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명상

Contents List 3

  • 블루라이트가 망막세포를 파괴한다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Erik_Lucatero)의 이미지 수정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화면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망막세포를 파괴해 시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밤에 조명을 끈 상태에서 블루라이트에 노출될 경우 시력 저하 가능성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톨레도 대학교(The University of Toledo)의 아지스 카룬아라스네(Ajith Karunarathne) 교수 연구팀은 “블루라이트에 장기간 노출되면 눈의 망막세포 내에 독성물질이 증가하여 황반변성이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황반변성은 망막세포가 파괴되면서 점차 시력이 저하되고, 나아가 실명으로 이어지는 질병입니다.

     

    연구팀은 배양된 망막 시세포에 여러 파장의 빛을 비추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포의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블루라이트(4.86μW)에 노출된 망막 시세포는 30분만에 파괴가 상당히 진행되었으나, 다른 파장의 빛에 노출된 망막세포는 파괴되지 않거나 손상이 미미한 수준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이 블루라이트에 의해 망막 시세포 내 신호분자가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카슨 라트나야케(Kasun Ratnayake)는 “블루라이트에 오래 노출될수록, 망막의 신호분자가 변화하고, 이로 인해 독성이 발생하면서 광수용체 세포가 파괴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지스 교수는 “녹색, 황색, 또는 적색 빛으로는 이러한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다.”면서, “특히 어두운 공간에서 발생하는 블루라이트는 다른 빛이 없기 때문에 망막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습니다. 

     

    스마트폰과 같은 인공조명의 사용시간이 늘어나면서, 블루라이트의 유해성이 점차 부각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찰스 자이슬러(Charles Czeisler) 연구팀은 2014년 12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자기 전 태블릿 PC를 2시간 동안 본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수면시간이 평균적으로 약 1시간 정도 부족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12명의 건강한 성인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14일 간 한 그룹은 취침 전 전자책을 읽게 하였고, 다른 한 그룹은 일반적인 책을 읽도록 했습니다. 이후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 수면까지 이르는 시간 등을 체크하고, 매일 아침과 저녁에 뇌파검사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전자책을 읽은 그룹의 수면 대기시간이 다른 그룹에 비해 1시간 이상 늘어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청색광이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면서 수면사이클의 변화를 주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블루라이트의 유해성을 줄이기 위해 각종 차단필름, 차단안경 등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었으며, 블루라이트를 줄여주는 스마트폰 앱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최근의 스마트폰은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블루라이트를 최소화하는 기능을 갖춰서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8월호’에 실렸습니다.

  • 명상인이 매일 반드시 먹어야 하는 것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명상은 마음을 다루는 기술입니다. 마음근육을 키우는 마음운동이라고도 하지요.

     

    몸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매일 음식을 먹듯이, 마음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마음도 매일 먹어야 합니다.

     

    우리말에는 명상과 관련된 표현이 많습니다. 명상이나 수련과 관련한 어휘가 풍부한 것이지요.

     

    마음과 관련된 표현이 바로 그렇습니다. 마음을 가라앉히다. 마음을 낮추다. 마음을 가다듬다. 마음대로 하다, 마음을 비우다  등등.

     

    마음을 먹는다고 표현하는 언어가 있을까요?

    그런 점에서 보면 우리 조상들은 밥먹듯이 매일매일 마음먹기를 훈련하지 않았을까요?

     

    그렇습니다. 매일 밥을 먹듯이 마음도 매일 먹어야 합니다.

    건강을 위해 좋은 음식을 먹듯이 마음 건강을 위해서는 좋은 마음을 먹어야 합니다.

     

    매일 아침 일어나 하루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마음을 먹으세요. 좋은 마음을...

     

    명상은 매일매일 좋은 마음을 먹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아니 좋은 마음먹기는 명상의 시작과 끝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숨을 보면 마음을 안다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Pexels)

    숨은 나의 마음입니다.

    한자로 숨쉴 식(息)자는 스스로자(自)라는 글자와 마음심(心)자가 합해진 것입니다. 숨은 내 마음이라는 뜻이지요.

    자신의 숨을 보면 마음이 보입니다.

    숨이 거칠면 감정이 격해 있는 상태입니다. 긴장해 있는 상태입니다.

    숨이 고르고 편안하면 마음은 편안하고 행복한 상태입니다.

    자신의 마음을 보고 싶으면 숨을 보십시오.

  • 명상의 목적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Pezibear)

    많은 이들이 명상을 합니다.

    명상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명상은 기도, 참선, 묵상, 마음공부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립니다.

    예전엔 명상을 성직자나 종교인이 주로 하는 것으로 생각했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학교, 병원, 직장 등에서도 명상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학습 효과가 높아지고, 질병 치료에 도움을 주며, 직장의 업무 효율을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들도 많습니다.

     

    물론 명상이 그런 효과를 갖고 있음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명상의 목적은 그게 전부가 아닙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명상을 하는, 아니 명상을 해야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요?

