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생활·문화

Contents List 3

  • 미국 2035년까지 동물실험 없앤다

    이미지 출처 : Pixabay.com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포유류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을 없애기로 했습니다.

     

    미국 환경보호청은 10일 앤드루 휠러 청장이 동물실험 요청이나 예산 지원을 2025년까지 30% 줄이고 2035년부터는 사안별로 청장의 승인을 받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대신 컴퓨터를 이용한 모델링 실험 등 동물실험을 대체할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존스홉킨스대학과 밴더빌트 의료센터 등 5개 기관에 425만 달러(약 50억 6천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동물보호단체에서는 즉각 환영 의사를 밝혔습니다.

     

    '동물을 윤리적으로 대우하는 사람들(PETA)'은 “EPA의 조치는 야만적일 뿐 아니라 과학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동물실험 대신 비동물실험으로 전환함으로써 동물은 물론 인간과 환경도 보호하는 것으로 찬사를 보낸다"라는 내용의 성명을 냈습니다.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동물실험의 축소로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데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됐다는 것입니다.

     

    한 해에 동물실험으로 희생되는 동물이 1억 마리가 넘는다고 합니다.

  • 히말라야의 성산 마차푸차레

    사진 : 픽사베이 (prashant prajapati)

    마차푸차레는 네팔에 있는 해발 6993m의 산입니다. 봉우리가 물고기 꼬리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Fish tail이라고도 불립니다.

     

    산악인들 사이에는 단 한 번이라도 마차푸차레를 보고 나면 평생 그 산을 잊을 수 없다는 얘기가 전해집니다. 하지만 성산으로 여겨져 등반이 허락되지 않습니다. 힌두교에서는 마차푸차레의 정상에 시바신이 산다고 믿습니다.

     

    1957년 영국 출신 5명의 산악인이 마차푸차레 원정대를 꾸려 네팔 정부로부터 처음이자 마지막인 공식 등반 허가를 받아 등정에 나섰습니다. 네팔 국왕은 등반대장인 윌프레드 노이스가 힌두교 관습을 존중하고 산 정상을 밟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조건으로 등반을 허가했습니다. 

     

    윌프레드와 등반대는 정상에서 150피트 가까운 곳까지 올랐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때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와 눈을 뜰 수 없을 정도의 폭설이 쏟아져 결국 정상 등반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전해집니다.

     

    원정대는 등반 경험을 담은 책 을 펴냈습니다. 윌프리드 노이스는 마차푸차레에 대해 다름과 같이 말했다고 합니다.

     

    “이 세상 어딘가에는 인간이 오를 수 없는 산도 있어야 합니다. 저는 진심으로 현지인들의 믿음을 받아들입니다. 마차푸차레의 정상에는 여신이 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인간은 영원히 산 정상에 오를 수 없을 것입니다.”

    

     

    이미지 : 픽사베이 (Ambir Tolang)

     

    이미지 : 픽사베이 (Ambir Tolang)

  • 노르웨이 공주의 가스펠, 별빛이 이 밤을 비추죠

    어둠이 세상을 덮고 있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두운 밤 하늘 안에는 수많은 빛나는 별들이 있습니다. 우리 안에도 어둠이 있지만 그조차 찬란한 빛으로 바꿀 희망의 밝은 별이 있습니다.

    노르웨이의 대표 가수인 시그바르 닥슬란과 마르타 루이제 공주가 오슬로 가스펠 합창단과 함께 듀엣으로 부른 노래를 소개합니다.

    ‘별빛이 이 밤을 비추죠(En Stjerne Skinner i Natt)’라는 제목의 노래입니다. 동방박사와 별을 얘기할 때 그 별과 아기 예수의 이야기를 담은 노래입니다.

  • 연못 위의 하얀 꽃

     

     

  • 페트병 3개로 버스 승차권 살 수 있는 도시

    인도네시아 수라바야시의 버스(좌)와 페트병 3개로 승차권을 구매하고 있는 청년(우) [이미지 : CNN Indonesia 유튜브 캡처]

    인도네시아에는 플라스틱 페트병이나 컵을 ‘승차권’으로 쓰는 도시가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자바섬 동쪽에 자리한 제2의 도시 수라바야시에서는 페트병이나 플라스틱 컵을 갖고 가면 2시간짜리 승차권으로 바꿔줍니다.

     

    1.5리터 이상의 큰 페트병 3개나, 500ml 작은 페트병은 5개, 플라스틱 컵은 10개만 있으면 승차권을 살 수 있습니다.

     

    수라바야시에 따르면 매주 1만 6천 명의 승객들이 페트병으로 버스를 이용한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매달 6톤가량의 플라스틱 페트병이 모입니다.

