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ALL : 말세우물

Contents List 3

  • 세상의 종말에 대한 예언이 담긴 우물

    한국에는 말세를 예언한다고 알려진 우물이 있습니다.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2리에 있는 영천이라는 이름의 우물이 바로 그것입니다. 영천은 신령스러운 샘이라는 뜻입니다.

     

    이 우물에 깃든 전설은 ‘우물물이 세 번 넘치면 말세가 온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말세우물’이라고 부르는 영천은 극심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우물로 지난 2008년에는 충청북도 기념물 143호로 지정돼 문화재로서 가치를 인정받기도 했습니다.

     

    [[IMAGE|60|center|caption]]

     

    영천에 담긴 전설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선의 7번째 왕에 오른 세조는 자신의 조카였던 어린 왕을 쫓아내고 왕에 올랐는데 그가 왕이 된 다음해에 큰 가뭄이 닥쳤습니다.

     

    그때 한 노승이 증평군 근처의 한 마을을 지나가다 목이 마르자 우연히 만난 아낙네에게 물 한 잔을 달라고 했습니다. 잠깐 기다리라던 그 여성은 한참이 지나서야 땀을 뻘뻘 흘리며 물을 갖고 왔습니다.

     

    그 여성은 “십리나 떨어진 곳에서 물을 갖고 오느라 늦었습니다”며 미안해 했다고 합니다.

     

    노승은 감사의 뜻으로 우물터를 찾아주겠다며 마을 이곳저곳을 다니다 오래된 나무가 서 있는 곳 옆의 땅을 지팡이로 가리키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합니다.

     

    “이곳을 파십시오. 겨울이면 따뜻한 물이, 여름이면 차가운 물이 나올 것입니다. 이 우물은 가뭄이 들거나 장마가 져도 물이 줄거나 넘치지 않겠지만 세 번 넘치는 날에는 말세가 되니 서둘러 마을을 떠나도록 하십시오”

     

    그동안 이 우물은 두 번 넘쳤다고 전해집니다. 임진왜란 때인 1592년과 일본 제국주의가 한국을 합병한 1910년이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우물에 두 번 이상한 징조가 보였다는 얘기가 전해집니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났을 때 수위가 높아졌고, 2009년 노무현 대통령 이 세상을 떠났을 때도 수위가 크게 높아졌다고 합니다.

     

    이 우물 부근에 사는 마을 사람들은 이 우물이 세 번째로 넘쳐나는 일은 없기를 바라고 또 바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