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 코로나19

Contents List 3

  • 임은정, 검사 겸임 발령에 “감사한 마음, 등산화 한 켤레는 장만한 듯 든든”

    임은정 대검찰청 감찰정책연구관이 서울중앙지검 검사로 발령이 난 뒤 소회를 밝혔습니다. 

     

    임은정 연구관은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감찰업무를 담당하는 대검 연구관으로서 이례적으로 수사권이 없어 마음고생이 없지 않았다”며 “어렵사리 수사권을 부여받게 됐다”고 적었습니다. 

     

    임 연구관은 "다른 연구관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수사권이지만 저에게는 특별해 감사한 마음이다"며 "여전히 첩첩산중이지만 등산화 한 켤레는 장만한 듯 든든하다"고 글을 이어갔습니다.

     

    법무부는 22일 임 연구관을 보직이동 없이 서울중앙지검 검사로 겸임 발령하며 “서울중앙지검 검사로서의 수사권한도 부여해 감찰 업무의 효율과 기능을 강화했다”고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이번 발령으로 임 연구관은 감찰 사건과 관련해 수사를 개시할 권한을 갖게 됐습니다. 검사의 비위를 감찰하고 서울중앙지검 검사로서 수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 것이지요.

     

    그동안 임 연구관은 수사 권한이 없어 감찰 업무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것을 두고 아쉬움을 표현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지난해 11월 페이스북에 “제가 ‘제 식구 감싸기’를 결코 하지 않으리란 걸 대검 수뇌부는 잘 알고 있다”며 “감찰 조사 말고 정책 연구에 전념하길 원한다는 의중이 전달되고 중앙지검 검사직무대리 발령이 계속 보류되고 있다”고 쓰기도 했습니다. 

     

    다음은 임 연구관이 22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의 전문입니다. 

     

    충주와 울산에서는
    겨울에도 수국 화분을 베란다에 두었지요.
    그래도 남쪽이라 비교적 따뜻한 편이고,
    마른 가지나마 겨울 햇살을 쬐는 게 좋을 것 같았으니까요.
    상경하여 베란다에 둔 화분들의 겨울나기가
    보기 안쓰러워
    수국 화분은 거실에 두었습니다.
    그리고, 문득 보니
    마른 잎들을 밀어내고 푸른 잎들이 돋아나고 있네요.
    입춘이 지났다던데.
    봄이 오고 있긴 한가 봅니다.
    코로나19와
    어려운 경제상황과
    사랑하는 이들을 떠나보내어
    가슴 시린 모든 분들의 마음에도
    봄이 어여 왔으면 좋겠습니다.

    ps.
    감찰업무를 담당하는 대검 연구관으로서
    이례적으로 수사권이 없어 마음고생이 없지 않았는데,
    어렵사리 수사권을 부여받게 되었습니다.
    다른 연구관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수사권이지만,
    저에게는 특별하여 감사한 마음입니다.
    여전히 첩첩산중이지만,
    등산화 한 켤레는 장만한 듯 든든하네요.
    계속 가보겠습니다.
    봄에게로. 

  • 블룸버그 “한국 경제 지난해 G7 진입”

    한국이 1인당 국민 총소득(GNI) 기준으로 G7에 진입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월 25일 효과적인 코로나19 방역과 반도체 등 수출 호조에 힘입어 한국의 2020년 1인당 국민총소득이 주요 7개국(G7) 수준에 들었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블룸버그는 2019년 세계은행(WB) 자료를 인용해 한국이 이탈리아를 제치고 세계 7위 안에 진입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한국의 2019년 1인당 GNI는 3만3790달러로 3만4530달러인 이탈리아에 약간 뒤졌지만 2020년 이탈리아 경제가 대규모 봉쇄 때문에 약 9% 정도 위축됐기 때문에 지난해 한국의 이탈리아를 앞섰을 것이라는 겁니다. 

     

    실제 한국은 국민적 협조에 바탕한 뛰어난 방역 역량으로 지난해 다른 선진국에 비해 경제 분야에서 선방했습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4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1.1%였습니다.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은 –0.99%로 집계됐습니다. 

     

    비록 역성장하기는 했지만 OECD 국가들 가운데 1위입니다.

     

    이런 이유로 국제통화기금(IMF)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9%에서 3.1%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IMF는 1월 26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수정치’ 보고서에서 한국을 포함한 30개국의 성장 전망을 공개했는데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0월 전망보다 0.2%포인트 올렸습니다.

