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Contents List 3

  • 수피 성자 루미의 시와 묘비글

    이슬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을 꼽으라면 많은 이들이 메블라나 잘랄루딘 루미를 꼽습니다.

     

    루미는 이슬람 신비주의 수피의 성자이고 시인입니다. 서구의 젊은이들이 가장 사랑하는 이슬람의 성자이지요.

    유네스코는 2007년을 ‘세계 루미의 해’로 선포하기도 했습니다.

     

    다음은 루미의 대표적인 시입니다.

     

     

    동정과 자비를위하여는

    태양과 같이 되어라

    남의 허물을 덮어주기에

    밤과 같이 되고

    노여움은 죽음처럼 그리고

    겸손하기 땅처럼 되어라

    당신의 모습대로 내보이고

    당신이 내보이는 바대로 되어라.

     

     

    그는 삼라만상에 깃든 본질, 사랑을 다음과 같이 노래했습니다.

     

     

    하늘이 사랑에 빠지지 않았다면 하늘은 그토록 청명하지 않을 것이다.

    태양이 사랑에 빠지지 않았다면 그 어떤 빛도 내지 않을 것이다.

    강물이 사랑에 빠지지 않았다면 강물은 소리도 내지 않고 움직이지도 않을 것이다.

    산과 땅이 사랑에 빠지지 않았다면 아무것도 자라지 않을 것이다.

     

     

    터키 코니아에 있는 루미의 묘 앞 돌에는 많은 이들에게 위안이 되는 다음과 같은 시구가 적혀있다고 합니다. 번역문은 미국 유니온신학대 현경 교수님의 글에서 가져왔습니다.

     

     

    “오라, 그대가 누구든. 신을 버린 자, 이방인, 불을 경배하는 자, 누구든 오라. 우리들의 집은 절망의 집이 아니다. 그대가 비록 백번도 넘게 회개의 약속을 깨뜨렸다 할지라도. 오라….”

     

    "Come, come, whoever you are. Wanderer, worshiper, lover of leaving. It doesn't matter. Ours is not a caravan of despair. Come, even if you have broken your vows a thousand times. Come, yet again, come, come."

  •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세 가지

    내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순간은 바로 지금 이순간이고,

    내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사람은 바로 지금 내 앞에 있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내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은 바로 지금입니다.

  • 소울메이트를 알아보는 법

    우리는 살면서 많은 사람을 만납니다.

    모든 사람이 중요하지만 그럼에도 더 특별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불교식으로 표현하면 여러 생에 걸쳐 인연을 맺었기에 특별한 느낌이 드는 경우도 있겠지요.

    서양에서는 이런 사이를 소울메이트라고 합니다.

     

    살다보면 특별한 느낌을 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어렵지 않습니다.

    매일 만나도 멀게 느껴지는 사람이 있고,

    몇 년에 한 번 만나도 가깝게 느껴지는 사람이 있습니다.

     

    후자가 소울메이트, 영혼의 친구입니다.

  • 징크스라는 마음의 힘

    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 최종전에서 한국 대표팀이 독일에 극적인 승리를 거뒀습니다. 피파랭킹 1위 팀으로 우승후보였던 독일을 2:0으로 이겨 세계 축구 팬들이 놀라워했었죠. 첫 게임에서 졸전 끝에 스웨덴에게 패한 뒤 비난이 쏟아졌는데 젊은 선수들의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겠습니다.

     

    오늘 말씀드리려는 것은 징크스라는 마음의 힘입니다. 한국 독일전이 열리기 전에 페이스북에 월드컵 징크스를 담은 파일이 올라왔습니다. 월드컵 우승 팀이 다음번 월드컵에서는 예선 조별리그에서 탈락해 16강에 오르지 못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1998년 프랑스 우승
    2002년 프랑스 조별리그 탈락
    2006년 이탈리아 우승
    2010년 이탈리아 조별리그 탈락
    2010년 스페인 우승
    2014년 스페인 조별리그 탈락
    2014년 독일 우승
    2018년 : ???

     

    물론 2002년 월드컵에서 우승한 브라질이 8강에 진출해서 예외는 있지만 올해 독일이 예선 조별리그에서 꼴찌로 탈락하면서 징크스는 이어져가게 됐습니다.

