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명상

북한산

우리명산 답산기-서울의 앞산 관악산의 흉기와 요풍

작성자 : 류인학

서울의 조산(朝山)인 관악산은 매우 흉하다. 또 너무 높다. 관악산의  높이는 해발 632미터다. 주산인 북악산보다 290미터쯤 높다. 게다가 거리가 가까워 더욱 높게 보인다. 아주 위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도읍지의 조산이 이렇게 위압적인 자세로 앞에 우뚝 서 있으니 외국의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관악산도 북한산처럼 화성(火星)의 산이다. 관악산 연봉들은 모두 끝이 뾰족뾰족하다. 전형적인 화성이다.

 

그런데 관악산 연봉들은 하나같이 쓰러질 듯 기울어 있다. 뾰족뾰족 날카로운 봉우리들이 옆으로 기우뚱하게 비뚤어진 형상이 흡사 톱날처럼 보인다. 이 모양이 아주 흉하다. 관악산 자체로는 그리 흉한 산이 아닌데, 한양땅인 서울 중심가에서 볼 때 그렇게 안 좋은 것이다.

 

앞에서도 얘기했듯이, 화성의 산이 흉한 모습이면 전쟁 · 살육·전염병·화재·가뭄 등의 화를 불러온다. 또 조산은 외국에 해당된다.

그래서 우리 나라는 외적의 침략으로 인해 많은 고초를 당했다. 왜인들에게 나라를 빼앗겼던 것도 이 관악산에서 뻗쳐오는 흉기 때문이었다.

 

삼한산림비기〉에 이런 말이 나온다.

 

관악산이 남쪽에서 엿보니, (이씨왕조가) 일어날 때는 남쪽 도둑으로 인해 왕업(王業)을 이루게 된다. 그 중간에는 남쪽 도둑이 크게 쳐들어와 백성이 도탄에 빠진다.

 

이 예언대로 이성계는 남쪽 도둑인 왜구를 물리친 공으로 인망을 얻어 새 왕조를 세웠다. 또 왜적이 침략하여 우리 강토를 짓밟고 우리 겨레를 도탄에 빠뜨렸다.

 

그럼 무학대사의 주장대로 인왕산 아래에다 궁궐을 세웠다면 우리 역사가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상당히 달라졌을 것이다.

 

무학대사가 궁궐터로 잡은 데가 어디인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필자의 짐작으로는 거기가 세종문화회관 뒤쪽이 아닌가 싶다. 세종문화회관 뒤쪽으로 몇백 미터쯤 가면 작고 아담한 산봉우리가 나온다. 이 산은 인왕산의 한 지봉(支峯)인데 생김새가 퍽 아름답고 단아하다. 이 산봉우리 아래에다 궁궐을 지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그랬다면 주산이 단정하게 잘생겨서 밝고 어진 임금이 많이 나왔으리라. 백성들도 훨씬 평화롭게 살았을 것이다.

 

이 경우, 한양의 청룡(왼쪽 산줄기)은 북악산이 되고, 백호(오른쪽 산줄기)는 남산이 된다. 또 낙산이 안산 (바로 앞산)이 되고, 조산(朝山; 앞에서 멀리 떨어진 산)은 불암산이다.

 

북악산은 남산보다 80미터쯤 더 높다. 청룡이 백호보다 튼튼하고 높으니 장자세습사회에 잘 어울린다. 인왕산 아래에다 궁궐을 지었더라면 장자가 꺾이는 일이 드물었을 것이다. 왕권이 안정되고, 왕위를 놓고 골육다툼을 벌이지도 않았으리라.

 

또 남산은 북악산보다 약간 낮지만, 그래도 상당히 튼튼한 편이다. 높이만 좀 낮을 뿐 크기는 비슷하다. 그래서 권력이나 부가 훨씬 고르게 분배됐을 것이다. 너무 호사스럽게 사는 자도 너무 비참하게 사는 이도 없었으리라.

