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 수능

Contents List 3

  • 수능을 앞둔 자녀를 위한 명상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수험생을 뒷바라지한 부모님들은 “아이가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면 어쩌지?” 하는 불안감이 올라오기 쉽습니다. 오늘은 수험생인 자녀가 시험을 잘 볼 수 있도록 돕는 명상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우선 조용한 곳에 자리를 잡고 편안한 자세를 취해줍니다. 그런 다음 눈을 감고 자녀들과 함께 기쁘고 즐거웠던 일들을 떠올려봅니다. 그런 생각을 하면 얼굴에 저절로 미소가 지어지고 마음이 긍정적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제 심호흡을 크게 세 번 하면서, 시험을 앞둔 자녀가 환하게 웃는 모습을 머릿속에 그려봅니다. 이어 자연스럽게 숨을 쉬면서 자녀가 환하게 웃을 때 몸에서 밝고 따뜻한 빛이 나오는 모습을 상상합니다.

     

    이번에는 환한 미소를 짓고 있는 자녀에게 사랑하는 마음을 보냅니다. 마음속으로 두 팔을 벌려 자녀를 안아주는 상상을 해도 좋습니다. 자녀에게 사랑을 보내면서 “○○야, 아무 걱정 하지 마. 너는 시험을 무사히 잘 치를 거야”라고 여러 차례 말해줍니다.

     

    명상하는 중 갑자기 자녀가 시험을 잘 못 치르면 어떡하나 하는 불안감이 올라올 수 있습니다. 불안감은 좋지 않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불안감이 생기면 심호흡하면서 자녀가 빛이 나면서 웃는 모습을 그리며 마음을 다시 긍정적으로 바꿉니다.

     

    이렇게 긍정적인 마음으로 수험생인 자녀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를 보내면 자녀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 수능 수험생을 위한 멘탈관리 명상

    수능이 3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수많은 수험생들이 긴장하고 힘들어할 때입니다.

     

    ‘수능 수험생을 위한 명상’입니다.

  • [영상] 수능 수험생을 위한 기도문

  • [영상] 수능을 앞둔 고3 부모님들이 읽어야 할 편지

    오늘은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을 둔 부모님들이 꼭 아셔야 할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수능은 시험을 치르는 학생 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부담이 되는 일입니다.

     

    수험생을 둔 가족들은 큰소리는 물론 숨도 제대로 쉬지 못한다고 하지요. 

     

    외국의 한 교장 선생님이 우리나라 수능과 비슷한 시험을 앞둔 수험생의 부모님들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수능 수험생을 자녀나 가족으로 둔 분들에게 꼭 들려드리고 싶습니다. 

     

    친애하는 학부모님들께

     

    자녀들의 시험이 곧 시작됩니다.

    학부모님들 모두 자녀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기를 간절히 바라고 계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드리는 말씀을 명심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시험을 보기 위해 앉아 있을 학생들 가운데 수학을 잘 이해할 필요가 없는 예술가가 될 아이가 있을 것입니다.

    역사나 영문학과는 상관없는 기업가가 될 아이가 있을 것이며, 화학 성적이 문제가 되지 않을 음악가가 될 아이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물리학보다는 신체 단련이 더 중요한, 운동선수가 될 아이도 있을 것입니다.

     

    학부모님들의 자녀가 최고의 성적을 얻는다면 정말 좋은 일이겠지요. 하지만 여러분의 자녀가 좋은 성적을 받지 못하더라도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시고 자존감을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우선 자녀들에게 시험 결과가 어떻게 나와도 괜찮다고 말씀해주세요. 이건 그저 시험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입니다. 인생에는 너희에게 더 잘 어울리는 더 의미있는 많은 일들이 있다고 말해주세요. 점수는 별 것 아니라고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부모님께서 아이들을 사랑하고 있으며, 점수로 그들을 판단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주세요. 꼭 그렇게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그래서 여러분의 자녀들이 세상에 맞서 이겨나아가는 것을 지켜봐주세요. 한 번의 시험이나 낮은 점수가 우리 아이들의 꿈이나 재능을 빼앗아 갈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의사들이나 엔지니어들만이 행복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지 않기를 부탁드립니다. 
     
    따뜻한 마음을 담아.

     

  • 수능을 앞둔 학부모분들께

    친애하는 학부모님들께

     

    학부모님 자녀들의 시험이 곧 시작됩니다.

