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Contents List 3

  • 미국 2035년까지 동물실험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포유류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을 없애기로 했습니다.

     

    미국 환경보호청은 10일 앤드루 휠러 청장이 동물실험 요청이나 예산 지원을 2025년까지 30% 줄이고 2035년부터는 사안별로 청장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대신 컴퓨터를 이용한 모델링 실험 등 동물실험을 대체할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존스홉킨스대학과 밴더빌트 의료센터 등 5개 기관에 425만 달러(약 50억 6천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동물보호단체에서는 즉각 환영 의사를 밝혔습니다.

     

    '동물을 윤리적으로 대우하는 사람들(PETA)'은 “EPA의 조치는 야만적일 뿐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동물실험 대신 비동물실험으로 전환함으로써 동물은 물론 인간과 환경도 보호하는 것으로 찬사를 보낸다"라는 내용의 성명을 냈습니다.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동물실험의 축소로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데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됐다는 것입니다.

     

    한 해에 동물실험으로 희생되는 동물이 1억 마리가 넘는다고 합니다.

  • 잭 존슨, 가수이자 환경운동가

    잭 존슨은 가수이자 환경운동가입니다.

     

    그래미상까지 받은 가수지만 화려한 도시 대신 고향 하와이 살면서 음악과 환경운동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존슨은 자신의 믿음대로 살고자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컴퓨터가 만들어 낸 현란한 전자음이 노래에 많이 쓰이지만 존슨은 어쿠스틱 기타 하나로 자신의 음악 세계를 표현합니다.

     

    그의 노래들에는 그런 소박함과 무공해 냄새가 풀풀 풍깁니다. <Sitting Waiting Wishing> 등등.

     

    그의 삶은 단순하고 소박합니다. 하지만 환경운동가로서는 치열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존슨은 음악을 녹음할 때면 태양광으로 생산한 전력만을 사용하고 앨범을 낼 때도 재생종이에 친환경 잉크만을 씁니다. 이런 원칙을 지키지 않는 나라에는 앨범 발매도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 공연에 쓰는 소모품은 모두 재활용 소재로 만든 것이도 화학비료나 살충제를 쓰지 않고 기른 유기농 식자재로 만든 음식을 먹습니다.

     

    1975년 하와이에서 태어난 존슨은 서핑 선수였던 아버지를 둔 탓에 어려서부터 서핑을 즐겼습니다. 실력도 뛰어나 10대 때 이미 대회에 참여해 프로선수들과 겨룰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불의의 사고로 머리를 150바늘 꿰맬 정도의 큰 수술을 받고 돼 서퍼의 꿈을 접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대신 그는 자신이 좋아하던 영화와 음악에 빠졌습니다. 대학에서 영화를 전공한 그는 영화를 보고 음악을 만들며 20대를 보냈습니다.

     

    그의 음악은 2006년 그래미상 후보에 오를 정도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오로지 통기타 하나로 만든 음악이 말입니다. 음악가로 화려한 삶을 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지만 존슨은 여느 때와 다름없는 소박한 하와이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환경운동도 열심히 합니다. 그는 2004년 환경보호단체인 코쿠아하와이재단을 만드는 데 참여했고, 환경음악 축제인 코쿠아 페스티벌도 해마다 개최합니다.

     

    그런 삶에서 나온 음악이어서 그런지 많은 이들은 잭 존슨의 노래에 자연, 친환경, 무공해, 무자극, 순수, 힐링 등과 같은 단어를 붙이나 봅니다.

     

    잭 존슨의 노래를 듣고 싶으시면 유튜브에 Jack Johnson이라고 치시면 됩니다.

  • MBSR (3) - 바디스캔(Body Scan)

    

    MBSR 명상법을 익히는 데 큰 도움을 주는 방법이 바디스캔입니다. 병원에 가면 MRI와 같은 의료기기가 우리 몸을 훑듯이 마음으로 우리 몸을 스캐닝 하듯이 살펴보는 방법입니다.

     

    바디스캔은 우리 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집중을 하기가 쉽습니다. 집은 물론 어디에서든 혼자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바디스캔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자리에 편안하게 눕습니다. 두 팔은 아래쪽으로 늘어뜨리고 손바닥이 하늘로 향하게 합니다. 의자나 바닥에 편안하게 앉아서 해도 됩니다. 그리고 눈을 지그시 감습니다. 잠이 오면 눈을 뜨고 해도 됩니다.

     

    편안한 자세를 잡은 뒤에는 왼쪽 발의 발가락부터 시작해서 상체 쪽으로 천천히 의식을 보낼 대상을 옮겨가면서 느껴지는 감각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어떤 판단도 하지 않고 느껴지는 감각을 호기심을 갖고 있는 그대로 지켜보면 됩니다.