 

낙산은 한양땅을 둘러싼 산들 중에서 가장 낮은 산이다. 이렇게 낮은 것이 청룡 역할을 할 때는 문제가 되지만, 안산 역할을 할 때는 오히려 더 좋다. 높이가 아주 적당하다. 게다가 모양도 참 깨끗하다.

 

낙산의 형상은 옥대(玉帶)다. 옥대는 임금의 허리띠다. 궁궐의 안산이 옥대니 금상첨화다.

 

낙산은 생김새가 단아하고 온화해서, 인왕산 밑에 궁궐을 세웠더라면, 마음이 어질고 맑은 신하들이 많이 나와 임금을 도왔을 것이다. 그이들이 좋은 정치를 하여 백성들이 한결 평안하게 지냈으리라. 외세의 압박도 당당히 물리칠 수 있었을 것이다.

 

조산인 불암산은 더욱 아름답다. 불암산의 높이는 해발 508미터다. 관악산보다 좀 낮다. 게다가 관악산보다 멀리 떨어져 있어 위압감을 전혀 안 준다.

 

불암산의 형국은 송갓 (소나무 껍질로 만든 갓)을 쓴 스님의 형상이라 한다. 생김새가 후덕하며 의연하다. 도가 높은 스님이 가부좌를 틀고 앉아 고요히 명상에 잠긴 모습이다.

 

도읍지의 조산이 이렇게 아름다우면 외국과의 관계도 좋아진다. 서로 대등한 위치에서 평화롭게 지낸다. 외국의 군대가 아니라, 훌륭한 도인들이 자주 찾아와 친선을 도모하게 된다. 그래서 삼한산림비기〉는, 궁궐을 인왕산 아래에다 세우고 동향으로 앉히라 했던 것이다.

 

경복궁터가 지닌 또 한 가지 큰 흠은 북악산과 인왕산 사이가 움푹 들어간 것이다. 풍수학에선 산봉우리 사이가 이렇게 움푹 들어간 것을 요풍(回風) 이라 부른다. 요풍이 있으면 그곳을 통해서 흉한 기운이 뻗쳐온다.

 

요풍의 흉기는 방향에 따라 다른 작용을 한다. 인왕산과 북악산 사이의 요풍은 경복궁에서 서북방 (西北方)인 술건방 (戌乾方)에 자리했다.

 

술방 (戌方; 서북서)에 요풍이 있으면 흉악한 도적과 악질(惡疾)로 인한 재난이 침범한다. 광인과 흉포한 사람도 배출한다.

 

한 나라로 볼 때 흉악한 도적은 외적이다. 〈삼한산림비기〉는, 서북쪽이 허하여 북쪽 오랑캐가 두 번 쳐들어 오리라 예언했다. 우리 나라를두 번 침략한 북쪽 오랑캐는 여진족이다.

 

건방(乾方)에 요풍이 있으면 남자들이 단명하게 된다. 조선조의 왕들이 단명한 이유 중 하나가 이 요풍이다.

 

인왕산과 남산 사이에도 요풍이 있다. 인왕산 줄기는 덕수궁과 남대문일대에서 납작 엎드렸다가 남산에 이르러 다시 우뚝 치솟았다. 그 바람에 요풍이 생겼는데 이 요풍은 남방인 병오정방(丙午丁方)에 있다. 남방의 요풍은 화재와 전쟁의 화를 불러온다.

 

또 요풍 때문에 백호줄기가 중간에 끊긴 형상이 되어 더욱 안 좋다.청룡·백호가 중간에 끊기면 어려서 요사(夭死)하는 사람들이 많이 나온다. 백호가 그렇게 되면 부부간에 불화가 잦고, 이혼하는 사람도 많이생긴다..

 

옛날에는 이곳에 성곽이 있어서 결함을 보완해 주었었다. 그런데 성이없어지는 바람에 더욱 흉하게 되었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