    학부모님 모두 자녀들이 좋은 성적을 받기를 간절히 바라고 계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드리는 말씀을 명시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시험을 보기 위해 앉아 있을 학생들 가운데

    수학을 이해할 필요가 없는 예술가가 될 아이도 있을 것입니다.

     

    역사나 영문학과는 상관없는 기업가가 될 아이도 있을 것이며,

    화학 성적이 문제가 되지 않을 음악가가 될 아이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물리학보다는 신체 단련이 더 중요한 운동선수도 있을 것입니다.

     

    만약 학부모님들의 자녀가 최고의 성적을 얻는다면, 정말 좋은 일이겠지요.

     

    하지만 여러분의 자녀가 좋은 성적을 받지 못하더라도 자신감과 자존감을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자녀들에게 괜찮다고 말씀해주세요. 그저 시험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입니다.

    인생에는 너희에게 적합한 보다 크고 많은 일들이 있다고 말해주세요.

     

    점수는 별 것 아니라고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부모님께서 아이들을 사랑하고 있으며, 점수로 그들을 판단하지 않을 것리라고 말해주세요.

     

    꼭 그렇게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그래서 여러분의 자녀들이 세상에 맞서 이겨나아가는 것을 지켜봐주세요.

     

    한 번의 시험이나 낮은 점수가 우리 아이들의 꿈이나 재능을 빼앗아 갈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의사들이나 엔지니어들만이 행복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지 않기를 부탁드립니다. 

     

    따뜻한 마음을 담아.

  • 최고의 수능 응원글

    수능을 앞두고 홈플러스가 SNS 계정에 올린 응원 글이 회자되고 있습니다.

     

    줄 세우기 시험을 치르는 아이들에게 최선을 다해라, 좋은 성적을 거두라 등과 같은 격려는 친구를 밟고 올라서라는 말과 같습니다.

     

    하지만 홈플러스가 올린 응원 글은 모든 수험생에 힘이 되고 읽는 모든 이들에게 우리가 아이들에게 강요하는 시스템의 부조리함을 알게 해줍니다.

     

    다음은 홈플러스가 올린 응원 글입니다.

     

    순응이 곧 끝납니다.

    12년의 길고 길었던 교육과정이 마무리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등하교하고

    점수에 의해 등급으로 줄 세워지고

    싫어도 의무적으로 해야 했던 모든 순응으로부터

    해방될 것입니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었고,

    인생의 가치가 대학 순위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먼저 성인이 된 우리들은

    이미 알고 있습니다.

    10대 청소년 개개인의 가치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을 뿐입니다.

    순응이 곧 끝납니다.

    우린 당신이 제대로 찍길 바랍니다.

    정답을 찍는 것이 아니라

    이 시스템에 마침표를 찍고 새로운 출발을 하길 바랍니다.

    우린 당신이 제대로 붙길 바랍니다.

    대학에 붙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기조대로 세상과 제대로 한 판 붙길 바랍니다.

    순응이 곧 끝납니다.

    이제 세상에 불응할 수 있는

    성인이 된 수험생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 수능 창시자가 수능폐지를 주장하는 이유

    박도순 고려대 명예교수. [이미지 : 프로젝트 위기 유튜브 캡처]

    박도순 고려대 명예교수는 1993년 도입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고안해 ‘수능 창시자’로 불립니다.

     

    초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을 지냈고, 교육혁신위원회 선임위원, 제36대 한국교육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교육학계의 원로이지요.

     

    그런 박 교수가 자신이 만든 수능이 폐지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이유는 무엇일까요?

     

    박 교수는 수능이 쓸모없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전국 단위로 학생들의 수학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전히 유용하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대학들이 수능 성적을 이기적으로 활용하면서 문제가 생겼다고 말합니다. 대학들이 교육 프로그램으로 경쟁하지 않고 성적 좋은 학생을 뽑아다 학교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만 몰두한다는 것입니다.

     

    박 교수는 교육이란 상대적으로 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데려다가 잘 되게 만드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대학은 그런 학생들을 성장시키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경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학교들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학생들을 얼마나 변화시키느냐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고 박 교수는 강조합니다. 특히 서울대와 같은 국가에서 막대한 지원을 하는 국립대학이 지금처럼 학생을 선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합니다.

     

    가르치기 편한 공부 잘하는 학생을 뽑아 놓으면 그냥 둬도 알아서 잘 하는데 그렇다면 대학은 도대체 무슨 역할을 하느냐는 것이지요. 대단히 잘못된 것이고 그것을 교육이라고 부를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렇게 수능이 활용될 바에야 차라리 폐지되는 게 옳다는 게 박 교수의 주장입니다.