  • 이탈리아 신부가 한국에서 만난 기적

    경기도 성남시에서 노숙인 급식소를 운영하는 김하종 신부가 책을 냈습니다. <순간의 두려움 매일의 기적>(니케북스 펴냄)입니다.

     

    김 신부의 본명은 빈첸시로 보르도입니다.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사제가 된 그는 1990년 한국에 와서 김대건 신부의 성을 따 김하종이라는 이름으로 빈민과 노숙인을 돕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가 맡고 있는 ‘안나의집’은 노숙인 무료급식소와 노숙인 쉼터, 노숙인 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안나의 집은 “안아주고 나눠주고 의지하는 집’이라는 뜻입니다. 

     

    김 신부가 <순간의 두려움 매일의 기적>을 낸 것은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뒤 자신이 경험한 기적을 나누기 위해서입니다. 

     

    그는 무료급식소를 운영하면서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뒤 두 가지 기적을 체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나는 매일 오후 1시에 무료급식을 함께 하는 봉사자가 모이는데 한 번도 봉사자 숫자가 적어 차질을 빚은 적이 없다는 겁니다. 두 번째 기적 매일 650명의 식사 준비를 하는데 음식재료가 부족했던 적이 없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김 신부는 그런 기적을 더욱 실감했다고 합니다. 안나의집은 성남동성당 맞은 편에서 월~토요일 오후4시부터 저녁7시까지 무료급식소를 운영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휴일 저녁이었지만 여기저기서 식당을 폐쇄하라는 메시지를 보내왔다. 가난한 거리의 500여 명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이 폐쇄된다면, 이중 70%는 ‘안나의 집’에서 제공하는 식사가 하루의 유일한 한 끼인데, 문을 닫아버린다면…”(책 중에서)

     

    논의 끝에 도시락으로 급식을 대체하기로 했습니다. 쉽지 않은 결정이었습니다. 더 많은 비용이 들고 더 많은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도시락을 제공하면서 ‘안나의 집’을 찾는 사람은 점점 늘어났습니다. 다른 무료급식소가 문을 닫아서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전파를 우려한 주민들은 김 신부와 안나의집이 무료 급식을 지속하는 것을 반대했습니다. 어떤 주민은 시청에 무료 급식을 막아달라고 민원을 냈고 어떤 주민은 김 신부에게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구두를 벗어 집어 던지기도 했습니다. 

     

    무료 급식을 계속 하기로 한 데 대해 김 신부는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분들은 제 가족입니다. 가족은 버릴 수 없잖아요”라고 말했습니다. 

     

    안나의집을 찾는 이들 가운데 70%가 이곳에서 먹는 한끼가 하루 식사의 전부라는 사실도 김 신부가 도시락 제공이라는 힘든 결정을 하게 한 이유입니다.  안나의집마저 문을 닫으면 그 사람들은 굶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안나의집 무료급식소에는 자원봉사자가 끊이지 않습니다. 가톨릭 수도자와 신자 뿐 아니라 교회 목사와 신자, 스님과 불자 등 다양한 종교를 믿는 이들이 함께 봉사자로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안나의집의 기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입니다. 

  • “계좌번호 불러주세요. 임대료 절반 돌려드릴게요”

    광주광역시의 한 임대인이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임차인을 돕기 위해 임대료 절반을 돌려줬습니다.

     

    광주시에 사는 홍영수씨는 지난해 12월29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자신이 겪은 감동적인 일을 소개했습니다. 홍씨는 성당에서 기도할 때 쓰는 ‘컵초’를 만들어 납품하는 일을 합니다. 컵초는 작은 유리컵 안에 들어 있는 초입니다. 

     

    홍씨는 많이 벌지 못해도 생활에 큰 어려움을 없었는데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위기가 찾아왔다고 합니다. 성당 미사가 중단되고 성당을 찾는 사람들이 거의 없어져 컵초 사용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매출이 거의 반토막이 났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 지난해 12월22일 임대인이 전화를 걸어왔다고 합니다. 11년째 가게를 임차해서 쓰면서 건물주가 연락을 한 것은 처음이어서 걱정부터 됐습니다. 하지만 걱정은 기우였습니다.

