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Contents List 3

  • 엔돌핀적 삶과 세로토닌적 삶

    누구나 행복해지기를 바랍니다. 

     

    사람 뿐 아니라 모든 모든 생명이 행복한 삶을 원합니다. 

     

    우리 몸에는 행복할 때 나오는 호르몬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호르몬이 엔돌핀과 세로토닌입니다.

     

    엔돌핀은 좋아하는 것, 바라는 것을 얻었을 때 생성됩니다. 재산, 명예, 권력, 좋은 직장 등을 가졌을 때 우리 몸 안에서 나옵니다. 하지만 엔돌핀은 중독성이 있어서 자꾸 뭔가를 새로 얻어서 행복감을 누리고 싶은 마음이 들게 만든다고 합니다.

     

    세로토닌은 아무 조건없이 사랑하고 좋아할 때 나옵니다. 있는 그대로 자족하고 다른 존재를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들, 매사에 긍정적인 사람들은 세로토닌 생성이 잘 되어 행복감을 잘 느낍니다. 

     

    가난한 나라 중에 작은 것에 흡족해하며 인간관계가 상대적으로 좋은 나라의 국민들이 행복지수가 높은 이유입니다.

  • 분노 에너지가 있는 자리

    한 스님이 혼자 고요히 명상을 하고 싶었습니다.

     

    그 스님은 강원을 떠나 보트를 타고 호수 한 가운데로 가서 눈을 감고 명상을 시작했습니다.

     

    한 두 시간 고요한 시간이 흘렀을 때 스님은 갑자기 다른 배가 자신이 탄 배를 들이받는 것을 느꼈습니다. 눈은 여전히 감고 있었지만 스님은 분노가 치솟는 것을 느꼈습니다.

     

    스님은 명상을 방해한 그 배에 탄 사람에게 소리를 지르려고 눈을 떴습니다.

     

    그러나 스님이 부딪혀 온 배가 끈이 풀려 호수를 떠다니는 빈 배라는 사실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그때 스님은 큰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분노가 바로 자신 안에 있으며 분노는 단지 그를 촉발할 외부의 자극이 필요할 뿐이라는 것을 말입니다.

     

    그 일이 있는 뒤 스님은 자신을 괴롭히거나 분노를 치밀어 오르게 하는 사람을 만날 때면 언제나 그 때를 떠올립니다. 그 사람은 빈 배일 뿐이라고. 분노는 내 안에 있는 것이라고.
     

  • 행복으로 가는 길은 애쓰지 않고 맡기기

    어떤 분이 일기에 이렇게 썼습니다. 

     

    “더 이상 행복해지려고 애쓰지 않으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인생의 목적을 ‘행복해지기 위해’라고 답하는 경우가 많은데 말이죠. “그럼 불행해져도 좋다는 말인가?” 이런 극단적인 생각까지도 떠올랐다 사라집니다. 

     

    “그런데 나에게 ‘행복’이란 무엇이지?” 이런 의문도 듭니다. ‘행복’이 뭔지도 모르면서 그저 ‘행복해지고 싶다’는 욕망 하나 만으로 모든 걸 참고 인내하며 아등바등 살아온 게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정말 ‘행복’이란 뭘까요? 

     

    불과 5,60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쌀밥’ 실컷 먹는 게 꿈이었습니다. 고기를 실컷 먹는다는 것은 꿈도 못 꿀 일이었습니다. 그저 보리밥이라도 배불리 먹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제 그런 것은 더 이상 ‘꿈’이 아닙니다. 요즘은 배불리 먹기보다는 오히려 어떻게 하면 덜 먹어 살 빼는가가 더 중요해졌습니다. 

     

    처음 아기를 낳아 마주 하게 되는 감격의 순간, 거의 모든 부모는 손가락 발가락 다 있고, 건강한 자식 낳은 것 만으로도 행복해 합니다. 그리고 거의 모든 부모의 소망은 “건강하게만 자라다오”이지요. 

     

    하지만 아이가 자라면서 부터 성적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성적이 나쁘면 아이를 잡도리합니다. 자아가 성숙해지면서 아이가 부모에 반항을 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가족 간 갈등이 심해지면 서로 불행하다고 느끼게 될 것은 뻔한 일입니다. 

     

    이렇게 ‘행복’은 시간에 따라, 상황에 따라, 가치관에 따라 수시로 변합니다. 절대적인 행복이란 없고 모든 행복은 상대적입니다. 어쩌면 행복은 내 마음먹기에 달린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또 하나 ‘애쓰지 않는다’에 대해서도 생각해봅니다. 