     

    처음 할 때는 호흡에 마음을 두는 것부터 시작하면 됩니다. 편안한 자세로 앉거나 누워서 숨이 들고 나는 것을 지켜봅니다. 숨이 들어오면서 가슴과 배가 움직이고 숨이 나갈 때 배가 꺼지는 것을 그저 지켜봅니다.

     

    숨의 들고 남을 알아채게 되면 이어 의식을 왼쪽 엄지발가락으로 옮겨 느껴봅니다. 따뜻함, 시원함, 맥박이 뛰는 느낌, 간지러움, 바람이 불어와 부딪히는 느낌 등을 있는 그대로 지켜봅니다. 양말을 신고 있을 때 느껴지는 촉감이 있다면 그 또한 그대로 느껴봅니다. 아무런 느낌이 없으면 없다는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알아차립니다.

     

    다음으로 다른 발가락으로 생각을 옮겨 감각을 알아차립니다. 두 번째 발가락, 세 번째 발가락, 네 번째 발가락, 다섯 번째 발가락 등으로 옮겨가며 있는 그대로 알아차립니다.

     

    다음으로 발바닥, 발뒤꿈치, 발목, 종아리, 무릎, 허벅지 등으로 주의 대상을 계속 옮겨가며 해당 부위의 감각을 있는 그대로 느낍니다. 같은 방법으로 오른쪽 다리를 대상으로 해봅니다.

     

    양쪽 다리를 다 마쳤으면 이제는 골반, 복부, 가슴, 어깨 등으로 의식을 옮겨가며 느껴지는 감각을 그대로 알아차립니다.

     

    바디스캔을 하다 보면 온갖 생각이 떠오를 수 있습니다. 자신이 온갖 잡생각을 하고 있음을 알게 되면 다시 호흡으로 돌아가 마음을 몸으로 다시 불러옵니다.

     

    다음으로 왼쪽 팔의 손가락, 손바닥, 손등, 팔목, 팔꿈치 등을 거쳐 다시 어깨로 의식을 옮겨가며 감각을 느낍니다. 어떤 판단도 하지 말고, 떠오르는 생각에 저항하지도 말고 있는 그대로 지켜봅니다.

     

    이어 목, 턱, 입, 코, 귀, 눈 등으로 주의를 옮기며 느낌을 인식합니다.

     

    몸 전체를 다 둘러봤으면 다시 한번 호흡에 마음을 집중합니다. 이때 숨을 들이마실 때 정수리로 숨이 들어오고 내쉴 때 발바닥으로 나간다고 생각하면서 편안하게 쉬면 됩니다.

     

    자신만의 바디스캔 순서를 익혀서 하거나 유튜브에 올라 있는 동영상을 찾아서 그에 따라 하셔도 좋습니다. (계속)

  • 달빛기도

    달빛기도

     

                          - 이해인 수녀 -

     

    너도 나도

    집을 향한 그리움으로

    둥근달이 되는 한가위

     

    우리가 서로 바라보는 눈길이

    달빛처럼 순하고 부드럽기를

     

    우리의 삶이 

    욕심의 어둠을 걷어내

    좀 더 환해 지기를

     

    모난 마음과 편견을 버리고

    좀 더 둥글어 지기를

    두 손 모아 기도 하려니

     

    하늘보다 내 마음에

    고운달이 먼저 뜹니다

     

    한가위 달을 마음에 걸어두고

    당신도 내내 행복 하세요 

    둥글게

  • 소방서에 익명의 기부 “소방관님들 회식 한 번 하세요”

    지난 9일 오후 6시경 순천소방서 서면센터 사무실에 익명의 기부자가 감사편지와 함께 현금 100만원을 기부해 화제가 되고 있다. [이미지 : 순천소방서]

    순천 소방서에 익명의 기부자가 감사편지와 현금 100만 원을 두고 갔습니다.

     

    순천 소방서가 언론에 알린 내용에 따르면 9일 오후 6시쯤 소방서 1층에 있는 서면 센터 사무실에 누군가가 두툼한 편지봉투를 두고 갔습니다. 

     

    소방서 소장님 께라고 쓰인 봉투 안에는 편지와 함께 오만 원권 현금 100만 원이 들어 있었습니다.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은 기부자는 소방관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적은 돈이지만 회식 한 번 하시라는 글을 적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늘 어려운 이웃을 위해 늘 어려운 현장으로 달려가는 소방관님들 한 번은 꼭 해드리고 싶었는데 적지만 회식 한 번 해주세요.

     

    9.11 소방의 날을 맞으며 맛있는 식사 한 번 하세요.