     

    임대인은 ‘코로나 때문에 힘드시죠’라는 격려와 함께 작은 도움이라도 됐으면 좋겠다면서 1년 임대료의 절반을 돌려주려하니 계좌번호를 불러달라고 했습니다. 계좌번호를 알려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1년치 임대료의 절반에 해당하는 금액이 입금됐다는 문자를 받았습니다. 

     

    홍씨는 임대인이 11년 동안 임대료를 한 번도 올린 적이 없었다며 자신도 힘닿는 한 주위 사람들에게 나누며 살고 싶다고 돌려받은 임대료의 일부를 나눔단체에 기부하겠다고 했습니다.

  • 카이스트, 15분 만에 설치 가능한 '이동형 음압병동' 개발

    한국과학기술원이 시범 운영 중인 '이동식 음압병동(Mobile Clinic Module)'. 이미지 : 한국과학기술원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컨테이너를 병상으로 활용하는 등 병상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음압병동'을 만들어 병상 부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7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코로나 대응 과학기술 뉴딜사업단은 15분 이내에 설치 가능한 '이동형 음압병동(Mobile Clinic Module)'을 개발해, 한국원자력의학원 주차장에서 15일까지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남틱진 교수팀은 지난해 7월부터 한국형 방역패키지 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이 음압병동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연구팀이 개발한 이 음압병동은 독자적으로 설계된 '음압프레임'과, 에어텐트, 기능패널 등의 모듈을 연결해 짓는 방식으로, 규모는 450㎡(약 136평) 입니다. 내부는 중환자 케어용 전실과 음압병실 4개, 간호스테이션 및 탈의실, 각종 의료장비 보관실,
    의료진실 등으로 구성됐습니다.

     

    연구팀에 의하면, 재료가 현장에 준비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실과 병실로 구성된 기본 유닛을 15분 이내에 설치 가능합니다. 제작 및 납품 또한 6~8개 중환자 병상을 갖춘 병실 모듈 기준으로 길어야 4주 안으로 가능합니다. 또한, 기존의 조립식 병동과 달리 부피와 무게를 70% 이상 줄인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유사시를 대비해 보관하다가 빠르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기존 조립식 병동으로 증축할 경우에 비해 비용을 약 80% 정도 절감할 수 있는 것 또한 특징입니다.

     

    남택진 교수는 기존 병상 내부에 유닛을 설치해 음압병실로 만들거나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선별진료소, 음압병상을 빠르게 개조해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무엇보다 병동 증축 기간이 최소화돼 감염병 유행 등의 상황에 필수적인 방역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카이스트는 이번 시범 운영을 통해 안정성과 함께 의료진 및 환자의 사용성, 만족도 등을 검증한 후 본격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 '꿈의 직장' 구글에 첫 노동 조합이 탄생하다.

    자유로운 토론, 열린 기업 문화.

     

    구글이 '꿈의 직장'이라 불리게 된 이유지요. 사측과 노동자간 자유롭게 의견이 오가기에 굳이 노동조합이 필요없을 것이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선진문화를 선도하는 구글에 노동조합이 설립돼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4일(현지시간),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에 근무하는 직원 226명이 모여 알파벳 노동조합을 결성했습니다. 이는 1998년 5월 구글의 설립 후 처음으로 생긴 노조입니다.

     

    구글의 첫 노조는 실리콘벨리의 첫 노조이기도 합니다. '성과주의와 개인주의를 통한 기술개발'을 최우선으로 하는 미국 IT업계에서는 반노조 분위기가 팽배했기 때문입니다.

     

    강고한 '안티 노조'임에도 알파벳 노조가 설립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경영진과 노동자의 갈등이 점차 고조됐기 때문입니다.

     

    2014년 '안드로이드의 아버지'라 불리던 앤디 루빈이 직원을 대상으로 한 사내 성범죄로 인해 구글을 퇴사했습니다. 문제는 경영진이 이 문제를 덮어뒀을 뿐 아니라 거액의 퇴직금까지 지급한 것입니다. 2018년 이런 사실이 각종 언론을 통해 알려지게 됐고, '사악해지지 말자'는 기업 모토를 가진 구글의 이러한 행보에 전 세계 구글 직원들이 항의 시위를 하기도 했습니다.

     

    구글의 '사악한 행보'는 이뿐이 아닙니다. 


    2017년 '메이븐(Maven)'이라 불리는 미 국방부의 무기개발 프로젝트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제공했을 뿐 아니라, 각종 차별주의 단체의 광고로 수익을 얻기도 했습니다. 중국에 검열 검색엔진을 제공하는 드래곤 플라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2019년에는 경영진의 이러한 행보에 반대성명을 낸 직원들이 해고되기도 했습니다.