     

  • 개운조사(5) - 스승의 가르침과 이적

    그날 밤 노인은 조사를 데리고 희양산 중턱에 올랐습니다. 노인이 발걸음을 멈춘 곳에는 넓은 마당만한 바위가 있었습니다.  

     

    달빛이 낮처럼 밝았는데 바위 앞이 훤하게 트여 쾌활하기 그지없었습니다. 그 바위를 가리키며 스승이 일렀습니다.  

     

    “인재가 땅의 기운을 받아 명당의 자리에서 나는 것처럼 수행도 그러한 것이다.” 

     

    스승과 제자가 바위 위에 올라서자 참으로 기이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아담한 암자 하나가 저절로 생긴 것이었습니다.  

     

    조사는 이 암자에서 스승과 함께 머물렀습니다. 신이한 이적은 계속 이어졌습니다. 끼니때가 되면 먹거리가 저절로 생겼고, 목마르다 싶으면 물이 생겼습니다.  

     

    조사의 신심은 100배나 솟구쳤습니다. 그동안 느껴보지 못했던 지복의 환희심에 가슴이 벅차올랐습니다.  

     

    조사가 할 일은 오로지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에 전념하는 것뿐이었습니다.  

     

    스승의 가르침은 다만 한 가지, 아만(我慢)에서 벗어나 마음을 조복하라는 것이었습니다.  

     

    공부하는 사람이 도를 이루지 못하는 것은 마음을 항복받지 못하고 아만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용맹 정진한 지 7일째 조사는 마침내 간혜지(乾慧地)를 증득합니다.  

     

    간혜지는 성문·연각·보살의 삼승이 공통으로 닦는 열 가지 수행 단계의 첫 번째 단계를 말합니다. 온갖 욕망이 겉으로 일어나지 않고 욕망에 따른 행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경지가 간혜지입니다.  

     

    욕망은 잠재의식 속에만 남습니다. 탐진치(貪瞋癡, 곧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 삼독의 습기는 다했으나 아직 지혜가 부족하기에 마른 지혜 즉 건혜지라 일컫는데, 선정으로 이 부족한 지혜를 보충합니다. 

     

    조사가 간혜지를 얻자 스승이 책 두 권을 내려 줍니다. 그것은 <정본수능엄경> 과 <유가심인록>이었습니다. 

     

    “내가 보현존사(寶賢尊師)에게 구결로 받은 신해수증(信解修證)이 모두 여기에 있으니 진중하게 받들어 간수하라.” 

     

    조사는 공경하게 삼배를 올리고 스승이 내리시는 책을 받잡아 정수리 위로 올렸습니다.  

     

    다시 좌복 위에 자리를 잡고 앉아 스승께서 말씀으로 전해주시는 대승(大乘)의 오묘한 경지를 하나하나 터득해나갔습니다. 

     

    스승은 내리고 제자는 받들고……. 전승이 끝나자 조사는 다시금 공손히 일어나 스승 앞에 100배를 올렸습니다. 사은의 절을 마치자 스승이 제자의 손을 어루만지며 작별의 말을 합니다. 

     

    “나는 이제 간다.” 

     

    말을 마치자 스승은 몸을 솟구쳐 새처럼 푸른 하늘 위로 날아가 버렸습니다.  

     

    조사의 눈에서는 조용히 눈물이 흘러내렸습니다. 한 배 한 배 스승이 사라진 허공을 보며 조사는 그 어느 때보다도 공경히 100배를 올렸습니다.  

     

    스승을 전송하고 돌아오니 그동안 머물던 암자도 온 데 간 데가 없었습니다.

  • 개운조사(1) - 바위에 주먹으로 새긴 글씨 '동천(洞天)'

    경북 상주군 화북면 우복동 길가에 ‘동천’이라 새겨진 바위가 있습니다. ‘동천’은 흔히 신선이 살 만큼 경치 좋은 곳을 이르는 말이지요.  

     

    신기하게도 이 바위에 새겨진 글자의 총 길이와 바위 둘레의 길이가 오장(五丈)으로 같아 ‘오장비(五丈碑)’라고도 불립니다. 

     

    동천 바위 아래 표지판의 설명에 의하면 이 글씨는 조선 4대 서예가 중의 한 분으로 특히 초서에 능통하셨던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 1531-1586)이 각자한 것이라 합니다.  

     

    하지만 이 글씨는 또한 18세기 상주에서 태어난 고승 개운조사가 새기신 것이라 회자되기도 하지요.  

