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생활·문화

Contents List 3

  • 물로 만드는 한약 음양탕, 위장 약한 사람에 좋아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GioPG)

    물로 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정수기와 컵이나 그릇만 있으면 됩니다. 먼저 컵이나 사발에 뜨거운 물을 받습니다. 그리고 이어 찬물을 받습니다. 그러면 끝.

     

    이게 무슨 약이냐고요? 약, 맞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를 음양탕(陰陽湯)이라고 합니다. 생숙탕(生熟湯)이라고도 부릅니다.

    한의학의 고전인 동의보감 탕액편에 보면 끓인 물 반 사발과 새로 길어온 물 반 사발을 섞은 것을 음양탕이라고 한다고 적혀 있지요.

     

    그렇다면 음양탕의 효능은 무엇일까요?

     

    동의보감은 음양탕에 볶은 소금을 조금 넣어 마시면 음식을 먹다 체했을 때 또는 독이 있는 음식을 먹어서 곽란 증상이 있을 때 토하고 낫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곽란은 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병을 말합니다.

    한의사들은 숙취나 독을 풀어주고 환경이 바뀔 때 생긴 배탈과 구토에 좋다고 합니다.

     

    또 갑자기 체하거나 정신적인 충격으로 가슴이 막힐 때 먹으면 효과가 있습니다. 소화가 잘되고 위장기능을 좋게 하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정수기 물을 마실 때 음양탕을 만들어 먹어보세요. 뜨거워서 마실 수 없을 정도가 아니라면 식기 전에 먹어야 합니다.

  • 딸꾹질 단숨에 멈추는법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RobinHiggins)

    중요한 만남이나 영화관 처럼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 갑자기 딸꾹질을 하게 되면 참으로 난감합니다.

    동양의학에서는 딸꾹질의 원인을 들이 마신 숨이 깊이 들어가지 못하고 위로 치솟아 생기는 것이라고 봅니다.

    딸꾹질을 멈추는 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지압법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1. 찬죽혈 누르고 고개 숙이기

     

    이미지 출처 : baidu.com

     

    찬죽혈은 눈썹 안쪽에 오목하게 들어간 곳입니다. 좌우 두 개가 있지요. 이 혈자리를 엄지손가락으로 꾹 누르고 고개를 숙이고 있으면 잠시 뒤에 딸꾹질이 멎게 됩니다.

     

     

    2. 팔목 부위 내관혈 누르기

     

    이미지 출처 : baidu.com

     

    내관혈은 팔목에서 손목 안쪽 정중앙을 따라 어깨쪽으로 5~6c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내관혈은 신경을 안정시키는 데 큰 도움을 주는 혈자리라고 합니다. 이곳을 반대편 엄지 손가락으로 자극하면 1~2분 안에 딸꾹질이 멈추게 됩니다.

  • 마음껏 먹어도 살안찌는 16:8 다이어트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PublicDomainPictures)

    마음껏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 다이어트법이 있다고 합니다. 미국 일리노이대 연구진이 밝혀낸 16:8 다이어트법이 그것입니다.

     

    16:8 다이어트는 하루에 8시간은 양껏 먹고, 16시간 동안은 먹지 않는 방법입니다.

     

    일리노이대 연구팀은 평균 나이 45세, 신체질량지수(BMI) 35세인 비만 성인 23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16:8 다이어트를 진행했습니다.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오전10시부터 오후6시까지 8시간 동안 먹고 싶은 대로 마음껏 먹도록 했습니다. 그 이외의 시간에는 물과 칼로리가 없는 음료만 허용했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참가자들은 체중이 3% 가량 줄었고, 수축기 혈압도 평균 7mmHg 떨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간헐적 다이어트로 알려진 ‘5:2 다이어트’와 효과를 비교하기도 했는데요, ‘16:8 다이어트’를 한 사람들이 `5:2 다이어트'를 한 사람보다 평균 350kcal를 덜 먹었다고 합니다. ‘5:2’ 다이어트는 5일 동안은 평소와 다름없이 먹고 2일은 500~600칼로리 정도의 음식만 먹는 방법입니다.

     

    이 연구를 수행한 크리스타 바라디 교수는 칼로리를 계산하고 특정 식품을 먹지 못하도록 하는 등 번거로운 방법을 쓰지 않고 다이어트를 쉽게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다이어트법은 불교의 오후불식과 닮아 있습니다.

     

    오후불식이란 점심 시간 이후에는 먹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불교의 전통이 현대인의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는 게 밝혀졌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