     

    지난 해에는 구글의 'AI윤리팀'의 팀닛 게브루가 부당하게 해고당했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습니다. 게브루는 구글의 AI기술이 가진 결함과 관련된 논문을 학회에 제출했었습니다. 이 논문이 제출되자 구글 경영진이 게브루에게 논문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고 그는 밝혔습니다. 게브루는 철회를 거부했고, 결국은 구글을 나올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런 구글의 행보로 지난 해 1월부터 몇몇 직원들 사이에서 노조 설립을 위한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미국통신노조(CWA)에 노조 설립 절차를 물어보거나, 가까운 동료들에게 조용히 노조 관련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서로가 만나기 쉽지 않았지만, 덕분에 원격근무가 늘면서 오히려 노조 설립이 더 용이해졌습니다. 

     

    물론 회사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매우 조심스럽게 진행했고, 인원 또한 한두명씩 추가했습니다.

     

    알파벳 노조 위원장인 파룰 카울은 <뉴욕타임즈>에 "우리는 구글을 만들었다. (하지만) 우리가 일하고 싶은 회사가 아니다."라는 기고문을 통해, "우리는 세상을 개선하는 기술을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알파벳에 합류했다. 그러나 경영진들은 우리의 우려보다 이익을 우선시한다."라며 설립취지를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수십억 명이 구글을 사용한다. 공익을 우선시할 책임이 있다. 알파벳의 근로자로서 우리는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데 책임이 있으며 도움을 줄 수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226명의 조합원으로 시작한 노조는 이날 저녁 400명 이상 늘어났습니다. 또한 미국 최대 노조 중 하나인 미국통신노조와 협력체제를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극비리에 설립된 노조라 규모가 미미한 수준입니다. 때문에 당장 단체교섭권 등으로 사측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신, 공공 캠페인, 각종 기관에의 로비 등을 통해 활동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각에서는 구글 전 직원 중 극소수의 인원만 합류한 노조가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표하기도 합니다. 반면 경영진이 더이상 기존처럼 핵심사업을 밀어붙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하지만 양측 모두 실리콘벨리에서 노조 설립의 장벽을 허물었다는 점에서 작지만 큰 의미를 주는 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대해 구글 경영진은 "언제나 그랬듯 직원들과 계속해서 소통해나갈 것이다."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 식당 직원들이 받은 600만원의 따뜻한 선물

    코로나19로 마음 한켠이 더더욱 얼어붙은 겨울, 한 손님이 식당 직원들을 위해 팁으로 거액을 지불해 많은이들의 가슴을 따뜻하게 녹여줬습니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12일, 미국의 오하이오주에 위치한 한 식당을 방문한 손님이 식당 종업원 28명의 팁으로 5600달러(한화 약 617만원)을 지불했다고 20일 외신이 밝혔습니다.

     

    오하이오주 톨레도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무사 살룩에 따르면, 자신이 운영하는 식당에 방문한 한 손님이 평범하게 식사를 마친 후 거액의 금액을 남기고 말도 없이 사라졌다고 합니다.

     

    미국에서는 코로나19로 올해만 10만 개의 식당을 문을 닫는 등 식당을 운영하는 이들이 식당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무사 살룩 또한 작년 10월 식당을 개업했지만 코로나19의 여파를 피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 이런 따뜻한 온정을 받은 그는 "감사하다는 말로는 충분치 않다"라며, 직원들이 크리스마스에 일하지 않고 가족들에게 선물을 줄 수 있게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받은 팁 5600달러를 종업원 28명 모두에게 각각 200달러씩(한화 약 22만원) 나눠줬습니다.