     

    누가 보냈다 묻지도 말고, 대한민국 전 국민이 해드리고 싶은 마음이나 꼭 회식 한번 해주세요.

     

    항상 감사합니다.”

     

    순천 소방서는 봉투에 담긴 편지와 현금을 확인한 뒤 기부자를 찾고 싶었지만 불가능했습니다.

     

    서면 센터에는 CCTV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봉투를 두고 가는 모습도 찍히지 않았습니다.

     

    순천 소방서는 기부자의 따뜻한 마음을 감사히 받겠다고 밝히면서도 ‘회식비’는 불우이웃을 돕는 데 쓰기로 했습니다.

    

  • 축구장 안에 만든 숲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의 뵈르터르세 축구 경기장 잔디에 299그루의 나무가 심어져 있다. [이미지 : CBS MORNING 유튜브 캡처]

    축구장이 숲으로 바뀌었습니다.

     

    수명을 다한 축구장을 숲으로 꾸민 것은 아닙니다. 클라우스 리트만이라는 작가가 나무 299그루를 잔디에 심은 설치미술 작품이라고 합니다.

     

    언론들은 기후변화와 그에 따라 사라져가는 숲과 위기에 처한 현대 문명을 비판하는 메시지를 담았다고 평가합니다.

     

    리트만은 디스토피아를 표현한 맥스 파인트너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나무가 다 사라져 특별한 장소에서만 볼 수 있게 된 세상을 표현했다고 합니다.

     

    리트만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그 작품에 담긴 아이디어가 너무 좋아 그 그림을 현실 속에 구현하고 체험하고 싶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설치미술 공간은 3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의 뵈르터르세 축구 경기장입니다.

     

    축구장을 다시 쓸게 될 텐데 잔디밭의 나무들은 어떻게 되냐고요? 프로젝트가 끝나면 이 나무들을 가능한 주변의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축구장 근처로 옮겨 심는다고 합니다. 

     

    나무들은 몸살을 앓겠지만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기후변화에 관심을 갖게 되기를 리트만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IMAGE|553|center|디스토피아를 표현한 맥스파인트너의 그림. 리트만은 이 그림을 보고 영감을 얻어 뵈르터르세 축구 경기장에 작품을 만들었다. [이미지 : CBS MORNING 유튜브 캡처] ]]

  • 히말라야의 성산 마차푸차레

    마차푸차레는 네팔에 있는 해발 6993m의 산입니다. 봉우리가 물고기 꼬리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Fish tail이라고도 불립니다.

     

    산악인들 사이에는 단 한 번이라도 마차푸차레를 보고 나면 평생 그 산을 잊을 수 없다는 얘기가 전해집니다. 하지만 성산으로 여겨져 등반이 허락되지 않습니다. 힌두교에서는 마차푸차레의 정상에 시바신이 산다고 믿습니다.

     

    1957년 영국 출신 5명의 산악인이 마차푸차레 원정대를 꾸려 네팔 정부로부터 처음이자 마지막인 공식 등반 허가를 받아 등정에 나섰습니다. 네팔 국왕은 등반대장인 윌프레드 노이스가 힌두교 관습을 존중하고 산 정상을 밟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조건으로 등반을 허가했습니다. 

     

    윌프레드와 등반대는 정상에서 150피트 가까운 곳까지 올랐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때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와 눈을 뜰 수 없을 정도의 폭설이 쏟아져 결국 정상 등반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전해집니다.

     

    원정대는 등반 경험을 담은 책 을 펴냈습니다. 윌프리드 노이스는 마차푸차레에 대해 다름과 같이 말했다고 합니다.

     

    “이 세상 어딘가에는 인간이 오를 수 없는 산도 있어야 합니다. 저는 진심으로 현지인들의 믿음을 받아들입니다. 마차푸차레의 정상에는 여신이 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인간은 영원히 산 정상에 오를 수 없을 것입니다.”

    

     

    [[IMAGE|550|center|caption]]

     

    [[IMAGE|551|center|caption]]

  • 획기적인 치매 완화법 ‘기억의 방’

    독일 드레스덴의 알렉사 양로원에서는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는 방법을 사용해 치매노인들을 치료하고 있다. [이미지 : 슈피겔TV 유튜브 캡처]

    과거의 기억이 치매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독일 드레스덴 지역의 알렉사 양로원에서는 과거의 기억을 되살려주는 방법을 써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노인들을 치료해 효과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단기 기억과 달리 오랜 시간 동안 쌓인 기억은 쉽게 잊어버리지 않으며 관련 기억을 소환하는 자극을 주면 곧바로 복원된다는 겁니다.