     

    아침에 잠이 깨서 세수하고 밥 먹고 설거지하고 청소하고 직장에 가는 일상을 한번 생각해봅니다. 어떻게 아침이 되어 저절로 눈이 떠졌을까요? 어떻게 수도꼭지를 틀면 물이 나와 세수를 하고 세수를 한 물은 하수구로 흘러 내려갈까요? 벼에서 쌀이 만들어져 밥이 된 것은 어떻고요? 손이 뜻대로 움직여 숟가락으로 밥을 퍼서 입으로 가져가는 것은 어떤가요? 다행히 나의 위장은 잘 움직여 소화를 시키고 소장, 대장 등 오장육부가 알아서 움직입니다. 

     

    사고로 사지가 마비되었던 분이 재활 치료에 성공해서 손가락 한 개를 움직일 수 있었을 때 그는 ‘기적’이 일어났다고 환호하는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 시각으로 보자면 기적 아닌 일이 없습니다. 

     

    사실 많은 일들이 애쓰지 않아도 저절로 일어나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한 생명이 이 세상에 태어나고, 먹고 자라고, 병들어 죽기까지 모두 의지와 상관없이 저절로 일어나는 일들입니다. 

     

     

    모든 걸 하늘에 맡기고 편안한 마음으로 매 순간을 살면 어떨까요? 

    편안한 우주의 기운이 나의 마음에 감응해 하늘 보시기에 가장 좋은 일이 벌어지게 되지 않을까요?

  • 정치권의 돌고래 고등어 멸치에게

    멸치와 고등어와 돌고래 이야기가 들립니다. 아니 그분들에 빗대어 사람을 비교하는 말입니다 멸치와 고등어와 돌고래는 자신들을 비교하지 않습니다.

     

    판단하고 분별하는 데 이골이 난 이들은 그분들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말들을 주절댑니다. 그렇게 말하는 그들도 행복해 보이지 않습니다.

     

    멸치는 바다를 헤엄치다 고등어를 만나서 먹이가 됩니다. 고등어는 돌고래의 밥이 됩니다. 밥이 되는 기쁨을 저들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불행합니다.

     

    자신을 주어 기쁘게 밥이 되는 이들을 찬양합니다.

  • 건강을 위한 세 가지 명언

    "운동을 위해 시간을 내지 않으면 병을 위해 시간을 내야 할 지도 모른다." 

    - Robin Sharma 

     

    "우리가 늙어서 운동을 그만두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운동을 그만두기 때문에 늙는 것이다."

    - Kenneth Cooper 

     

    "사람들은 일생을 건강을 희생하며 돈을 벌고 남은 생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번 돈을 다 쓰면서 보낸다." 

    - 출처 미상 

  • 이스라엘 여성이 팔레스타인 3살 아이에게 자신의 신장을 기증한 이후 벌어진 일

    이스라엘은 B.C. 1.000년 전 지금의 팔레스타인 땅에서 쫓겨나 세상을 떠돌다 2차 세계대전 이후 다시 땅을 점령하고 그 땅에 살던 팔레스타인들과 전쟁을 벌이고 있지요. 그 지역에선 끝없는 갈등과 피의 보복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고 있습니다.

     

    이디트 하렐 시걸은 이스라엘 북부의 유치원 교사인데 50세 생일에 아주 뜻밖의 결정을 합니다.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 사는 3살 팔레스타인 남자아이 환자에게 자신의 신장을 떼어주기로 한 것입니다. 이 때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11일간의 전쟁을 막 마쳤을 때였습니다.

     

    이 결정에 시걸의 남편은 펄펄 뛰며 반대했습니다. 팔레스타인 공격에서 친척 3명을 잃은 그녀의 가족들은 그녀를 배신자 취급했습니다. 그녀도 사람인지라 가족들의 완강한 반대에 두려움에 휩싸였습니다.

     

    한편 아들의 신장이 자신의 것과 적합하지 않아 아들에게 주지 못했던 남자아이의 아버지는 그때 새로운 결심을 하게 됩니다. 자신의 신장을, 간절히 필요로 하는 이스라엘 사람에게 기증하기로요!

     

    마침내 아들이 새 신장을 받은 날, 그 아버지는 자신의 것 하나를 25세 이스라엘 여성에게 떼어주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 죽어가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람이 서로 새 생명을 얻게 된 거죠.

     

    서로가 서로에게 총을 겨누고 죽이는 전쟁터에서 서로 적인 이들은 자신의 몸의 일부를 기꺼이 서로에게 나누어 주어 생명이 이어지는 기적적인 일이 벌어졌습니다.

     

    이렇게 생명은 사랑을 먹고 자랍니다. 원수로 여겼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가족들이 서로 얼싸안게 된 것은 물론이고요!

  • 션, 비대면 마라톤으로 모은 8억 독립운동가 후손 돕기에 기부

    가수 션이 독립유공자 후손을 돕기 위해 8억 원을 기부했습니다.