     

    징크스는 어찌 보면 마음의 힘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어느 순간 자신의 행위나 현상을 어떤 일의 결과와 연결 짓는 것이지요. 현재 세계 남자 테니스 랭킹 1위인 라파엘 나달은 경기장에서 마시는 음료수를 줄을 맞춰 세워 놓는다고 합니다. 미국 프로농구의 전설 마이클 조던은 시카고 불스 시절 유니폼 아래 자신이 다녔던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농구팀 시절의 유니폼을 항상 입었다고 합니다. 영국 축구의 대표 선수였던 데이비드 베컴은 짝이 맞지 않는 것을 싫어했다고 합니다.

     

    개인적인 게 아니라 집단적인 징크스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 프로야구단인 보스턴 레드삭스에 내려진 염소의 저주입니다. 그리스계 이민자로 시카고 컵스의 열성팬이었던 빌리 시아니스는 도살장에 끌려가던 염소를 사서 머피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가족처럼 기르고 있었습니다. 염소를 얼마나 아꼈는지 자신이 야구장에 갈 때도 데리고 갔다고 합니다. 

     

    1945년 시카고 컵스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월드시리즈를 치를 때였습니다. 시아니스는 염소 머피와 시카고컵스의 홈구장인 리글리필드에 들어가려다 제지당했습니다. 물론 그는 염소의 표까지 끊었지요. 구단주였던 필립 리글리가 염소가 냄새를 풍긴다며 내보냈던 것이지요. 야구장에서 쫓겨나면서 시아니스는 염소에 모욕을 줬기 때문에 시카고 컵스는 월드시리즈에서 우승하지 못할 것이라고 저주 같은 말을 했습니다.

     

    그 때문일까요. 그 뒤부터 시카고컵스는 61년 동안 월드시리즈 우승을 하지 못했습니다. 2년 전인 2016년이 되어서야 월드시리즈 우승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징크스는 어떻게 하면 깰 수 있을까요?

     

    믿음을 바꾸면 됩니다. 자신을 옭아매던 징크스를 믿을수록 징크스는 힘이 세집니다. 무심하게 지나치면 됩니다. 세상 일은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는 것이니까요.

     

    집단 징크스가 깨지는 원리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징크스를 깨려는 염원이 강해지고, 관련이 없는 사람들도 “이제는 징크스가 깨질  때가 됐다"라는 마음이 모이면 징크스가 깨진다고 생각합니다. 염소의 저주처럼 말이지요.

     

    세상일은 마음먹기에 달렸습니다. 정말입니다. 스스로 마음의 감옥을 만들지 마세요.

  • 우리 삶을 가치있게 만드는 간단한 방법

    사람들은 늙어서 하지 못한 일에 대해 후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늙는 것은 어찌할 수 없지만 성숙하게 나이 먹는 것은 우리가 하기에 달렸습니다.

     

    우리는 주위로부터 받은 것들로 삶을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하지만 가치 있는 인생은 베푸는 것으로 만들어 집니다.

     

    그러니 베푸는 삶을 사십시오. 언젠가라는 말 대신 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

     

    물질이든 마음이든 가벼운 미소든 바로 지금 베풀도록 하십시오.

  • 스타벅스, 플라스틱 빨대 10억개 없앤다

    스타벅스가 환경보호를 위해 플라스틱 빨대를 없애기로 결정했습니다. 

     

    스타벅스는 9일(현지시간) “2020년까지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에서 플라스틱 빨대를 퇴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스타벅스는 전 세계에 28,0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가 계획대로 플라스틱 빨대를 제거한다면, 연간 빨대 소비량이 무려 10억 개 이상 줄어듭니다.

     

    이를 위해 스타벅스는 빨대가 필요 없는 뚜껑을 개발했습니다. 현재 미국과 캐나다의 8,000개 이상의 매장에서 특정 음료를 살 때 제공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이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스타벅스는 ”빨대를 요청하는 고객에 한해서 종이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만든 빨대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IMAGE|67|center|스타벅스가 개발한 빨대가 필요 없는 뚜껑. 이미지 출처 : Starbucks News]]

     

    스타벅스의 캐빈 존슨(Chevin Johnson) 대표이사는 "이 계획은 '지속 가능한 커피'라는 우리의 세계적 포부를 이루기 위한 중대한 이정표"라고 선언했습니다.