     

    그건 다름아닌 우리가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입니다. 나아가 우리 뿐 아니라 이 세상의 모든 존재자들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서입니다. 우리가 누구인지, 이 세상의 존재자들이 누구인지를 아는 것을 깨달음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명상의 목적은 깨달음에만 있지 않습니다. 명상의 진정한 목적은 그런 깨달음에 기반해 참된 삶을 사는 것입니다. 신기한 것은 그런 존재로 살아가려 노력하다보면 깨닫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어찌보면 최고의 명상법은 삶 속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사실 생각과 말과 행동이 바로 명상입니다. 좋은 생각, 좋은 말, 좋은 행동을 할 때 우리는 명상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좋은 생각, 좋은 말, 좋은 행동을 할 때가 바로 명상 상태입니다.

     

    성경 에베소서에는 “무릇 더러운 말은 너희 입밖에도 내지 말고 오직 덕을 세우는 데 소용되는 대로 선한 말을 하여 듣는 자들에게 은혜를 끼치게 하라"고 합니다.

     

    불교에서도 신구의(身口意)로 선업을 지으라고 합니다. 인디언들은 우리 안에서 다투는 검은 늑대와 흰 늑대 가운데 흰 늑대에 먹이를 줘 키우라고 합니다. 그러니 명상을 할 시간이 없다고 안타까워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좋은 뜻, 부드러운 말, 친절한 행동으로 하루를 지내는 노력을 하시면 됩니다.

  • 믿음이 주는 놀랍고 신비한 힘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Alexas_Fotos)

    명상은 어떤 마음으로 하느냐에 따라 효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가장 중요한 마음가짐은 믿음입니다.

     

    현대인들에게 명상의 목적은 다양합니다.

    가장 중요한 목적 가운데 하나는 우리가 누구인지 아는 것입니다.

    한국에서 태어나 어디에서 사는 누구가 아닌 진짜 ‘나’ 말입니다.

    물론 명상을 통해 우리가 누구인지를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쉽지 않습니다. 믿음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불교에서는 우리 안에 불성이, 부처의 씨앗이 있다고 하지요.

    이는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존재입니다.

    반야심경의 구절처럼 불생불멸, 부증불감, 불구부정한 존재이지요.

    요가에서는 이를 진아라고 합니다.

    선도에서는 참나, 하늘사람, 진인, 금선 등으로 불렀구요.

    제가 아는 목사님 말씀으로는 기독교에서도 우리 안에 우리의 참모습이 있는데 이를 그리스도라 부른다고 합니다.

     

    종교나 수행 문파는 다르지만 우리 안에 ‘진짜 나’가 있다는 가르침은 똑같습니다.

    그리고 많은 성자들과 성현들이 이를 체험하고 우리게게 알려주셨습니다.

     

    불교에서는 불상을 금빛으로 단장합니다.

    금이 귀해서가 아니라 우리 안의 ‘참나’가 금빛이기 때문입니다.

    기독교의 성화에도 성인들 주변에 황금빛 오라가 보입니다.

    요가에서는 이를 ‘황금의 몸’이라고 부릅니다.

     

    명상은 마음 근육을 단련시키는 훈련이라고 합니다.

    그 시작은 믿음에서 비롯됩니다.

    지구를 다녀간 성인들이 설마 우리에게 거짓말을 하셨겠습니까?

    매일 자고 일어나 거울을 보면서, 아니면 틈날 때마다 마음 속으로 말씀해주세요.

     

    내 안에 ‘참나’가 있다. 나는 오늘 ‘참나’로 살 것이다.

    내 안에 그리스도가 있다. 나는 지금부터 그리스도의 삶을 살 것이다.

    내 안에 부처가 있다. 내가 부처다. 나는 오늘부터 부처로 살 것이다.

     

    이런 믿음으로 살 때 우리는 거듭나게 됩니다.

     

    명상의 시작은 이런 확고한 믿음에서 비롯됩니다. 믿음이 확고하면 굳이 명상이 필요하지도 않습니다. 믿음에 따라 그저 살기만 하면 됩니다.

     

    예수님은 “보지 못하고 믿는 자들은 복되도다”라고 하셨습니다.

  • 바쁜 현대인을 위한 잠자리 명상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nmiranda)

    현대인들은 너무 바빠 명상을 할 시간이 없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잠은 잡니다. 잠자기 직전에 명상을 하면 됩니다.
     

    먼저 잠 자리에 누워 몇 차례 편안한 호흡을 통해 몸과 마음을 이완시킵니다.
    내쉬는 숨을 길고 편안하게 하고, 들이마시는 숨은 저절로 들어오게 내버려 둡니다.
    내쉴 때 억지로 길게 내쉬려고 하면 가슴이 긴장하게 되어 답답해집니다.

    처음에는 숨이 거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번 호흡을 하면 숨이 고르게 됩니다.
     

    이때 얼굴에 은은한 미소를 짓는게 중요합니다.

