200만 원에 해당하는 양입니다.

  • 플라스틱으로 가치를 뽑아내는 '플라스틱 방앗간'

    프로젝트 방앗간에서 폐플라스틱을 빻아 만든 튜브짜개[이미지 : 플라스틱 방앗간 홈페이지]

    서울 충무로역에는 어디서도 보기 힘든 매우 독특한 방앗간이 있습니다.

    바로 '오래된 플라스틱'을 빻아 새로운 물건을 만드는 방앗간입니다.

     

    '플라스틱 방앗간'은 2020년 7월 서울환경운동연합에서 시작한 플라스틱 재활용 프로젝트입니다. '프레셔스 플라스틱 서울(Precious Plastic Seoul)'이라고도 불리는 이 프로젝트는, 2013년에 네덜란드 디자이너 '데이브 하켄스'가 시작하고 세계 각지 1000여 개가 넘는 공간, 단체에서 활용 중인 플라스틱 재활용 시스템 '프레셔스 플라스틱'을 국내에 도입해 현지화한 프로젝트입니다.

     

    '방앗간'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플라스틱 방앗간'은 버려진 플라스틱을 새로운 '가치 있는 제품'으로 만듭니다. 주목할 점은 일반적으로 재활용이 어렵다고 알려진 플라스틱 병뚜껑 등을 재료로 해 제품을 만들어 낸다는 점입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치 있는 물건'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먼저 전국에서 플라스틱 방앗간과 함께 하는 40개 정도의 수거 지점에서 작은 플라스틱들을 모아옵니다. 그리고 선별작업을 하는데, 열을 가해 재가공할 때 오염물질이 가장 적게 발생하는 폴리프로필렌(PP),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병뚜껑만을 선택합니다. 이 플라스틱을 씻은 뒤, 색깔별로 분류합니다. 분류한 후엔 분쇄기를 통해 플라스틱을 잘게 쪼개고, 사출기에 분쇄된 플라스틱을 주입해 열을 가해 녹여 몰드에 넣은 후 제품 제작을 하거나 압축기를 활용해 액자나 다양한 제품을 만듭니다. 대표적으로 튜브짜개, 짹짹고리, 비누 받침대, 벽걸이 후크 등이 있습니다.

     

    플라스틱 방앗간의 활동에 수많은 이들이 관심을 보이고 참여했습니다. 세 차례의 플라스틱 수집 기간 동안, 플라스틱을 모아 플라스틱 방앗간에 보내주는 이들이 무려 1만여 명이었으며, 세 번째 기간에만 모인 병뚜껑만 약 2200kg 정도였습니다. 너무나도 많은 관심과 성원에 세 번째 수집 이후에는 예약 후 직접방문, 전시회나 주변 수거 지점을 통해 전달하도록 시스템을 바꿨습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의 성원과 관심이 마냥 좋지만은 않습니다. 한정된 인원과 자원으로 플라스틱 수거도 하고 보상도 제공하려니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서울환경운동연합단체 회원들의 기부금으로 주로 운영되는데, 이 기부금으로 작업상 꼭 필요한 환기설비, 방독마스크, 보안경 등 플라스틱을 가공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설비 및 장비를 구매하기도 빠듯하다고 합니다.

     

    플라스틱을 보내주는 사람들 중, '재활용할 수 없는 플라스틱'을 보내주는 경우가 많다는 점 또한 풀어나가야 할 과제입니다. 수거된 폐플라스틱 중 약 40% 정도만 재활용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습니다. 뚜껑 재질이 쓰여 있지 않아 재활용할 수 있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프로젝트 방앗간'은 "궁극적으로는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자체가 없어져야 하지만 그게 불가능하다면 플라스틱 제품들의 재활용을 염두에 두고 제조해야 한다"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색깔이 들어간 페트병을 투명하게 하거나 재질을 통일하는 등, 회사들이 플라스틱 제품을 만들 때 재활용이 매우 쉽게 만들어야 한다는 겁니다.

     

    때문에, '프로젝트 방앗간'은 플라스틱 관련 운동이 업사이클링에 멈춰서는 안된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플라스틱 어택'과 '제로웨이스트 숍'의 활성화를 구상하고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합니다. '플라스틱 어택'은 현명한 소비자들이 제조기업을 상대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제품을 만들도록 직접 목소리를 내는 것을 말합니다. '제로웨이스트 숍'은 제품의 겉 포장이 없이, 직접 가져온 용기에 본인이 원하는 만큼 제품을 담아 구매하는 가게를 말합니다.

     

    현재 바다에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만 약 1.5억 톤이 넘고, 매년 바다에 유출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만 무려 800만 톤이 넘는 상황에서, 기업, 소비자, 정부 모두가 함께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한 몸 한뜻으로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그들은 말합니다.

  •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종이가구', 페이퍼팝

    페이퍼팝에서 판매하는 종이 침대 프레임 '보리'. [이미지 : 페이퍼팝 스토어]

    페이퍼팝은 2012년 설립된 '종이가구'를 만드는 스타트업입니다.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해 종이로 일상의 물건을 만든다"라는 회사 슬로건에서 알 수 있듯, 재활용이 비교적 쉬운 '종이'를 소재로 한 가구들을 제작, 판매하고 있습니다.

     

    판매되는 가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납박스부터 시작해서, 각종 칸막이, 휴지통, 휴대용 의자, 책장, 스탠딩 테이블, 심지어 침대 프레임까지 있습니다.

     

    "종이라 약할 것이다."라는 선입견과 달리, 페이퍼팝의 종이가구들은 매우 튼튼합니다. 침대 프레임은 최대 300kg까지 견딜 수 있으며, 책장 또한 10kg 정도는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습니다. 습도에도 강해 물에 장시간 직접적으로 닿거나 침수되지만 않으면 문제가 없습니다. 수명 또한 3~5년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종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굉장히 가벼우며, 가격 또한 저렴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큰 장점은 다른 가구에 비해 매우 친환경적이라는 것입니다. 기존의 가구로 흔히 사용하는 엠디에프(MDF), 파티클보드 등은 접착제, 코팅재로 인해 모두 소각처리 되고 있습니다. 반면, 페이퍼팝의 가구들은 색깔을 넣는 작업이나 코팅 등 재활용을 어렵게 하는 작업은
    최소화하여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가구의 50% 이상을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퍼팝을 설립한 박대희 대표에 따르면, 처음부터 '친환경'을 생각하진 않았다고 합니다. 종이상자 생산업체에서 근무하던 그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대피소에서 사용하던 종이침대를 보고는, 원룸, 1인 가구 등 이사가 잦은 이들을 위한 가구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가 '지속가능한 환경'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한 것은 '소셜벤처'라는 개념을 접하면서 였습니다. 그 때부터 그는 '친환경적인 제품'을 만들기 위해 수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기존의 제품 중 친환경적이지 못한 제품들은 점차 생산을 줄여나갔고, 보다 친환경적으로 제품을 만들기 위해 각종 연구에 매진했습니다. 그 결과 그는 3건의 특허권, 4건의 실용신안·디자인권 등을 갖게 됐습니다.

     

    그런 그의 목표는 역시나 지구를 깨끗하게 만들어 나가는 것 입니다. 이를 위해 그는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제품들을 더 만들어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