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 이상기후

Contents List 3

  • 얼음골에 얼음이 사라졌다!

    경남 밀양에 위치한 얼음골 [밀양시청 홈페이지]

    경남 밀양에는 한여름에도 얼음이 어는 얼음골이 있습니다.

    더운 여름날 많은 이들이 찾는 피서 명소로 알려진 곳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곳입니다.

     

    그런데 올해 얼음골에 얼음이 자취를 감췄다고 합니다.

    너무 더운 날씨에 다 녹아버린 겁니다.

    얼음골은 몇 년 전부터 이미 얼음이 남아 있는 기간이 조금씩 줄어들었습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로 인해 이같은 현상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 초겨울에도 얼음없는 북극 바다…사라져가는 북극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cocoparisienne)

    11월이 다가오면서 대한민국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이 찾아왔습니다. 전국적으로 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겨울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는데요.

     

    대한민국에서도 겨울이 오고 있는데, 빙하로 유명한 북극에서 아직도 얼음이 얼지 않아 전문가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 재커리 라베 교수의 연구팀은 "11월이 다가오는데도 북극의 바다에 아직도 얼음이 얼지 않았다"라며, 북극을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늦은 기록이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북극해를 이루는 바다 중 한 곳인 랍테프해가 현재까지도 얼음이 얼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원래 랍테프해는 보통 10월 말부터 얼음이 얼기 시작하며, 해마다 다르긴 하지만 2017년도에는 그 시기가 빨리 오기도 했었다고 합니다. 그런 랍프티해가 아직까지도 얼음이 얼지 않고 있다며, 이는 북극해 관측을 시작한 41년 간 한번도 없던 일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연구팀은 이상기후로 인해 기온이 상승했고, 이로 인해 따뜻해진 대서양 해류가 북극으로 유입돼 랍프티해가 얼지 않았다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현지의 관측소에서 랍테프해의 해수온도는 기록적인 폭염과 함께 해빙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평년보다 5도 이상 높아졌습니다. 연구팀은 온실가스를 체계적으로 감축하지 않으면 이러한 현상이 21세기 중반까지도 계속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극지나 산악지역의 얼음이 녹으면 지구의 기온이 더 오를 수 있다고 합니다. 극지나 산악지역의 얼음이 지구 표면에 도달한 태양열을 반사하는데, 이 얼음이 줄어들수록 반사하는 태양열이 적어져 지구의 기온이 더 오른다고 합니다. 여기에 얼음이 줄어들면서 대기 중에 수증기가 늘어나게 되고, 이 또한 온실효과를 더욱 늘린다고 합니다.

     

    해빙 전문가인 스테판 헨드릭스 박사는 "이런 현상은 오래 전부터 예측됐지만, 이에 대해 실질적인 조치까지는 이어지지 않았었다"면서, 이번 결과에 대해 충격적이기보다는 실망스럽다고 말했습니다.

  • 2020년대 세계 위협 ‘톱 5’는 모두 환경문제

    세계경제포럼(WEF)이 2020년대에 인류가 맞닥뜨릴 가능성이 높은 5대 위험요인으로 모두 환경과 관련이 있는 문제를 꼽았습니다.

     

    세계경제포럼은 21일부터 나흘 동안 열리는 다보스포럼을 앞두고 ‘2020 세계 위험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글로벌 재계 지도자들과 시민단체, 학자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내용이 담겼습니다.

     

    응답자들은 2020년대에 일어날 수 있는 가장 큰 위협으로 기상이변을 들었습니다. 이어 기후변화 대응 실패, 자연재해, 생물 다양성 감소, 인간 유발 환경 재난을 2~5위로 꼽았습니다.

     

    2006년부터 발표된 ‘세계 위험 보고서’에서 환경 문제가 ‘Top 5’를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다음으로 데이터 사기 및 절도, 사이버 공격, 물 부족, 거버넌스 실패, 자산 거품 등이 6~10위를 차지했습니다.

     

    올해의 위협 요인에 대해서는 응답층 별로 생각이 달랐습니다. 지도층 인사들은 무역 갈등(78.5%)과 정치 양극화 현상(78.4%)를 가장 큰 위협으로 꼽았습니다. 폭염(77.1%)과 생태계 파괴(76.2%), 사이버 공격(76.1%)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젊은 층은 폭염(88.8%)를 가장 큰 위협으로 들었고 생태계 파괴(87.9%)를 다음으로 꼽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