    미소는 우리의 몸과 마음을 이완시켜주는데 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숨을 쉬다 보면 잡념이 떠오르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때 다시 숨을 길고 편안하게 내쉬도록 합니다. 물론 마시는 숨은 저절로 들어오게 둡니다. 들어오는 숨은 그저 지켜만 보는 것이지요.


    그래도 잡념이 떠오르면 숨을 내쉴 때 몸의 한곳을 바라봅니다.

    꼬리뼈 앞쪽 흔히 단전이라고 부르는 곳을 마음의 눈으로 바라보는 방법을 많이 씁니다.
    굳이 정확한 위치를 찾으려고 애쓰지 않아도 됩니다. 그저 꼬리뼈 부근을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게 반복을 하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잠에 빠지게 됩니다.

     

    잠이 든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잠 또한 훌륭한 명상이니까요.

  • 비우면 채워지는 신비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sasint)

    노자는 위학일익(爲學日益) 이요 위도일손(爲道日損)이라고 했습니다.

     

    학문은 하루하루 지식을 쌓아 나가는 것이요, 도를 닦는다는 것은 나날이 자신을 비워가는 일이라는 뜻입니다.

     

    갖고 싶은 욕망은 끝이 없습니다. 많은 이들이 갖지 못해 괴로워합니다.

     

    하지만, 욕망을 멈추면 괴로움은 더 이상 늘지 않습니다. 나아가 욕망을 버리기 시작하면 괴로움은 줄어듭니다. 도리어 마음속에서 즐거움이 샘솟습니다.

     

    어려운 때입니다. 갖지 못해서 괴로워하기보다 줄이고 버리고 비우는 데서 기쁨을 찾아보세요.

     

    몸을 보십시오. 속이 편할 때는 비어 있을 때입니다. 집안에도 가재도구가 적으면 청소나 정리할 일이 줄어듭니다. 편안하게 쉬거나 여가 생활하기에 더 좋습니다.

     

    마음은 더욱 그렇습니다. 노자의 말처럼 나날이 욕망을 비우면 도에 가까워집니다.

     

    도란 특별한 게 아닙니다 도(道)라는 한자를 파자 하면 사람이 걸어가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사람이면 누구나 가야 하는 길이 도입니다. 그 길은 행복에 이르는 길일 것입니다.

     

    사람이 불행한 이유는 두 가지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나는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하기 싫은 일을 하기 때문입니다. 하고 싶어 하는 마음도, 하기 싫어하는 마음도 없어지면 행복해질 것입니다.

     

    비우는 일은 생각보다 어렵지만 길은 있습니다. 다른 이를 섬기면 됩니다. 다른 존재를 하늘처럼 받들면 자신이 비워집니다.

     

    가까운 사람부터 섬겨 보십시오. 자녀가 자신보다 더 위대해지는 모습을 생각해보십시오.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연인이 자신보다 더 빛나는 존재가 된 모습을 떠올려 보십시오.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힘없고 약한 사람들, 지구상에서 가장 보잘 것 없고 연약한 존재들이 하늘의 축복을 받아 어떤 존재보다 더 빛나는 모습을 떠올려 보십시오.

     

    그런 마음을 자꾸 연습하면 내 안의 자아가 비워집니다. 그 빈 공간에 하늘의 성품이 들어차고, 내 안의 참나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 수능시험을 앞둔 자녀를 위한 기도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suc)

    감사합니다.

     

    오늘이 있기까지 오랜 시간 힘든 과정을 잘 견뎌온 아이에게 감사합니다.

     

    옆자리의 친구와 경쟁해야 하는 지옥 같은 현실을 원망하지 않고, 친구들과 함께 손잡고 어려운 길을 걸어온 아이와 아이의 친구들 모두에게 감사합니다.

     

    아이들을 지금까지 가르치고 지켜주신 모든 선생님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우리 아이는 다른 모든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하늘의 자녀로 이 땅에 왔기 때문에 지금까지 그랬듯 앞으로도 완전할 것입니다.

     

    수능을 비롯해 우리 아이가 겪는 이 모든 일은 하늘이 예비한 영적 여행입니다.

     

    수능의 결과 또한 이 아이의 영적 여행에 필요한 최선의 길을 하늘이 예비하고 이끄는 과정임을 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 아이가 어느 대학에서 무엇을 전공하던, 아니 대학이 아닌 다른 선택을 하던 그 길은 하늘이 돕고 이끄는 완전한 길일 것입니다.

     

    하오니 혹여 제가 하늘이 아닌 인간의 눈으로 아이들을 재단하는 일이 없도록 해주십시오.

     

    그리하여 아이들이 앞으로 걸어갈 아름답고 위대한 영적 여행을 조용히 지켜보고 소리 없이 돕는 사람이 되게 하여 주십시오.

     

    또한 저를 통해 세상에 온 아이들, 다른 부모를 통해 세상에 온 모든 아이들이 완전함을 믿고, 하늘이 그들이 세상에 보낸 계획대로 언제까지나 완전하게 존재할 것임을 잊지 않게 해주십시오.

     

    수능을 통해 삶의 영적 의미를 다시금 깨닫게 해주신 하늘께 경배를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