     

    알렉사 요양원은 이를 위해 ‘기억의 방’이라는 공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방에는 옛 동독의 대표적 상품인 흰 도자가 그릇과 마트료시카 인형 등 요양원에 사는 노인들에게 과거의 기억을 되살려주는 1960~70년대의 소품들로 꾸며져 있습니다.

     

    ‘기억의 방’은 알레스 요양원 원장인 군터 볼프람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됐습니다. 볼프람 원장은 2014년 치매노인들의 인지능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을 고민하다 젊은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우선 실내 장식용으로 1960년대 동독에서 사람들이 많이 타고 다니던 모터스쿠터를 인터넷 경매 사이트에서 구입했습니다.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스쿠터의 세세한 내용을 기억하는 이들이 있었고 친구들과 함께 스쿠터를 타고 놀러 다녔던 얘기를 하는 이들도 생겨났습니다. 어떤 노인은 스쿠터의 점화 장치를 작동시키기도 했다고 합니다.

     

    볼프람 원장은 가능성을 확인하자 잡지, 헤어드라이어, 세제, 안락의자, 화로, 라디오 등 1960년대 동독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다양한 소품들을 찾아 ‘기억의 방’을 꾸몄습니다.

     

    ‘기억의 방’을 드나드는 치매 노인들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식사량이 늘었고 말 수가 늘었으며 어떤 환자는 스스로 화장실을 다녀오기도 했습니다.

     

    성과가 확인되자 볼프람 원장은 1970년대의 추억을 소환하는 두 번째 ‘기억의 방’을 만들었고 지금은 1980년대를 복원한 것까지 ‘추억의 방’이 모두 3개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영화관도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곳의 치매 노인들은 하루에 몇 시간씩 ‘기억의 방’에서 머물며 ‘치료’를 받습니다. 환자들은 옛 동독 시절 자신이 살던 과거로 돌아가 좋아하는 물건을 고르고 사기도 합니다.

     

    볼프람 원장은 미국 라디오방송 NPR과의 인터뷰에서 “아무런 의욕 없이 침대에 누워있던 사람들이 갑자기 활발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 노르웨이 공주의 가스펠, 별빛이 이 밤을 비추죠

    어둠이 세상을 덮고 있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두운 밤 하늘 안에는 수많은 빛나는 별들이 있습니다. 우리 안에도 어둠이 있지만 그조차 찬란한 빛으로 바꿀 희망의 밝은 별이 있습니다.

    노르웨이의 대표 가수인 시그바르 닥슬란과 마르타 루이제 공주가 오슬로 가스펠 합창단과 함께 듀엣으로 부른 노래를 소개합니다.

    ‘별빛이 이 밤을 비추죠(En Stjerne Skinner i Natt)’라는 제목의 노래입니다. 동방박사와 별을 얘기할 때 그 별과 아기 예수의 이야기를 담은 노래입니다.

  • 모든 것은 내게 달려 있다

    김구 선생님의 글을 읽으며 수행은 삶을 아름답게 하고 바르게 살기 위해서임을 되새깁니다.

    선생님 글을 읽을 때마다 힘이 됩니다.

     

    돈을 맞춰 일하면 직업이고

    돈을 넘어 일하면 소명이다

    직업으로 일하면 월급을 받고

    소명으로 일하면 선물을 받는다

     

    칭찬에 익숙하면 비난에 마음이 흔들리고

    대접에 익숙해져서 푸대접에 마음이 상한다

    문제는 익숙해져서 길들여진 내 마음이다

    내 힘으로 할 수 없는 일에 도전하지 않으면

    내 힘으로 갈 수 없는 곳에 이를 수 없다

    사실 나를 넘어서야 이곳을 떠나고

    나를 이겨내야 그곳에 이른다

    갈 만큼 갔다고 생각하는 곳에서

    얼마나 더 갈 수 있는지 아무도 모르고

    참을 만큼 참았다고 생각하는 곳에서

    얼마나 더 참을 수 있는지 누구도 모른다

     

    지옥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가까이 있는 사람을 미워하면 된다

    천국을 만드는 방법도 간단하다

    가까이 있는 사람을 사랑하면 된다

     

    상처를 받을 것인지 말 것인지 내가 결정한다

    상처를 키울 것인지 말 것인지 내가 결정한다

    그 사람 행동은 어쩔 수 없지만

    반응은 언제나 내 몫이다

     

    산고를 겪어야 새 생명이 태어나고

    꽃샘추위를 겪어야 봄이 오며,

    어둠이 지나야 새벽이 온다

    거칠게 말할수록 거칠어지고

    음란하게 말할수록 음란해지며

    사납게 말할수록 사나워진다

    결국 모든 것이 나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나를 다스려야 뜻을 이룬다

    모든 것은 나 자신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