  • 매켄지 스콧, 4개월 동안 4.5조원 통큰 기부

    코로나19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차갑게 느껴지는 겨울, 아마존의 아마존의 설립자 제프 베조스의 전(前) 부인인 매켄지 스콧이 '통큰 기부'로 어려운 이들에게 따뜻한 온기를 전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현지시간으로 지난 15일, 매켄지 스콧은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지난 4개월 동안 미국의 384개의 단체에 약 41억6000달러(한화 약 4조5510억원) 이상을 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스콧은 "코로나19로 인한 판데믹이 안그래도 고군분투하던 미국인들의 삶에 엄청난 빚을 안겼다"면서, 특히 여성, 유색인종, 빈곤층에서 경제적 손실, 건강 악화 등이 더욱 두드러진 반면 억만장자의 자산은 더욱 크게 늘어났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그는 "판데믹이 경제에 끼친 영향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즉각적으로 지원해 2020년 기부를 가속화하고자 재정 고문팀을 만났다"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수백명의 현장전문가, 자금제공자, 비영리단체 리더 및 수십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자원봉사자 등 전문가들과 함께 수천 페이지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했고, 그 결과 6,490개의 단체 중 384개의 단체를 선정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가 기부한 기부금 중 일부는 긴급구호기금, 취약계층 지원 서비스, 고용훈련, 부채탕감 등 생존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곳에 쓰였다고 했습니다.

     

    매켄지 스콧은 세계에서 18번째로 부유한 억만장자로, 총 재산은 668억달러(한화 73조792억원)에 달합니다. 그런 스콧 또한 지난 해 재산의 사회환원을 약속하는 '더기빙플레지(The Giving Pledge)'에 서약을 했습니다. 이 서약에는 빌 게이츠, 워렌 버핏을 비롯해 204명의 억만장자들이 참여했습니다.  

  • 100억 연봉 리버플 사디오 마네의 깨진 스마트폰

    사디오 마네가 액정이 깨진 스마트폰을 들고 있다. 이미지 : 데일리스타 영상

    사디오 마네는 세네갈 국적의 리버풀 FC 소속의 축구선수입니다. 뛰어난 운동능력과 체력을 바탕으로 공격 수비 모두에서 활약하는 선수로 유명하죠. 


    2018-19 시즌에는 공동 득점왕에 올랐고, 해당 시즌에 리버풀이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차지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습니다. 올해는 FIFA 월드베스트 55인에 선정되기도 했죠.

     

    이런 그를 검색엔진에서 검색해보면 그의 뛰어난 활약과 함께 그의 '선한 인성'에 대한 수많은 글들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마네의 '깨진 핸드폰'과 관련된 미담입니다.

     

    마네는 뛰어난 축구실력 만큼 엄청난 연봉을 받고 있습니다. 그가 리버풀과 계약한 연봉은 무려 1,020만 달러(한화 약 121억원)나 되죠. 그런데 그가 사용하는 핸드폰은 최신 스마트폰이 아닌 '액정이 깨진 오래된 아이폰'입니다.

     

    사람들은 억만장자면서도 깨진 아이폰을 그대로 쓰는 이유에 대해 매우 의아해 했습니다. 그러자 마네는 이렇게 답변했습니다.

     

    "제가 왜 10대의 페라리, 20개의 다이아몬드 시계, 2대의 전용 비행기를 가져야 하나요? 

    그것이 세상에 무슨 도움이 될까요?

    과거에 전 배고팠고, 농장에서 일해야만 했고, 맨발로 뛰어놀았으며, 학교에 다니지도 못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저는 사람들을 도울 수 있습니다.

    전 학교를 짓고 가난한 이들에게 음식과 옷을 나눠주는데 더 좋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학교를 지었고 경기장도 하나 지었습니다.

    전 극빈층 이웃들에게 옷과 신발, 그리고 음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그들에게 매달 70유로(한화 약 10만원)를 생활비로 지원해주고 있죠. 

    전 값비싼 차량과 고급 저택, 여행, 사유 비행기 등을 자랑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전 그저 제가 받은 것들을 세네갈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받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실제로 작년 7월, 마네가 자신이 기부한 27만 유로(한화 약 3억 6천만 원)로 완공된 학교를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사진이 한 SNS를 통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3월, 세네갈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자 그는 세네갈 보건당국에 4만 4,652유로(한화 약 5900만원)을 바로 기부하기도 했습니다.

     

    그의 선한 인성은 그의 평소 생활에서도 여실히 드러납니다.

     

    경기 등으로 팀이 이동하면 물을 비롯해 수많은 짐들도 싣게 되는데요. 다른 선수들은 그냥 지나칠 때 그는 짐을 일부 들어주는 등 솔선수범해 스탭진들을 도와주는 모습이 방송에 나오기도 했었죠.