     

    세계야생동물기금(World Wildlife Fund)의 에린 사이먼(Erin Simon) 이사는 “우리의 바다를 위협하는 플라스틱 빨대는 바다 생태 종에 지독한 영향을 미칩니다. 스타벅스가 다양한 폐기물 감소계획에 협력하듯이, 다른 이들도 본받아 이를 행하길 바랍니다.”라며 스타벅스의 계획을 환영했습니다. 

     

    플라스틱 빨대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심각성이 부각되자, 세계적으로 정부 및 기업들이 플라스틱 빨대 퇴출에 나서고 있습니다. 영국 정부는 지난 4월 플라스틱 빨대와 면봉 사용 금지를 제안했습니다. 이에 맥도날드를 비롯한 많은 영국 기업들이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금지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또한 시애틀에서 플라스틱 빨대 및 식기류를 금지하는 조례를 만들어 시행하고 있으며, 뉴욕, 샌프란시스코도 이를 검토 중입니다. 

  • 레인트리 캠페인, 비올 때 쓰는 일회용 우산 비닐 줄인다

    절약하고 아끼는 일은 무조건 지구에 도움이 됩니다.

     

    제일기획과 아웃도어 전문회사 네파가 함께 추진하고 있는 레인트리 캠페인은 비가 올 때 사용하는 일회용 비닐을 줄이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비오는 날 백화점, 은행, 카페, 식당 등을 방문하면 입구에 우산에 비닐을 씌울 수 있는 우산비닐포장기를 볼 수 있습니다. 실내에 물이 떨어지면 사람이 미끄러져 다칠 수 있고, 또 청소하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 비닐은 일회용입니다. 비가 내릴 때마다 그렇게 쓰고 버려지는 비닐의 양은 어마어마 합니다. 연간 2억 장 이상일 것으로 추산됩니다.

     

    레인트리 캠페인은 재단하고 남은 방수 원단으로 우산 커버를 만들어 나눠주는 친환경 캠페인입니다. 레인트리는 우산비닐포장기를 대체하는 나무 모양의 조형물입니다. ‘비가 오면 자라나는 특별한 나무’라는 의미를 담았다고 합니다. 방수 원단은 등산용품 회사 네파가 제공했습니다. 네파는 우산 비닐 사용을 줄이는 데 참여해 환경 문제에 기여하고 생활폐기물도  줄일 수 있게 됬습니다.

     

    제일기획과 네파는 종로 영풍문고를 비롯해 국립중앙박물관 성수동 어반소스 카페 등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와 서울, 부산, 강원 등 주요 네파 직영 매장에 레인 트리를 설치해 올해 일회용 비닐 사용량을 줄일 계획이라고 합니다.

  • 캐나다가 도심에서 발견된 물새 알 4개를 대하는 법

    캐나다에서 물새 알 4개를 보호하기 위한 작전이 펼쳐졌습니다.

     

    캐나다에서는 7월이면 최대 음악 축제 가운데 하나인 오타와 블루스페스트가 열립니다. 오타와 도심에서 열리는 이 축제에는 해마다 30만 명이 넘는 사람이 찾아오는 큰 축제입니다.

     

    그런데 22일 무대 설치를 앞두고 사전 답사를 위해 현장을 찾았더니 보호종인 물떼새 둥지가 발견됐고, 알도 4개나 있었습니다.

     

    물떼새는 개체 수가 계속 줄어 캐나다에서는 정부의 승인없이 둥지를 훼손하는 것은 물론 건드리는 것조차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축제 준비위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축제 날짜는 정해져 있고, 물떼새 알이 부화하기를 마냥 기다릴 수도 없습니다. 물떼새 알은 부화에 24~26일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결국 물떼새 둥지를 축제 장소에서 옮기기로 했습니다. 캐나다 기후변화부에 둥지이전을 요청했고 정부는 자연환경에서 알이 부화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라며 물떼새 둥지의 이동을 승인했습니다.

     

    준비위는 둥지 주변에 사람들의 접근을 막기 위해 노란색 테이프를 두르고 24시간 경비원을 배치했습니다. 철새 전문가도 초청했습니다.