     

    션 소속사인 YG엔터테인먼트는 16일 션이 광복절 기념 비대면 마라톤 대회 '2021 버츄얼 815런'으로 마련한 약 8억 원을 한국해비타트에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션이 기부한 8억 원은 독립유공자 후손의 주거 환경 개선사업에 쓰일 예정입니다.

     

    이번 마라톤 대회에는 전국에ᅟᅥᆺ 약 3천여 명이 참가했다고 합니다. 

     

    이영표 전 축구 국가대표와 도쿄올림픽에서 사상 최초로 근대5종에서 메달을 딴 전웅태 선수, 배우 임시완씨 등이 페이스메이커로 참여했습니다.

     

    션은 "각자의 자리에서 뛴 3천명의 참가자와 후원 기업들이 광복절을 더욱 뜻깊게 만들어 줬다"며 "우리의 오늘을 있게 해 주신 수많은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들에게 감사함을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션은 지난해 광복절에도 마라톤 대회를 통해 마련한 3억2천만 원의 기금을 독립유공자 후손들의 보금자리 마련에 지원했습니다.

  • 한국 국가경쟁력 ‘넘사벽’ 일본 제치다

    한국이 20~30년 전만 해도 도저히 넘지 못할 ‘넘사벽’으로 여겼던 일본을 제쳤습니다.

     

    한국이 국가경쟁력, 신용등급, 1인당 경상 GDP 등 주요 경제지표에서 일본을 넘어섰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12일 8·15 광복절을 앞두고 1990년 이후 한일 경제·경쟁력 격차 변화를 비교, 분석해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한국은 스위스 소재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거시경제와 정부·기업 효율성, 보건환경·교육 인프라 등을 분석해 국가경쟁력을 종합 평가하는 IMD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평가 대상 64개국 가운데 23위로 31위의 일본을 앞섰습니다. 

     

    무디스, S&P, 피치 등 3대 국제신용평가사의 국가신용등급에서도 한국이 2단계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1990년만 하더라도 S&P 국가신용등급에서 한국은 ‘A+'로 일본(AAA)보다 4단계 낮았지만 올해는 한국이 'AA'로 일본(A+)보다 2단계 높아졌습니다. 

     

    물가와 환율을 반영해 구매력을 측정하는 1인당 경상 GDP는 한국이 이미 2018년 4만3001달러로 일본(4만2725달러)을 추월했습니다.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발표하는 세계 제조업 경쟁력 지수(CIP)에서 한국은 2018년 3위에 올랐고 일본은 5위로 밀렸습니다. 

     

    과학기술이나 기초기술 분야에서는 아직 일본과의 차이가 컸습니다. 2000년 기준 글로벌 연구개발(R&D) 1000대 투자 기업 수에서 일본은 한국보다 5배 이상 많은 기업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노벨과학상 수상자도 한국은 한 명도 없지만 일본은 20명이 넘습니다.

  • 모기도 더위 먹나요?

    덥다 더워! 그런데 모기는?

     

    찌는 더위 못지않은 한 여름 불청객으로 모기가 있죠. 그런데 다행인가요? 어쩐지 모기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서울시 발표에서도 지난 14일에서 17일 시내 50곳에서 모기를 채집했더니 지난해 평균보다 30퍼센트 넘게 감소했다고 합니다.

     

    폭염이라 그렇잖아도 밤잠을 설친다는 사실을 알고 모기가 예의를 차린 걸까요?

     

    물론 아닙니다. 그 이유는 온도가 지나치게 높이 올라갔기 때문이라네요. 최고 기온이 32도를 넘어가면 오히려 활동이 약해지고 수명이 짧아진답니다. 결국 모기도 살 수 없을 만큼 고온이라는 거죠. 게다가 지난 7월 초부터 계속되고 있는 국지성 호우도 모기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동남아 열대지방의 ‘스콜’을 방불케 하는 폭우가 물 웅덩이에 있던 모기 알과 유충을 휩쓸고 간 겁니다.

     

    모기라도 없으니 살겠다구요? 너무 기뻐할 일은 아닙니다. 기후 변화로 연평균 기온이 올라가면 여름이 아닌 가을이나 겨울에 모기가 극성을 부릴 수 있으니까요. 지난해에도 서울시 관측에 따르면, 9월 모기 개체수가 8월보다 일평균 약 21퍼센트 증가했다고 합니다.

  • 얼음골에 얼음이 사라졌다!

    경남 밀양에는 한여름에도 얼음이 어는 얼음골이 있습니다.

    더운 여름날 많은 이들이 찾는 피서 명소로 알려진 곳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곳입니다.

     

    그런데 올해 얼음골에 얼음이 자취를 감췄다고 합니다.

    너무 더운 날씨에 다 녹아버린 겁니다.

    얼음골은 몇 년 전부터 이미 얼음이 남아 있는 기간이 조금씩 줄어들었습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로 인해 이같은 현상이 발생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