     

    지난 8월에 있었던 슈투트가르트와의 친선전에서는 상대팀의 부상당한 선수를 어깨동무를 하고 경기장 밖까지 부축해주는 모습이 SNS에서 공개돼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리버풀 공식 SNS에 의하면, 그의 등번호가 19번에서 10번으로 바꼈을 때, 이미 19번으로 유니폼을 주문한 사람들에게 무료로 10번 유니폼으로 교환해줬고, 19번 유니폼들은 말라위의 고아원에 기부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이런 선행들이 그다지 밝혀지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듯 합니다. 마네가 그의 돈을 지을 학교에 대해 회의를 할 때, 그는 갑자기 "(자신의 기부로 학교를 짓는 것에 대해) 어디에도 알리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고 합니다. 회의에 참가한 많은 이들이 그 이유에 대해 물었지만, 그는 "(일부러) 알리려고 이러는 것이 아니다"라며 자신의 선행이 알려지는 것에 대해 한사코 거부했다고 합니다.

     

    SNS가 우리의 삶에 녹아들면서, 수많은 이들이 여러 방법으로 자신을 과시하면서 살아갑니다. 어떤 이들은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도 하고, 어떤 이들은 선행을 과시의 수단으로 삼기도 하죠. 때문에 사디오 미네의 삶이 더더욱 돋보이고 빛나 보이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 니콜레 플리그의 <작은 평화>

    코로나19로 모두가 힘이 드는 때입니다.
    니콜레 플리그는 <작은 평화>라는 노래를 통해 이럴 때일 수록 사랑, 나눔, 이해 등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겨울을 맞은 꽃이나
    바람앞에 꺼져가는 촛불
    더 이상 날지 못하는 한마리 새와 같다는
    느낌이 들곤 합니다.
     
    하지만 삶의 무게로 우울할 때면
    저멀리 길 끝에 한 줄기 불빛을 그려 봅니다.
     
    눈을 감으면
    내 마음 속에서 어둠을 뚫고 솟아나는
    희망을 볼 수 있습니다.
     
    짧은 사랑 표현이나
    작은 나눔이
    우리가 사는 세상에 꿈을 심어줍니다.
     
    조금 참고 상대방을 이해하면
    우리가 살아갈 내일이 조금 더 평화로워 집니다.
     
    작은 햇살과 충만한 기쁨은
    슬픔의 눈물을 닦아 줍니다. 
     
    작은 희망이라도 품고
    잠깐만이라도 기도를 하면
    우리가 살아갈 내일이 좀 더 평화로울 수 있습니다.
     
    11월의 눈밭에 나뒹구는 나뭇잎 같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아무도 없는 바닥으로 떨어져
    어찌할 바를 모르고 노래합니다. 
    이 힘든 시기가 지나가길 바라면서 말이죠. 
     
    짧은 사랑 표현이나
    작은 나눔이
    우리가 사는 세상에 꿈을 심어줍니다.
     
    조금 참고 상대방을 이해하면
    우리가 살아갈 내일이 조금 더 평화로워 집니다.
     
    작은 햇살과 충만한 기쁨은
    슬픔의 눈물을 닦아 줍니다. 
     
    작은 희망이라도 품고
    잠깐만이라도 기도를 하면
    우리가 살아갈 내일이 좀 더 평화로울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산들바람에 나부끼는 깃털과 같은 존재입니다.
    함께 평화의 노래를 부릅시다.
    우리 모두는 산들바람에 나부끼는 깃털과 같은 존재입니다.
    함께 평화의 노래를 부릅시다.

    <작은 평화 - 니콜레 플리그>

     

    Just like a flower when winter begins
    Just like a candle blown out in the wind
    Just like a bird that can no longer fly
    I'm feeling that way sometimes

    But then as I'm falling weighed down by the load
    I picture a light at the end of the road
    And closing my eyes
    I can see through the dark
    The dream that is in my heart
     
    A little loving a little giving
    To build a dream for the word we live in
    A little patience and understanding
    For our tomorrow a little peace
     
    A little sunshine a sea of gladness
    To wash away all the tears of sadness
    A little hoping a little praying
    For our tomorrow a little peace
    I feel I'm a leaf in November snow
    I fell to the ground there was no one below
    So now I am helpless alone with my SONG
    Just wishing the storm was gone
     
    A little loving a little giving
    To build a dream for the word we live in
    A little patience and understanding
    For our tomorrow a little peace
     
    A little loving a little giving
    To build a dream for the word we live in
    A little patience and understanding
    For our tomorrow a little peace
     
    We are feathers on the breeze
    Sing with me my SONG of peace
    We are feathers on the breeze
    Sing with me my SONG of pe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