     

    아마도 그것은 바로 개운조사께서 주석하신 『유가심인 정본수능엄경 환해산보기(瑜伽心印正本首楞嚴經環解刪補記)』(이하 ‘정본수능엄경’)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적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손으로 ‘동천(洞天)’이란 글자를 쓰고 

    손톱으로 ‘한좌(閑坐)’라는 글귀를 새기니 

    돌이 물렁한 흙처럼 부드러워서 

    나의 현명(顯名)을 받아들이네 

    맑은 물 흐르는 반석(磐石) 위에 

    용자(龍子)를 놀게 했노라. 

     

    조사께서 바위를 물렁한 진흙처럼 주물러 ‘동천’ 두 글자를 새기고 맑은 물 흐르는 반석 위에 용으로 하여금 놀게 하였다는 이곳은 경상북도 문경시 농암면 도장산 자락을 흐르는 쌍룡계곡을 말합니다.  

     

    충주에서 문경으로 가는 이화령 터널을 빠져나와 가은과 농암을 지나면 쌍룡계곡에 닿지요. 직진하여 쌍용터널을 지나면 상주 화북면이고, 터널 앞에서 왼쪽으로 용추교(龍椎橋)를 건너 도장산(道藏山)에 안기면 개운조사가 머물며 『능엄경』을 주석하신 심원사(深源寺)에 오르게 됩니다.

     

     

    "개운조사(2)"로 이어집니다. 보러가기(클릭)

  • 수험생 울린 엄마의 ‘통장편지’

    어머니가 딸에게 쓴 통장편지 일부. 이미지 출처 : 트위터

    한 어머니가 수험생 딸에게 쓴 ‘통장편지’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줬습니다. 

     

    최근 수능을 치른 한 학생은 자신의 트위터에 어머니로부터 선물로 받은 통장을 찍어 올렸습니다. 

     

    학생의 어머니는 수능 100일 전부터 1만 원씩 저축하면서 최대 7자까지 적을 수 있는 입금 메시지에 4~7자씩 글을 적어 ‘통장편지’를 완성했습니다.  

     

    선물을 받은 학생은 트위터에 “엄마가 수능 100일 때부터 1만 원씩 모아서 통장을 만들어 줬다”면서 “읽다가 눈물 펑펑 쏟았다”라고 적었습니다.  

     

     

     

    다음은 ‘통장편지’의 내용입니다. 

     

     

     

    수능 백일 파이팅. 수능 끝나고 놀아. 너는 빛나는 존재. 사랑스러운 우리 딸, 네가 선택하는 그 모든 것들이 너를 행복하게 해주기를. 그리고 행복한 너의 삶을 스스로 가꾸어 나가길 바란다.  

     

    그러니 수능이 끝난 지금 이 순간만큼은 너를 꼭 안고 토닥거리며. 그동안 고생했다. 괜찮다. 모두 다 괜찮다. 애쓰고 애썼다. 그걸로 충분하다. 사랑하는 예쁜 우리 딸 삶의 시작은 지금부터니까 하고 싶은 거 모두 다 하렴. 

     

    바른 인생관, 바른 인간관, 바른 세계관, 중요한 삶의 가치관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고 싶고 삶의 무게나 삶의 의미 등 진지한 고민을 공유하고픈 나의 바람을 알아주길 바란다. 좀 더 성숙해진 이야기들을 나눈 후에 너를 독립시켜야 내 맘이 편할 듯싶구나. 미래는 그리하여 그 의미를 갖는다 하니 자신의 힘으로 멋진 인생을 이루길 바란다. 

     

    You're my present. 선물 같은 너를 만나서 엄마는 정말 행복해. 늘 건강해서 다행이었고 잘 자라줘서 참 고맙다. 더할 나위 없이 묵묵히 잘 커 준 예쁜 우리 딸아, 지금도 충분히 예쁘고 예쁘다. 어젯밤 앨범을 함께 보며 추억해보니 즐겁고 행복한 이야기들이 새록새록 떠올라서 시간의 소중함, 추억의 소중함을 느꼈단다. 더 많이 사랑하고, 더 많이 표현하고, 더 많은 시간을 함께하자. 

     

    누구나 각자의 인생이 있단다. 뒤돌아볼 때 후회 없는 선택은 별로 없단다. 그러니까 진정한 행복을 찾는 선택을 하길 바란다. 언제나 너의 뜻을 존중하고 이해하니, 너는 늘 당당하게 웃음 넘치는 00이가 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