     

    이렇게 모은 페트병은 라벨과 뚜껑을 제거한 뒤 경매를 통해 재활용 회사에 넘기고 수익금은 버스 운영이나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데 쓰인다고 합니다.

     

    플라스틱과 버스 승차권을 교환해 주는 이 제도는 2018년 4월부터 시작됐습니다.

     

    수라바야시가 이 제도를 도입한 것은 날로 심각해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입니다.

     

    시 당국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하루에 발생하는 400톤의 쓰레기 가운데 15%가 플라스틱이었습니다.

     

    ‘플라스틱 승차권’을 도입한 뒤 수라바야 도심은 이전보다 훨씬 깨끗해졌다고 합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에게 쓰레기 재활용 의식을 심어주는 데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2번째로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바다에 버리는 나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2025년까지 해양 쓰레기를 70%까지 줄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제주도의 6월

     

     

     

     

     

     

     

  • 집에 날아든 새 구해주는 반려견 거스

    새가 집안에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떻게 집안에 들어왔는지는 모르지만 대부분 새들은 집 밖으로 나가는 길을 찾지 못하고 당황한 채 힘들게 집안을 날아다닙니다.

     

    숲 근처에 사는 제니퍼 알버그의 집에도 여러 번 새가 날아들었습니다.

     

    알버그는 집 밖에서 뛰어놀기를 좋아하는 반려견 거스를 위해 날씨가 좋은 날이면 베란다 문을 열어 놓곤 하는데 가끔씩 그리로 새가 날아든다고 합니다.

     

    알버그는 어느 날 거스가 집 안에 들어온 새를 입에 물고 있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새를 장난감으로 여기거나 아니면 물어 죽이는 줄 알았던 것이지요.

     

    하지만 거스는 집 안에 들어온 새를 부드럽게 입에 물고 베란다로 나가 놓아주는 것이었습니다.

     

    알버그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거스가 눈 깜짝할 사이에 새를 물고 나가 놓아주는 것이었어요. 거스는 아주 조심스럽게 새를 물어다 땅에 내려놓았고 새는 다친 데 하나 없이 날아갔어요. 깜짝 놀랐습니다.”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 

     

    여러 차례 집안에 들어온 새들이 무사히 숲으로 돌아갈 수 있었던 것도 거스 때문이었습니다.

     

    알버그는 거스가 새를 물어다 집 밖으로 나가 놓아주는 장면을 찍어서 유튜브에 올렸습니다.

    

  • 눈먼 골든 레트리버 돌보는 강아지

    https://www.instagram.com/p/BvJ-BVsHyAU/

    나이가 들어 시력을 잃은 골든 레트리버 찰리와 그를 돌보는 강아지 매버릭의 이야기가 감동을 줍니다.

     

    올해 11살인 찰리는 2016년 녹내장으로 안구를 떼내 앞을 못 보게 됐습니다. 시력을 잃자 찰리는 무기력해졌습니다.

     

    함께 살던 첼시와 아담 스티프 부부는 머지않아 찰리를 떠나보내야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을 정도였습니다.

     

    부부는 찰리를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을까 고민하다 ‘어린 친구’를 데려오기로 했습니다. 2019년 새해 첫날 골든 레트리버 강아지 매버릭을 입양한 것이지요.

    

     

    단짝친구가 된 찰리와 매버릭. [이미지 : charlieandmav SNS]

     

    처음에 찰리는 매버릭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지만 조금 지나자 절친이 됐습니다. 매버릭은 금세 찰리에게서 조금 다른 점을 발견했습니다.

     

    장난감을 갖고 놀 때 찰리가 자주 장난감이 어디 있는지 찾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된 겁니다. 그러자 매버릭은 인형을 물어다 찰리 앞에 두곤 했습니다.

     

    매버릭은 찰리가 움직이면 주변에 위험이 없는지 살피고 산책을 나갈 때 앞을 못 보는 찰리를 위해 입에 줄을 물고 길 안내를 한다고 합니다.

    

     

    매버릭이 찰리를 위해 입에 줄을 물고 길 안내를 하고 있다. [이미지 : charlieandmav SNS]

     

    매버릭이 온 뒤 찰리는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예전의 무기력한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수술을 받기 전처럼 활력을 되찾았다고 합니다.

     

    스티프 부부는 “찰리와 매버릭을 지켜보면 놀라울 뿐”이라며 “둘은 지상 최고의 콤비로 늘 함께 지낸다"라고 흐뭇해했습니다.

    

  • 산사 사진

    이미지 : 이병철
  • 산과 꽃

    이미지 : 이병철