     

    야생 동물 가운데 사람의 손길을 타면 새끼마저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떼새도 비슷하다고 합니다. 준비위는 둥지를 정밀 촬영해 똑같은 둥지를 만들고 알을 옮겼습니다. 부모 물떼새는 다행이 새 둥지에도 찾아와 알을 품었습니다.

     

    이렇게 한번에 1m씩 둥지를 옮기는데 20분 동안 부모 물떼새 가운데 한 마리가 돌아오는지 확인하고 다시 옮긴다고 합니다. 목표는 30m를 옮기는 것입니다. 그럴 일은 없겠지만 부모 물떼새가 돌아오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인공부화기도 준비했습니다.

     

    동물 보호에 철저한 캐나다 사회의 노력이 성공하기를 바랍니다.

  • 영화 <벤지>의 노랫말에 담긴 가르침

    삶이 학교이고 일상이 수업입니다. 눈을 열고 귀를 기울이면 의외의 곳에서 위대한 가르침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영화 <벤지>의 주제가가 그런 가르침입니다.

     

    <벤지>는 길 잃은 강아지 벤지가 주인공입니다. 주인이 없이 자유롭게 살아가는 예쁜 개이지요. 벤지는 몸값을 노린 인질범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들을 납치했을 때 그들을 구하는데 활약을 펼칩니다. 티파니라는 예쁜 마르티스와 사랑에 빠지기도 하고요.

     

    <벤지>는 제작비 50만 달러의 저예산 영화지만 세계에서 4500만 달러를 벌어들인 성공한 영화이지만 주제가 ‘I  feel love’도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I feel love’는 놀라운 노래입니다. 가사가 그렇습니다. 종교, 명상, 수행 등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노래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가사 내용이 어떤지 볼까요?

     

     

    <가  사> 
     

    I feel love all around  나는 어디에서는 사랑이 느껴져요. 

    I can feel it shining down 사랑이 쏟아지고 있는 걸 느낄 수 있어요.

    It lights up the day like the morning sun 사랑은 하루를 밝혀주는 아침 햇살처럼 

    Reaching out and touching everyone 모든 사람들을 어루만져 줘요.

     

    I feel love all day long 나는 하루 종일 사랑을 느낄 수 있어요.

    Like a promise, like a song 약속처럼, 노래처럼

    And it's feeling good like I knew it would 사랑은 내가 이미 알고 있었던 것처럼 그런 좋은 느낌이에요.  

    Everywhere I go, I feel love 어디를 가든 나는 사랑을 느껴요.

     

    I feel love, yes I do 사랑이 느껴져요. 정말이에요.

  • 간디학교 교가, 그 아름다운 선율에 담긴 특별한 메시지

    한 초등학생이 방송에 출연해 부른 노래가 오래도록 회자되고 있습니다.

     

    청아한 목소리와 편안한 곡조, 그리고 무엇보다 사람의 가슴을 울리는 가사. 많은 이들이 궁금해 했습니다. 도대체 무슨 노래일까?

     

    그 노래는 1997년에 대안학교로 설립된 간디학교의 교가입니다. 간디학교는 대학 입시를 목표로 한 경쟁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전인교육을 목표로 하는 학교입니다.

     

    많은 학교의 교가는 상투적입니다. 학교가 위치한 지명이 나오고, 학교와 나라를 빛내는 인재가 되자는 식이지요. 

     

    하지만 간디학교 교가는 다릅니다. ‘꿈꾸지 않으면’이라는 교가에는 간디학교의 교육 철학이 그대로 답겨 있습니다.

     

    다음은 간디학교 교가의 가사입니다.

     

     

    <가사>

    꿈 꾸지 않으면 사는게 아니라고 별 헤는 맘으로 없는 길 가려네

    사랑하지 않으면 사는게 아니라고 설레는 마음으로 낯선길 가려 하네

     

    아름다운 꿈 꾸며 사랑하는 우리 아무도 가지않는 길 가는 우리

    누구도 꿈 꾸지 못한 우리들의 세상 만들어 가네

     

    배운다는건 꿈을 꾸는 것 가르친다는 건 희망을 노래하는 것

    배운다는건 꿈을 꾸는 것 가르친다는 건 희망을 노래하는 것

     

    우린 알고 있네 우린 알고 있네

    배운다는 건 가르친다는 건 희망을 노래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